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ccupational task

검색결과 349건 처리시간 0.022초

이중과제를 활용한 노인인지기능 선별검사 개발 (Development of Dual-task Based Cognitive Function Screening Test for the Elderly)

  • 곽호성;유은영;박혜연;이서현;한대성;박지혁
    • 재활치료과학
    • /
    • 제9권4호
    • /
    • pp.69-81
    • /
    • 2020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인지기능저하 노인을 선별할 수 있는 이중과제를 활용한 노인인지기능 선별검사를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2019년 5월부터 8월까지 경기도 및 충청도에 있는 지역사회 기관에서 60세 이상 노인 229명을 대상으로 개발된 Y-DuCog(Yonsei Dual Task Cognitive Screening Test)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과 인지기능저하 노인의 분류 기준점을 확인하였다. 결과 : MMSE-K, MoCA-K와 Y-DuCog와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Y-DuCog의 이중과제 효과와 이중과제 초당 정답 수에서 상관관계를 보였다. 내적 일치도 분석 결과 이중과제 효과와 이중과제 초당 정답 수의 Cronbach's-α 값은 각각 .848(p<.01), .916(p<.01)의 신뢰도를 보였고,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ICCs가 .969~.996으로 높게 나타났다. 선별기준점은 총 수행시간 DTE에서 31.76초를 기준으로 88.7%의 민감도와 83.5%의 특이도를, 총 이중과제 CRR에서 0.38개를 기준으로 84.5%의 민감도와 76.6%의 특이도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Y-DuCog의 신뢰도 및 타당도가 검증되었다. Y-DuCog는 기존 지필 평가의 제한점인 교육수준과 문자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간편하고 빠르게 검사를 시행할 수 있어 노인의 인지기능 평가 및 중재 방법에 대한 효과성 검증 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기능적 과제훈련이 낙상경험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단일대상연구 (The Effects of Functional Task Training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the Fall Experienced Elderly)

  • 우지희;박혜연;김종배
    • 재활치료과학
    • /
    • 제5권1호
    • /
    • pp.43-54
    • /
    • 2016
  • 목적 : 본 연구는 낙상 후 회복에 대한 개입으로 기능적 과제훈련이 포함된 작업치료적 중재가 낙상경험노인의 일상 생활수행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낙상경험노인 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반전설계에 동시 중재 교차설계를 더한 것이다. 총 실험회기는 18회로 기초선 A와 A'는 주 3회 2주간 걸쳐 6회, 중재과정 B는 2가지 중재가 동일한 날 점진적 저항근력운동의 낙상중재프로그램 1회, 점진적 저항근력운동에 기능적 과제훈련이 더해진 낙상중재 프로그램 1회가 오전, 오후 교대로 적용하여 주 3회씩 4주간 총 12회 진행하였다. 기초선 6회기, 중재 매 회기 마다 버그균형척도(Berg-Balance Scale), 과제수정척도(Task Modification Scale), 한국어판 낙상 효능감(Korean versioin Fall Efficiency Scale)을 측정하였고 실험 전, 후에 대상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을 비교하기 위해 캐나다 작업수행평가(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ment)와 가정 내 일상생활활동평가(Assessment of Home-Based Activities)로 측정하였다. 결과 : 중재 전, 후에 일상생활수행능력은 수행도보다 만족도에서 향상되었고, 가정 내 일상생활활동의 독립성과 안전성 영역에서 점수가 더 향상됨을 보였다. 점진적 저항근력운동만 중재했을 때보다 점진적 저항근력운동에 기능적 과제훈련이 더해진 중재 후 낙상효능감과, 버그균형점수에서 통계적으로 더 큰 변화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는 낙상을 경험한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치료 중재의 근거를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기능적 전기 자극을 병행한 과제 지향적 훈련이 경수 손상 환자의 손 기능에 미치는 영향: 개별사례 연구 (Effects of Task-Oriented Training With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on Cervical Spinal Cord Injury Patients' Hand Function: A Single-Subject Experimental Design)

  • 고석범;박혜연;김종배;김정란
    • 재활치료과학
    • /
    • 제7권1호
    • /
    • pp.63-77
    • /
    • 2018
  • 목적 : 본 연구는 기능적 전기 자극을 병행한 과제 지향적 훈련이 불완전 경수 손상 환자의 손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대상자는 불완전 경수 손상 진단을 받은 성인 3명으로, ABA 설계를 사용하였으며, 연구기간 동안 기초선(A1) 5회기, 중재기(B) 20회기, 재기초선(A2) 5회기로 총 30회기 실시하였다. 중재기(B) 동안 기능적 전기 자극을 병행한 과제 지향적 훈련이 제공되었고, 모든 회기에는 손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Box and Block Test), 떨어지는 막대 잡기(Grip the falling bar)와 먹기 흉내 내기(Simulated feeding)를 측정하였으며, 기초선(A1) 전, 재기초선(A2) 후로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COPM), 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JTHFT)와 Wolf Motor Function Test(WMFT)를 실시하여 중재 효과를 살펴보았다. 결과 : 모든 대상자는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Box and Block Test), 떨어지는 막대 잡기(Grip the falling bar)와 먹기 흉내 내기(Simulated feeding)를 통해 기초선(A1)보다 중재기(B)에서 우세 손 기능이 향상되었고, 재기초선(A2)에서 그 효과가 유지되었다. 재기초선(A2) 후 COPM, JTHFT와 WMFT의 결과, 우세 손 기능의 향상과 과제 수행도와 만족도의 향상을 보였다. 결론 : 기능적 전기 자극을 병행한 과제 지향적 훈련은 경수 손상 환자의 손 기능뿐만 아니라, 대상자가 선택한 훈련 과제의 과제 수행도와 만족도 향상에 효과적이다.

Relationship Between Job Training and Subjective Well-being In Accordance With Work Creativity, Task Variety, and Occupation

  • Shin, Min Gwan;Kim, Young-Ki;Kim, Se-Yeoung;Kang, Dong Mug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1권4호
    • /
    • pp.466-478
    • /
    • 2020
  • Background: Job training influences the overall working environment and worker's well-be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training and subjective well-being in accordance with occupations and understand the influence of task characteristics-work creativity and task variety (WCTV)-on the effect of training. Methods: A cross-sectional study based on the Fifth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was conducted on 50,205 workers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World Health Oorganization-5 well-being index was used to measure their subjective well-being.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training and subjective well-being was divided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of WCTV. Results: Training paid for by employer showed a negative effect on subjective well-being when received for more than 3 days (OR 0.88, p<0.01) in the last 12 months. Training paid for by oneself showed a positive linkage with well-being when the level of training was 1-3 days (Odds ratio = 1.55, p<0.001). This result showed different aspects in accordance with the level of WCTV. For the high WCTV group, the aforementioned results were reaffirmed, but for the group with low WCTV, job training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 on well-being. On-the-job training was not related to subjective well-being regardless of the level of WCTV. Conclusion: Job training had different effects on subjective well-being depending on the type and frequency of training, as well as the WCTV. It is imperative to comprehensively apply different types of job training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occupations to uplift workers' well-being.

일개 제조업체 근로자의 직업성 스트레스 관련 요인 (Occupational Stress of the Workers in a Electronic Manufacturing Factory)

  • 김정희;윤순녕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39-246
    • /
    • 2001
  • This paper attempts to identify the occupational stress-related factors among the workers at the manufacturing industry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concerning development of stress management program focused on the manufacturing industry. The subjects exhibit significantly highest level of 'the characteristics of task and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factor'. And the mean score of 'the avoid coping strategies' was higher than 'the control coping strategies'. The main factor that affected the occupational stress responses was 'the physio-environmental factor' and it was explained 15.6% out of the total variance of the stress responses. Also, it would be explained 29% out of the total variance of the stress response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ask/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factor', sex, social support, and 'extra-organizational stressor'. In conclusion. For developing the stress management program in workplace, 'the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 and 'the characteristics of task and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factor' should be considered. Also, It should be identified the direct and indirect paths among factors that significantly related factors to the occupational stress of workers further more.

  • PDF

탄소나노튜브 필름 제조 실험실의 세부작업별 공기 중 나노입자 노출 농도 (Monitoring Airborne Nanoparticle Concentrations by Task in a Laboratory Making Carbon Nanotube Films)

  • 하주현;신용철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48-255
    • /
    • 2010
  • Airborne nanoparticle concentrations in three metrics (particle surface area concentration, particle number concentration, and particle mass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by task in a laboratory making carbon nanotubes (CNTs) films using three direct reading instruments. Because of the conducted other researcher's experiment before the tasks, airborne nanoparticle surface area and number concentrations are the highest at the first time conducted weighing and mixing by sonication task, respectively. Because of the mist generated during mixing by sonication, the highest airborne nanoparticle surface area and PM1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in the task among the total. Nanoparticle surface area concentrations at the researchers' breathing zones had high correlation (r=0.93, p<0.01) with those measured at an area in the laboratory. This result indicates that nanoparticles generated during the experiment contaminated the whole room air. When the experiment performed all the fume hoods weren't operated and making CNTs films task were conducted in the out of the fume hoods. In conclusion, researchers performing making CNTs film experiments were exposed to airborne nanoparticles generated during the experiment without adequate controls. We recommend that adequate controls should be implemented so that workers' exposures to airborne nanoparticle are limited to minimum levels.

과제 지향적 훈련과 수정된 강제유도 운동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ask Oriented Activity and Modified Constraint Induced Movement Therapy on Quality of Life for Patients With Stroke)

  • 이종민;김보라
    • 재활치료과학
    • /
    • 제1권2호
    • /
    • pp.23-34
    • /
    • 2012
  • 목적 : 본 연구는 과제 지향적 훈련과 수정된 강제유도 운동치료(modified Constraint Induced Movement Therapy; mCIMT)가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대구에 소재한 K병원에서 입원하여 치료를 받는 30명의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과제 지향적 훈련 그룹과 mCIMT 그룹으로 각각 15명씩 무작위로 배분하였다. 치료 중재 전 후의 삶의 질을 비교하기 위하여 뇌졸중 특이 삶의 질 척도(Stroke Specific Quality of Life; SS-QOL)를 시행하였다. 결과 : 두 그룹 모두 치료 중재 전 후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5), 치료 중재 후 두 그룹간의 삶의 질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결론 : 과제 지향적 훈련과 mCIMT가 뇌졸중 환자의 환측 상지기능 및 움직임 향상을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과제 지향적 훈련과 mCIMT를 작업치료와 함께 임상에 적용함으로써 뇌졸중 환자의 삶의 질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일 것이라 사료된다.

한글판 작업과제 몰입상태척도(Korean version of Flow State Scale for Occupational Task: K-FSSOT)의 타당도 및 신뢰도연구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Korean Version of the Flow State Scale for Occupational Task)

  • 이정훈;박지혁
    • 재활치료과학
    • /
    • 제10권4호
    • /
    • pp.53-63
    • /
    • 2021
  • 목적 : 본 연구는 작업치료 활동에서 대상자의 몰입상태정도를 측정하는 한글판 작업과제 몰입상태척도(Korean version of Flow State Scale for Occupational Task: K-FSSOT)를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한글판 작업과제 몰입상태척도 개발을 위해 체계적인 번안과정을 거쳐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을 하였다. 타당도 검증은 작업치료사 10명의 내용타당도와 환자 20명의 문항이해도 조사를 통해 CVI 값을 산출하였다. 신뢰도 검증은 환자 33명의 내적일치도 및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 내용타당도의 문항별 I-CVI 값은 .90~1.00으로 나타났고, 전체 항목의 평균인 S-CVI 값은 .97로 적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신뢰도 검증 결과 전체 문항의 내적일치도 값은 .855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검사-재검사 신뢰도 값은 .894(p<.01)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임으로 높은 신뢰도가 확인되었다. 결론 : K-FSSOT가 대상자의 참여와 몰입을 고민하는 작업치료사에게 작업치료 활동을 수행하는 대상자의 몰입상태정도를 측정하는데 유용한 도구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치매모델 쥐의 과제지향 훈련이 인지기능 회복과 중추신경계 가소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ask-oriented Training on Cognitive Function Recovery and CNS Plasticity in Scopolamine-induced Dementia Rats)

  • 김석범;김동현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3-31
    • /
    • 2019
  • 목적 : 본 연구는 치매모델 쥐에게 과제지향 훈련을 반복적으로 실시하고 그 결과로 인지기능과 중추신경계 가소성의 한 지표 물질인 아세틸콜린의 함량 변화를 관찰하여 치매의 개선 효과를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 스코폴라민을 투여한 치매모델 쥐에게 과제지향 훈련을 수행하지 않은 실험군I과 과제지향 훈련을 수행한 실험군II으로 구성하였다. 과제지향 훈련은 앞발의 뻗기, 잡기, 옮기기를 적용하였고 장애물 보행을 실시하였다. 인지기능은 기억력의 측정에 정량화된 수동회피검사를 실시하였고 중추신경계 가소성의 변화는 아세틸콜린의 함량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결과 :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코폴라민을 투여한 치매모델 쥐의 과제지향 훈련을 실시한 후 4일부터 인지 기능의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다(.00). 둘째, 스코폴라민을 투여한 치매모델 쥐에 적용한 과제지향 훈련은 아세틸콜린 함량의 유의미한 증가를 보였다(.00). 결론 : 본 연구에서는 작업치료 중재 중 임상에서 노인성 치매환자에게 많이 수행하고 있는 과제지향 훈련을 치매모델 쥐에게 수행함으로서 기억력 개선을 통한 인지기능 향상과 중추신경계 가소성을 확인할 수 있는 아세틸콜린의 함량 증가를 과학적으로 입증하였다.

Human Error Probability Determination in Blasting Process of Ore Mine Using a Hybrid of HEART and Best-Worst Methods

  • Aliabadi, Mostafa Mirzaei;Mohammadfam, Iraj;Soltanian, Ali Reza;Najafi, Kamran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3권3호
    • /
    • pp.326-335
    • /
    • 2022
  • Background: One of the important actions for enhancing human reliability in any industry is assessing human error probability (HEP). The HEART technique is a robust tool for calculating HEP in various industries. The traditional HEART has some weaknesses due to expert judgment. For these reasons, a hybrid model is presented in this study to integrate HEART with Best-Worst Method. Materials Method: In this study, the blasting process in an iron ore mine was investigated as a case study. The proposed HEART-BWM was used to increase the sensitivity of APOA calculation. Then the HEP was calculated using conventional HEART formula. A consistency ratio was calculated using BWM. Finally, for verification of the HEART-BWM, HEP calculation was done by traditional HEART and HEART-BWM. Results: In the view of determined HEP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ean of HEP in the blasting of the iron ore process was 2.57E-01. Checking the full blast of all the holes after the blasting sub-task was the most dangerous task due to the highest HEP value, and it was found 9.646E-01. On the other side, obtaining a permit to receive and transport materials was the most reliable task, and the HEP was 8.54E-04.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a good consistency for the proposed technique. Comparing the two techniques confirmed that the BWM makes the traditional HEART faster and more reliable by performing the basic comparis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