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ccupation therapy

검색결과 176건 처리시간 0.03초

작업치료학과 학생의 작업치료 이미지 조사 (A Study on the Image of Occupation Therapy in the Dep. of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 이혜선;김정미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73-78
    • /
    • 2011
  • 목적 : 본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전문직의 발전을 위한 작업치료이미지 개선을 위함이다. 연구방법 : 연구대상은 광주 전남 소재 4년제 대학 작업치료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총 340부의 자료를 수집한 결과 누락된 문항이 포함되거나 손상된 설문지를 제외시키고 316부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론 : 1) 작업치료학과 학생들의 작업치료 이미지 인식(M=3.676)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2) 본 연구도구요인 분석은 전문적 이미지, 직업적 이미지, 사회적 이미지, 헌신적 이미지 4가지로 구조화하였고 그 결과 전문적 이미지(M=3.925)가 가장 높고, 헌신적 이미지(M=3.84), 직업적 이미지 (M=3.774), 사회성 이미지(M=3.160)의 순이었다. 3) 학년별 작업치료 이미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PDF

Relationship between time management and anxiety of Occupation Therapy students

  • Lee, Hye-Su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9권4호
    • /
    • pp.254-259
    • /
    • 2021
  • Time management skills are essential for Occupation Therapy students' success, and development of clinical compet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ime management skills and anxiety and academic motivation of nursing students. This study was carried out on 95 Occupation Therapy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using demographic Questionnaire, Time Management Questionnaire (TMQ), Spielberger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 and Academic Motivation Scale (AMS), which was completed t by self-report.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0 software with descriptive and analytical statistics such as ANOVA, independent t-test, Regression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also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tudents' TMQ scores and the state anxiety (r= -0.282, p< 0.005) and trait anxiety scores (r= -0.325, p<0.005). Moreover,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tudents' TMQ scores and AMS scores (r= 0.279, p< 0.005). Regarding the findings, it seems that it is necessary to plan for improving time management skills in order to enhance academic motivation and reduce anxiety rates among Occupation Therapy students.

일반 성인의 작업과 활동의 중재 형태에 대한 행위 관찰 시 거울신경세포 시스템의 EEG 활성도 차이 (Differences of EEG Activation in Mirror Neuron System during Action Observation for Occupation-based, Purposeful Activity, Preparatory Method in adult subjects)

  • 고효은;윤태원;정현애
    • PNF and Movement
    • /
    • 제13권1호
    • /
    • pp.17-23
    • /
    • 2015
  • Purpos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changes in the mirror neuron system in normal people through mu rhythm during action observation of occupation-based intervention, purposeful activity and prepare a method of intervention form of occupation using occupation and activity. Methods: TThis study aims to identify changes in the mirror neuron system in normal people through mu rhythm during action observation of occupation-based intervention, purposeful activity and prepare a method of intervention form of occupation using occupation and activity. The activation of the mirror neuron system was compaired among 3 condition by oneway ANOVA. Results: The result of analysis showed mu suppression in all conditions. Although all conditions showed mu suppress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conditions.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mirror neuron system is activated during action observation to be able to occupational therapy but the mirror neuron system is not separately activated among the conditions.

가상 운동 훈련 프로그램(Wii fit)이 여성노인들의 균형증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virtual exercise training program on the balance increase of women elderly)

  • 최재원;정현애;김은비;류애리;박소영;조경미;오미희
    • PNF and Movement
    • /
    • 제8권3호
    • /
    • pp.1-8
    • /
    • 2010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irtual exercise training programs on the improvement of balance in the elderly women. Methods: The subjects were fifteen female citizens, 67 years of age or older living in G city, the subjec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groups; Virtual exercise training group(n=9), control group (n=6). After treatment measured balance by Berg Balance scale test and One-leg stand test during virtual exercise training program at pre-intervention and post-intervention. Results :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Virtual Exercise Training Program (Wii fit) after applying the Berg balance test scores and One-Legged Stance Test, the evaluation results showed significant results(p<05). Conclusion : Virtual exercise training programs can be used to improve the balance of the elderly, as it has been shown to increase Berg balance test and one-leg stand results conducted after virtual training programs. Virtual Exercise Programs(Wii fit) were applied to demonstrate the effecting the balance of the elderly to promote more research on the impact of the ADL survey.

  • PDF

신경계 재활에서의 작업기반중재(occupation based intervention)에 관한 고찰 (The Reviews of Occupation Based Intervention in Neurorehabilitation)

  • 이미지
    • 재활치료과학
    • /
    • 제6권2호
    • /
    • pp.29-36
    • /
    • 2017
  • 서론: 작업기반중재는 신경계 질환의 클라이언트에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중재 방법으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문헌 고찰을 통해서 작업기반중재의 이론적 배경, 정의 및 범위를 알아보고 실제 작업치료중재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신경학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론: 작업기반중재는 작업기반실행을 바탕으로 다양한 치료적 요소들이 자연스러운 환경 내에서 클라이언트가 적절한 수행을 하는 것이다. 즉, 클라이언트의 실제적 환경에서 의미 있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중재를 적용하는 것으로, 이 때 의미 있는 작업이란 클라이언트가 동기를 가지고 작업을 선택한 것으로 규칙적이고 반복적이어서 작업의 수행이 습관성이 있다. 결론: 작업기반중재는 클라이언트의 동기와 습관 그리고 실제 환경에서의 적용이라는 세 가지 요소로, 각각의 요소는 다양한 신경학적 근거에 기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제 신경계 재활에서 세요소가 포함된 작업기반중재의 활용이 필요할 것이다.

신경발달 장애 아동의 지하철 이용하기 작업에 대한 작업기반 중재의 적용 (Application of Occupation-Based Practice for Neurodevelopmental Children's Subway Use)

  • 라대엽;공명자;장기연
    • 대한작업치료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7-41
    • /
    • 2018
  • 목적 : 본 연구는 신경발달 장애 아동들에게 작업기반(occupation-based) 중재를 그룹 프로그램으로 적용하여 작업 수행의 질, 수행도 및 만족도,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신경발달 장애 아동 10명을 대상으로, ADOC-S(Aid for Decision making in Occupation Choice-School) 및 COPM(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을 사용하여, 모든 클라이언트에게 의미 있고 공통된 작업 목표를 수립 하였다. '지하철 이용' 작업수행 분석한 후에 PQRS(Performance Quality Rating Scale)를 사용하여 작업수행의 질 변화를 조사하였다. 작업기반 중재는 가장 자연스럽고 실제생활과 비슷한 상황에서 의미 있는 작업을 직접 수행하며 진행되었다. 실험은 사전 평가 1회기, 중재기는 주 1회, 회기당 100분, 8주간, 총 8회기 진행되었고 사후 평가 1회기 실시되었다. 결과 : 작업수행의 질인 PQRS에서는 중재 전에 비해 중재 후 38.10의 증가를 보였다. 유지, 보상 및 적응접근을 적용하여 초기 회기(1~4회기)에 큰 증가율이 나타났다. COPM의 수행도는 중재 전에 비해 5.80, 만족도는 7.00의 증가가 나타났다. 또한 보호자 인터뷰를 통한 프로그램 만족도에서 높은 점수가 나타났다. 결론 : 작업기반 중재는 신경발달장애 아동의 작업수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방법이며, 수행도 및 만족도, 프로그램 만족도에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Comparison of The VDT Occupation and VDT-related Hobby Groups in terms of Patients' Subjective Symptoms of VDT Syndrome

  • Lee, Jun Cheol;Park, Si Eun;Shin, Hee Jun;Choi, Wan Suk
    • 국제물리치료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168-1174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ealth conditions of occupation group and hobby group related to visual display terminal (VDT) syndrome. The VDT occupation group was mainly composed of the worker in banks, telephone companies, and general offices. The VDT-related hobby group was composed of high school students, and Internet cafe user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classify the subjects according to hours of computer usag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occupation group represented a higher level of subjective symptoms than VDT-related hobby group. In the VDT occupation group, 'Poor body condition', 'Feeling uncomfortable or pain in the neck', 'Feeling uncomfortable or pain in the back', 'Feeling stressed out', and 'Feeling uncomfortable or pain in the shoulder' items indicated a high level of subjective symptoms. In the VDT-related hobby group, 'Feeling uncomfortable or pain in the neck', and 'Feeling uncomfortable or pain in the back' items indicated a high level of subjective symptoms. According to the hours of computer usage, 4-6 hours and 6 hours or more groups represented a higher level of subjective symptoms than 2-4 hours group. These findings suggest that Visual display terminal (VDT) work effects the individual's health conditions.

인간작업모델(MOHO)에 대한 국내 작업치료사의 인식도와 필요성에 대한 연구 (Recognition by Occupational Therapists in Korea of the Model of Human Occupation (MOHO) and Its Necessity)

  • 이종민;김지훈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77-87
    • /
    • 2024
  • Purpose : The study aim was to determine the present state of occupational therapists in Korea in terms of the Model of Human Occupation (MOHO). We collected basic data for future research by investigating recognition by occupational therapists for applications of the MOHO and the necessity thereof. Specifically, we explored ways to effectively apply the MOHO in occupational therapy. Methods : We conducted a study from December 3, 2023, to January 18, 2024.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163 occupational therapist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recognition, and necessity of the MOHO were examined using a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Results : The most responses to "degree of ease of access to the MOHO information" were for "disagree" 56 people(34 %). Regarding "degree of satisfaction with information about [the] MOHO," 53 people (33 %) responded with "disagree" (the highest response rate). Only 22 % had applied the MOHO previously. Second, occupational therapists thought that the MOHO should be applied in occupational therapy clinical practice; they also believed that related education was needed for occupational therapy university/college students and occupational therapists. In response to the question, "What channels do you think MOHO education will be helpful for?", 118 people (32 %) answered "continuing education at the association level," and 86 people (23 %) answered "educational institutions aimed at MOHO." Conclusion : Based on these results, I recommend the following. For application of the MOHO in occupational therapy clinical practice, an occupation-based concept must first be established. In addition, related knowledge must be acquired through the expansion of education regarding the MOHO. The efficient application of the MOHO will ultimately lead to improvement in the health of clients.

오차배제학습과 시간차회상을 이용한 작업기반 훈련이 경도 혈관성 치매환자의 과제 수행능력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개별실험 연구 (The Effects of Occupation-based Training With Errorless Learning and Spaced Retrieval on Task Learning and Satisfaction of People With Mild Vascular Dementia: Single Subject Research)

  • 이은영;박혜연;김종배;박지혁
    • 재활치료과학
    • /
    • 제7권1호
    • /
    • pp.51-62
    • /
    • 2018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오차배제학습과 시간차회상을 이용한 작업기반 훈련이 경도 혈관성 치매환자의 과제학습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치매 진단을 받은 경도 인지 수준의 환자 3명을 대상으로 ABA' + follow-up 설계를 사용하였다. 중재기간동안 오차배제학습과 시간차회상을 이용한 작업기반훈련을 적용하였으며, 매회기마다 과제학습 정도를 측정하였고, 중재 전과 후에 만족도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결과분석은 그래프를 통한 시각적 분석과 막대그래프를 통해 제시하였다. 결과 : 오차배제학습과 시간차회상을 이용한 작업기반 훈련 후 모든 대상자의 과제수행 능력이 향상되었으며, 중재 후 만족도 또한 향상되었다. 결론 : 본 연구는 초기 혈관성 치매환자에게 오차배제학습과 시간차회상을 이용한 작업기반 훈련이 과제학습과 만족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임상적 적용을 위한 근거를 제공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작업 중심 회상치료가 경도 치매 노인 환자의 인지기능과 우울,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ccupation based Reminiscence Therapy on Early Dementia Patients'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 박주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758-764
    • /
    • 2018
  • 본 연구는 작업 중심 회상치료가 경도 치매 노인 환자의 인지기능과 우울 그리고 그들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경도 치매 노인 환자 31명을 대상으로, 총 8주 동안 주 1회, 각 회기 당 40분의 작업 중심 회상치료를 실시하였다. 평가도구는 대상자의 인지기능 평가를 위해서 한국형 몬트리올 인지평가(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Korean Version:MoCA-K), 우울정도 측정을 위해 단축형 한국판 노인우울척도검사(Short Form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Korean Version:SGDS-K), 그리고 대상자들의 삶의 질 측정을 위해 치매노인 대상 삶의 질 척도(Geriatric Quality of Life-Dementia:GQOL-D)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작업 중심 회상치료 실시 전에 비하여 경도 치매 노인 환자의 MoCA-K 점수는 중재 전 $14.62{\pm}5.07$에서 중재 후 $16.88{\pm}4.55$로, SGDS-K 점수는 중재 전 $7.28{\pm}4.28$에서 중재 후 $6.10{\pm}4.09$로, 마지막으로 GQOL-D 점수는 중재 전 $26.05{\pm}5.45$에서 중재 후 $28.55{\pm}5.74$로 변화하여 측정된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긍정적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작업 중심 회상훈련이 경도 치매 노인 환자들의 인지기능, 우울 그리고 삶의 질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