• 제목/요약/키워드: Occupations

검색결과 594건 처리시간 0.031초

디지털 세계의 관점에서 직업의 변화에 기초한 초등학교 교과서 삽화 분석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xtbook Illustrations Based on the Change of Occupations from a Perspective of Digital World)

  • 장미은;김자미;김현철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115-124
    • /
    • 2016
  •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국정 교과서를 대상으로 삽화에 제시되어 있는 직업의 종류를 디지털 세계의 관점에서 분석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초등학교 3~6학년 국어, 사회, 도덕 교과서에서 제시된 삽화를 분석하여 직업의 종류를 디지털 세계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고용의 미래: 우리의 직업은 컴퓨터화에 얼마나 민감한가?'라는 보고서에서 제시된 미래에 사라질 직업에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사회 교과서는 미래에 사라질 가능성이 높은 직업이 52.1%로, 가능성이 낮은 직업보다 더 높은 비율이었다. 둘째, 직업이 편향적으로 제시되어 있었다. 사라질 가능성이 낮은 직업 중에서 50% 정도는 농부, 교사, 경찰, 의사와 같은 직업이었다. 즉, 교과서에서 제시된 직업이 사회와 직업의 변화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으며, SW가 강조되는 시대적 반영이 전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해 새로운 교과서 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새로운 교과서의 집필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지식정보직업군의 공간적 분포 분석 (Spatial Distribution of Knowledge-Information Occupations)

  • 조동기
    • 한국인구학
    • /
    • 제26권2호
    • /
    • pp.175-195
    • /
    • 2003
  • 본 연구는 1990년대 중반 이후 한국 사회변동의 주요 동인의 하나를 지식정보화라고 전제하구 지식의 창조와 사회적 의사결정 과정에서 핵심적 역할을 담당하는 지식정보직업군의 공간적 분포에 대한 분석을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하여 제시하고 있다. 1995년 및 2000년 인구센서스 자료를 가지고 분석해 본 결과 한국 사회에서 관료제화 및 지식정보화가 지역별로 불균등하게 진행됨에 따라 서울을 포함한 대도시 및 그 주변에서는 지식정보직업군이라 할 수 있는 전문ㆍ기술직과 관리ㆍ행정직의 비중이 높아지는 반면에, 나머지 지역은 여전히 전통적인 직업구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포의 불균형은 대도시 내부에서도 나타났는데, 서울의 경우 지식정보직업군은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로 집중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분포의 이러한 공간적 불균형은 산업사회의 전형적인 결과라 할 수 있으며 지식정보화에 따라 쉽게 반전될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그러나 정보기술의 사회경제적인 활용에 대한 적절한 정책적 대응이 이루어진다면 지역적 불균형이나 양극화는 완화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의 IT분야 신규 전문인력의 노동이동 저해 분석 - IT 신규 졸업자의 실업원인 규명을 위하여 - (Factor Analysis of Rambling Impediment of New Graduates and Entrants Between Occupations and Educations in Korea IT Labor Market -A central focus on recent unemployment of one factor findings in korea IT labor market)

  • 장창원
    • 한국인구학
    • /
    • 제28권2호
    • /
    • pp.131-164
    • /
    • 2005
  • 현재 노동시장 고용과제 중 큰 과제는 경기침체 등으로 비롯되는 청년실업의 문제다. 본 연구는 특히 지식 정보화시대에 IT 부문의 전문지식과 기술을 갖고 대학을 졸업하는 신규 전문인력의 취업률이 타 부문에 비해서 높을 것으로 생각되고 있으나 취업률이 비교적 저조하게 나타나는 경기 외의 요인을 분석하였다. IT 인력은 전체적으로 양적으로는 초과공급이지만 질적으로는 초과수요를 보이고 있는 점을 분석하였고 동일한 직업 내에도 학력별로 초과수요와 초과공급이 존재하는 것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미취업의 구조적 원인을 세부직업 부문별로 학력별로 인력이동의 저해가 발생하는 가를 실증적으로 추정 분석하였다. 그 결과 IT 노동시장의 26개 세부직업 부문 중 부문 간 저해는 15%, 부문 내 저해요인은 85%로 요인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IT 노동시장의 직업군별로 세부직업별/학력별 인력이동 저해요인을 분석하였다. 추정결과 이동 저해를 저해하는 학력별 요인이 세부직업별 요인보다 1.3배에서 11배 이상 인력이동을 더 제한하고 있었다. 학력별 요인이 큰 것은 직업 내 학력별로 IT 전문직업 능력의 차이 즉 기술 불일치를 반영하고 있었다. 오차의 크기도 직업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 IT 직업별 노동시장마다 다른 제도적 요인과 시장적 요인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정책제언은 신규 인력이 꼭 필요한 IT 전문직업 능력의 제고와 철저한 노동시장 수요를 기초로 초과공급으로 평가받은 IT 학과는 공급이 부족한 IT 학과로 전환시키거나 정원을 축소 조정할 것을 제안하였다.

과학, 기술, 공학, 수학(STEM) 직종에 요구되는 핵심 역량 분석 (Identifying Key Competencies Required for STEM Occupations)

  • 장혜원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781-792
    • /
    • 2018
  • 현대 사회에서는 기술이 발전하고 산업이 분화되면서 학생들은 다양한 진로를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 과학, 기술, 공학, 수학 분야는 다른 분야에 비해 오랜 교육과 경력이 필요하므로 과학기술 직종에 필요한 역량에 기반을 두어 과학교육정책을 설계하고, 학습자가 가진 능력과 적성에 맞는 과학기술 진로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과학기술 인력과 STEM 직종에 대한 정의를 탐색하고, 미국 노동부에서 운영 및 관리하는 표준 직업 정보($O^*NET$)를 사용하여 STEM 직종의 핵심 역량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O^*NET$의 숙련, 지식, 직업 활동으로 구성된 총 109개의 지표를 대상으로 기술통계와 주성분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STEM 직종의 핵심 역량은 STEM 문제해결 역량, 관리역량, 기술 역량, 사회 서비스 역량, 교육 역량, 설계 역량, 생물 화학 역량, 공공서비스 역량으로 구성되며 이들은 전체 분산의 70%를 설명한다. 이 연구는 과학기술직종의 다양성과 과학기술 직종에 요구되는 역량을 구체적으로 보여주어 중등 및 대학교육에서 교육과정 및 교육목표를 설정하는데 참고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으며, 개인의 적성에 맞는 개별화된 과학진로교육에 기여할 것이다.

말더듬 성인에 대한 직업 추천 양상과 관련 요인 분석 (Occupational advice for adults who do stutter and the associated factors)

  • 박홍주;박선영;장혜경;박진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8권3호
    • /
    • pp.91-109
    • /
    • 2016
  • This study was mainly aimed to investigate on the perceptions of occupational suitability for speakers who stutter and the associated factors. 90 college students who do not stutter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asked to hear one of three audio recordings(i.e., fluent version, mildly-stuttered version, and severely-stuttered version) of a male speaker who stuttered. Then,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rate the speaker's communicative functioning, personal attributes, and suitability for 31 occupations, along with perceptions of the occupations' speaking demands and educational requirements. Results show that speakers who stuttered (i.e., mildly-stuttered and severely-stuttered version) received lower suitability ratings for high speaking demand occupations than for low speaking demand occupations. In addition, it has been shown that perceived speaking demand strongly affected occupational suitability ratings at both levels of stuttering severity. However, it has been shown that occupational suitability ratings were not associated with ratings of the speaker's personal attributes and perceived educational requirements. From these findings it can be argued that adults who stutter may face occupational stereotyping and/or role entrapment in work settings.

Spatial Changes in Work Capacity for Occupations Vulnerable to Heat Stress: Potential Regional Impacts From Global Climate Change

  • Kim, Donghyun;Lee, Junbeom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1권1호
    • /
    • pp.1-9
    • /
    • 2020
  • Background: As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intensifies, exposure to heat stress will grow, leading to a loss of work capacity for vulnerable occupations and affecting individual labor decisions. This study estimates the future work capacity under the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8.5 scenario and discusses its regional impacts on the occupational structure in the Republic of Korea. Methods: The data utilized for this study constitute the local wet bulb globe temperature from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nd information from the Korean Working Condition Survey from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of Korea. Using these data, we classify the occupations vulnerable to heat stress and estimate future changes in work capacity at the local scale, considering the occupational structure. We then identify the spatial cluster of diminishing work capacity using exploratory spatial data analysis. Results: Our findings indicate that 52 occupations are at risk of heat stress, including machine operators and elementary laborers working in the construction, welding, metal, and mining industries. Moreover, spatial clusters with diminished work capacity appear in southwest Korea. Conclusion: Although previous studies investigated the work capacity associated with heat stress in terms of climatic impact, this study quantifies the local impacts due to the global risk of climate change. The results suggest the need for mainstreaming an adaptation policy related to work capacity in regional development strategies.

미래 유망 산업/직업 그리고 자격 예측을 위한 의사결정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cision Making Method for Prospective Industry/Occupation and Qualification)

  • 이원박;정병한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83-190
    • /
    • 2011
  • Nowadays, many countries have strived to promote prospective industries and occupations at the national level under the global circumstances such as green growth, job creation and so on. For this reason, the decision making method for qualifications foresight which will be available for the mentioned category-prospective industry and occupation- is required for it's feasibility. Pilot surveys on future workforce demand and promotion policies on service industries which are selected as a prospective industry or occupation by government parties were conducted through this research. Based on them, available qualifications-including not only national(skill) qualification but also private qualification- which can be created for prospective industries and occupations related to green growth and job creation were predicted. On the other hand, observing the change of service industry, occupation and qualification abroad, this research attempts to present the decision making method for verifying the decision' validity on qualification in Korean service industry and related occupation. Applying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a preference was examined for checking the validity of the created qualifications by prospective service industries and occupations in both sides-experts and laypeople. Based on it's result, the research was conducted regarding a validity of new qualifications in prospective industries and occupations.

실버서비스를 위한 전문인력개발 프로그램의 분석 (Analysis of Service Occupation Types and Training Programs of Services for the Aged in Busan)

  • 김정순;정인숙;김명수;김윤희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52-160
    • /
    • 200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ervice occupation types and to develop training programs for the aged. Methods: This study used descriptive study design. The research process consisted of three stages: first, identified the demand of service manpower for the aged; second, investigated present jobs and education programs in Korea and Japan; and last, developed service jobs and education programs for the aged. Results: Potential users considered "health management" to be the most important area. They thought "providing job" as second most important.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Korean policies, there were 9 service occupations in 5domains. So, we derived 10 occupations such as 'daily living manager', 'care manager', 'care worker', 'health manager', 'education specialist', 'leisure manager', 'good manager', 'housing manager', 'financial specialist' and 'retirement consultant' in 5domains as healthcare, leisure, goods, housing and finance. Finally, we developed their tailored training programs. Conclusion: According to this study, there should be various occupations qualified by the government, and training programs should be settled. And healthcare providers must included in developing standardized training programs.

  • PDF

20년 후 자화상 분석을 통한 과학 영재의 미래 직업에 대한 인식 (Perception for occupations of science gifted/talented middle school students′ analysing 'self-portraits after 20 years')

  • 심규철;박상태;박종석;변두원;김여상
    • 영재교육연구
    • /
    • 제13권2호
    • /
    • pp.57-71
    • /
    • 2003
  • 본 연구는 과학 영재들이 생각하는 '20년 후의 자화상' 분석을 통해 그들이 바라는 미래 직업 선호 또는 희망, 그 이유, 그리고 그에 대한 확신 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과학 영재들의 미래의 희망 직업에 대한 조사에서는 자신이 속한 과학 영재분야와 관련된 직업은 29.2% 정도에 지나지 않았으며, 의사나 한의사 등 의학 계통에 종사하고자 하는 비율이 32.6%로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과학 영재들이 자신의 미래의 꿈의 실현이나 직업에 대한 확신 또는 자신감을 갖고 있는 비율은 전체의 74% 수준이었다. 미래의 자신의 직업을 선택한 이유는 첫 번째가 사회 봉사와 국가 발전에 기여하기 위한 것이었으며, 다음으로는 생활의 안정을 꼽고 있었다. 우수한 능력을 소유한 영재들이 과학관련 분야를 선호를 증가시키고 그 미래에 대한 자신감을 더해주며 영재성을 발휘하여 국가적으로 기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국가적, 사회적, 교육적 노력이 필요하다.

아동의 성역할 개념의 유연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ildren's Gender-Role Flexibility)

  • 김정민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3권4호
    • /
    • pp.91-100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evelopmental trends in children's gender-role flexibility across different areas of gender-role concept(appearance, activities, occupations, personality trails). Participants included 74 children(1st, 3rd, 5th graders). They were interviewed on a series of 16 pictures depicting cross-gender characteristics. Analyses revealed that (a) flexibility reached its peak at around age 8, which then remained the same except in appearance, (b) girls showed higher flexibility than boys except in occupations, (c) children showed the lowest flexibility in appearance and the highest in occupations, (d) children showed the lowest flexibility toward a male target child with cross-gender characteristic, and (e) children's justifications for flexibility were varied according to the situat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children's gender-role flexibility is influenced by age, sex, areas of gender-role concept, and target pers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