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Perception for occupations of science gifted/talented middle school students′ analysing 'self-portraits after 20 years'  

심규철 (공주대학교 생물교육과)
박상태 (공주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박종석 (경북대학교 화학교육과)
변두원 (공주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김여상 (공주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v.13, no.2, 2003 , pp. 57-71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compare the preference for occupation, reasons of preference for occupations, and confidence of occupations or future of them by analysing 'self-portraits after 20 years' of science gifted/talented. The level of preference for talent-related occupations of gifted/talented students was merely 29.2, whereas that for medical world was 32.6%(the highest level). 74% of them had confidence of that their own dream or hope come true. Main reasons of selecting occupation for the future were 'service for social-national development', and 'convenience for life'. It is necessary to endeavor nationally, socially, and educationally to develop interest and preference of the science gifted/talented for science-related occupations, and confidence for the future, and contribute talents of them to nation.
Keywords
self-portrait after 20years; preference and confidence for occupa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4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명환(1995). 안내된 토의 활동이 고등학교 학생의 힘과 운동에 대한 개념 변화에 주는 역할. 박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2 김성원, 최성연(2002). 영재아의 부모 특성이 영재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3), 671-681
3 김언주, 육근철, 김성수, 윤여홍(2001). 과학영재의 동기에 대한 암묵적 이론 접근. 영재교육연구, 11(3), 99-127
4 소금현, 심규철, 이현욱, 장남기(2000). 중학교 과학영재학생의 과학관련 태도에 관한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 166-173
5 심규철, 소금현, 김현섭, 장남기(2001b). 중학교 과학 영재의 과학에 대한 흥미 연구2- 재능 영역에 따른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1), 135-148
6 이상법, 이광필, 최상돈, 황석근(1999). 과학영재교육센터 학생선불 문항 분석 및 선발 방법에 대한 제언.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4), 604-621
7 이현욱, 심규철, 조선희, 장남기(1999). 과학 영재교욱을 위한 '잠재 능력 판별 방법'의 적용.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7(3), 266-275
8 임희준, 여상인(2001). 초등학교 영재 학생들의 과학자에 대한 인식 조사. 영재교육연구, 11(2), 39-57
9 허영, 이군현(1996). 대학의 과학 영재 교육을 위한 교수방법. 한국영재학회 연구보고서
10 Hansen, J.B. & J.F. Fe1dhusen(1994). Comparison of trained and untrained teachersof gifted students. Gifted Chitd QuarterIy, 38(3), 115-121   DOI   ScienceOn
11 Webb, N. M. (1982). Student interaction and learning in small group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2(3). 421-445   DOI   ScienceOn
12 소금현(2000). 중학교 과학 영재 및 일반 학생의 정의적 특성 비교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3 Cole, M, V. John-Steiner, S. Scribner, & E. Souberman(eds.)(1978). Mind in society. Harvard University Press
14 Johnson, D.W., R.T. Johnson, & E.J. Ho1ubec(1993). Circles of learning (The 4thed.). Alexandri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15 심규철, 박종석, 육근철(2001a). 사이버 상에서 과학영재들을 위한 새로운 교육 방법 및 프로그램 개발 연구. 영재교육연구, 11(3), 69-84
16 Gagne', F. (1993). Constructs and models pertaining to exceptional human abilities.In Heller, K.A., F.J. Monks and A.H. Passow (eds.). International handbookof research and development of giftedness and tatent(pp. 69-87)
17 Renzulli, J.S.(1998). The Three-Ring Conception of Giftedness. In Baum, S.M.,S.M. Reis & L.R. Maxfield(eds.). Nurturing the gifts and talents ofprimary grade students. Mansfield Center, CT: Creative Leaming Press
18 정병훈(1998). 창의적 사고 형성을 위한 물리교육. 한국과학교육학회 제 34차 하계학술대회
19 Bloom, B.S.(Ed) (1985). Developing Talent in Young People. New York: Ballantine Books
20 Lawson, A.E.(1995). Studying for biology. Harper-Collins College Publishers. NewYork
21 장언효(1985). 영재아의 심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2 Layton, D. (1991). Science Education and praxis: the relationship of school scienceto practical action.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19, 43-79   DOI
23 박종원, 이종백, 오원근, 박종석(2000).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분석 연구 I. 영재교육연구, 10(1), 75-104
24 장남기(1998). 과학 천재와 영재의 교육. 한국과학교육학회 제 3차 하계학술대회
25 이군현(1988). 과학고등학교 발전 방향 정립을 위한 탐색 연구. 한국과학재단 연구보서
26 통계청(2003). 2003청소년 통계. 통계청
27 오원근. 박종석. 박종욱. 정병훈(2002). 과학학습 활동에서 초등학교 상위집단 학생들이 선호하는 과제 특성 평가 준거의 타당성.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1), 32-39
28 Moon, S.M., & J.F. Feldhusen(1994). The Program for Academic and CreadveEnnchment(PACE): A Follow-up Study Ten Years Later. In Subotnik, R.F.& K.D. Arno1d(eds.). Beyond Terman: Contemporary longitudinal studies ofgiftedness and talent. Norwood, New Jergy: Ablex Pub. Cor
29 박종석, 박원선, 박종욱(2000), 초등학교 과학영재의 선발에 적용한 화학실험 평가에 대한 연구. 대한화학회지, 44(2), 157-165
30 이상법(2001). 과학영재 선발 문항 성취도의 지역별 편차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1), 185-212
31 신지은, 한기순, 정현철, 박병건, 최승언(2002). 과학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은 창의성에서 어떻게 다른가? -서울대학교 과학영재교육센터 학생들을 중심으로. 학국과학교육학회지, 22(1), 158-175
32 김민환, 김억환(1991). 새로운 교육 과정 탐구 - 재개념주의적 접근 -. 서울: 성원사
33 교육부(1997). 초. 중등학교 교육 과정 -국민 공통 기본 교육 과정- 제7차 교육 과정. 서울: 대한서적주식회사.
34 박종석, 심규철, 육근철(2001). 과학영재들의 과학과 과학자들에 대한 인식 조사. 영재교육연구, 11(3), 85-97
35 한기순, 배미란, 박인호(2003). 과학영재들은 어떻게 사고하는가.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1), 21-34
36 Reid, C., & B. Romanoff (1997). Using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to identifygifted children. Educational Leadership, 55(1), 71-74
37 박종석, 오원근, 박종욱, 정병훈(1999). 과학캠프 활동 평가를 통해 추출한 과학영재 프로그램의 적절성 준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2), 328-3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