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cclusion area

검색결과 432건 처리시간 0.038초

과도한 마모를 보이는 환자에서, 임플란트를 활용해 수직 고경을 증가시키며 shortened dental arch 개념을 적용한 보철 수복 증례 (Using implants for worn dentition with the altered vertical dimension of occlusion based on shortened dental arch concept: a case report)

  • 이재현;김태수;이철원;이원섭;이수영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49-56
    • /
    • 2016
  • 과도한 마모 같은 잔존 치아 구조의 파괴는 전치유도와 저작 기능에 심각한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런 증상을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상실된 구치부를 수복하여 적절한 교합을 회복시켜주는 것이 필수적이다. 구치부의 무치악부를 수복하기 위해서는 의치나 임플란트가 사용될 수 있는데, 임플란트로 수복시에는 경제적인 제약으로 위해 shortened dental arch 개념을 적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본 증례는 86세 남환으로, 다수의 치아가 상실되어 있었고, 구치부 교합의 붕괴와 과도한 치질 소실, 수직 피개를 관찰할 수 있었다. 구치부에서 붕괴된 교합을 재형성해주는 것을 최우선 과제로 정하였으며, 가철성 보철물 대신, 국민건강보험이 적용된 2개의 임플란트와 고정성 국소의치, 레진을 이용하여 보철 수복을 완료하였다. 소구치 부위에서 2 mm의 수직고경을 거상하였으며, shortened dental arch 개념을 적용하였다. 이를 통해 전악 수복에 비하여 적은 비용으로 이를 대체하는 치료를 고정성 보철물로 할 수 있었으며, 심미적, 기능적으로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교두감합위로부터 출발한 수직교합고경의 단계적 증가가 사지 근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Human Appendage Muscle Strength on Increase in Vertical Dimension from Intercuspal Position of Mandible)

  • 홍동희;이성복;최대균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19권3호
    • /
    • pp.169-183
    • /
    • 2003
  • According to our recent investigation that the increase in the occlusal vertical dimension made the appendage muscle strength got higher, the occlusal appliances were made by increasing the occlusal vertical dimension "from the centric relation" position of the mandible. In this experiment, the authors tried to study the change in the appendage muscle strength due to increase in occlusal vertical dimension from intercuspal position(ICP) of mandible with the same subjects and manner as the former experiment. For this study, ten male athletes in a mean age of 23 year who were joined the former study were selected. All the subjects had a complete or almost complete set of natural teeth and reported no subjective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Upper and lower casts were mounted on the semi-adjustable articulator at the intercuspal position and a point was marked on the attached gingival area between the right canine and the right 1st. premolar in each upper and lower cast. From the points, the occlusal vertical dimension was increased by 2mm, 3.5mm and 5mm, and then each 10 maxillary type occlusal splint at each 3-increased position were fabricated with heat curing clear acrylic resin. Including the intercuspal position, the 3 kinds of occlusal splints were placed on the subjects individually, and then isokinetic muscle strength on 7 parts of the human appendage which are shoulder, knee, ankle, wrist, forearm, elbow and hip was measured with the CYBEX 6000 SYSTEM (Lumex, NewYork, US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highest mean value in muscular strength was shown at the position of 2mm-increased vertical dimension. The muscle strength during internal/external rotation of shoulder and knee, plantarflexion of ankle, flexion of elbow, and flexion and extension of hip at the increased occlusal vertical dimension posi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m at the intercuspal position (p<0.05). Only in view of the increase in the appendage muscle strength, regardless of the way of making the occlusal splints by elevating the occlusal vertical dimension from the centric relation position or intercuspal position, the occlusal splints had an effect on the increase of isokinetic muscle strength at the occlusal vertical dimension which increased within the proper range on the habitual arc of closure.

편측성 교근비대 환자에서 편측 보툴리눔 독소 주사 후 안모의 변화 (The Change of Facial Contouring after Unilateral Injection of Botulinum Toxin in Unilateral Masseter Hypertrophy Patients)

  • 차유림;김영건;김지현;심영주;김성택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7권2호
    • /
    • pp.247-251
    • /
    • 2011
  • 교근비대 환자들은 그들의 각진 턱을 심미적으로 개선시키기 위해 교근 두께를 줄이기를 희망한다. 과거엔 수술적인 방법이 널리 알려져 왔지만 최근 양측으로 주사하는 보톡스 시술이 수술에 비해 덜 침습적이기에 그 대안으로 관심이 대두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양측성 교근비대에서 양측에 동량을 주사하는 방법과 달리 편측성 교근비대 환자에서 보툴리눔 독소를 편측으로만 주입 후 삼차원 레이저스캐너를 이용하여 안모의 부피변화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삼차원 레이저스캐너를 이용하여 술전에 편측성 교근비대 환자 10명의 하안모 부피를 측정한 후, 편측으로 보툴리눔 A형 독소 주사 25U이 주사되었다. 주사 4주, 8주, 12주 후 같은 방법으로 하안모의 부피를 측정한 뒤 술전의 삼차원 사진과 중첩하여 변화된 부피를 측정하였다. 주사한 쪽의 부피는 술전에 비해 보툴리눔 독소 주사 4주, 8주, 12주 후 현저히 줄어들었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반면 주사안한 쪽의 부피는 특기할 변화가 없었다. 따라서 편측성 교근비대 환자에서 편측 보툴리눔 독소 주사 후 주사한 쪽의 부피가 현저히 감소하여 근육성 비대칭 환자에서 편측 보툴리눔 독소 주사가 심미적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임플란트 매식체 파절로 제거된 임플란트 골계면의 조직학적 분석 증례 (Histological analysis of explanted implant-bone interface: a case report)

  • 김대동;강대영;조인우;송영균;신현승;박정철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5권4호
    • /
    • pp.235-243
    • /
    • 2019
  • 골유착은 기능 하중을 받는 임플란트에 치조골이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역동적인 과정이라고 보고되었다. 골유착을 평가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시도되었고 그 중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을 측정하는 방법이 가장 흔히 사용되고 있다.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은 조직학적 분석을 통해서만 측정이 가능하지만 인간에서 성공적으로 골유착을 형성한 임플란트에 조직학적 분석을 시행한 연구는 많지 않다. 임플란트가 부적절한 위치에 식립되었거나, 식립 후 통증이나 감각 장애가 있는 경우, 임플란트 구조물이 파절된 경우와 같이 임플란트 제거가 필요한 경우에서만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을 측정할 수 있기에 이는 매우 특별한 기회라고 할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3년간의 기능 하중을 받은 후 매식체 파절로 제거된 임플란트에서 조직학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조직 형태학적 연구 결과 임플란트 전체를 기준으로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을 측정한 경우 대비 치조제 하부만 포함하여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을 측정한 경우 각각 접촉 비율은 53.1%, 70.9%로 나타났다. 본 증례를 통해 비록 임플란트는 파절되었으나 생체 내에서 높은 수치의 골-임플란트 접촉 비율이 확인되었다.

임플란트 배열과 하중 방향이 임플란트와 치조골에 미치는 유한요소 응력분석 (Effects of implant alignment and load direction on mandibular bone and implant: finite element analysis)

  • 정현주;박찬;윤귀덕;임현필;박상원;양홍서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6권3호
    • /
    • pp.176-182
    • /
    • 2020
  • 목적: 수복물에 교합력을 가할때 식립된 임플란트의 개수, 배열 및 위치에 따른 임플란트, 보철물 및 지지 골에 발생하는 응력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재료 및 방법: 하악에 임플란트가 식립되어 고정성 보철물을 지지하는 4 종류의 3D 유한요소 모형을 제작하였다. 모델 M1은 2개의 임플란트 가운데에 가공치를 배열하였고, 모델 M2는 2개의 임플란트 외측에 캔티레버 가공치를 배열하였다. 모델 M3과 M4는 3개의 임플란트를 각각 일렬로 배열되거나, 엇갈리게 배열하였다. 총 120 N 크기의 수직력과 45도 측방력을 가하였고, 유한요소 응력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측방력 하중에 의해 발생한 최대 응력은 수직력 하중에 의한 것 보다 임플란트 부위에서 3.4 - 5.1배 더 컸고, 지지골 내에서는 3.5 - 8.3배 더 컸다. 모델 M2 의 고정성 보철물의 캔티레버 연결부에서 가장 큰 응력이 집중되었다. 임플란트 개수가 3개인 모델들이 2개인 경우보다 더 낮은 응력이 발생하였으나 M3과 M4에서 일렬 배열과 엇갈린 배열간의 응력 발생 차이는 작았다. 결론: 임플란트 배열의 엇갈림 정도는 응력 크기에 별 차이를 발생하지 않았으나, 캔티래버의 존재나 임플란트의 개수의 차이는 큰 영향을 주었다.

Diffusion Tensor-Derived Properties of Benign Oligemia, True "at Risk" Penumbra, and Infarct Core during the First Three Hours of Stroke Onset: A Rat Model

  • Chiu, Fang-Ying;Kuo, Duen-Pang;Chen, Yung-Chieh;Kao, Yu-Chieh;Chung, Hsiao-Wen;Chen, Cheng-Yu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19권6호
    • /
    • pp.1161-1171
    • /
    • 2018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ffusion tensor (DT) imaging-derived properties of benign oligemia, true "at risk" penumbra (TP), and the infarct core (IC) during the first 3 hours of stroke onset.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was approved by the local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 DT imaging data were obtained from 14 rats after permanent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pMCAO) using a 7T magnetic resonance scanner (Bruker) in room air. Relative cerebral blood flow and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 (ADC) maps were generated to define oligemia, TP, IC, and normal tissue (NT) every 30 minutes up to 3 hours. Relative fractional anisotropy (rFA), pure anisotropy (rq), diffusion magnitude (rL), ADC (rADC), axial diffusivity (rAD), and radial diffusivity (rRD) values were derived by comparison with the contralateral normal brain. Results: The mean volume of oligemia was $24.7{\pm}14.1mm^3$, that of TP was $81.3{\pm}62.6mm^3$, and that of IC was $123.0{\pm}85.2mm^3$ at 30 minutes after pMCAO. rFA showed an initial paradoxical 10% increase in IC and TP, and declined afterward. The rq, rL, rADC, rAD, and rRD showed an initial discrepant decrease in IC (from -24% to -36%) as compared with TP (from -7% to -13%). Significant differences (p < 0.05) in metrics, except rFA, were found between tissue subtypes in the first 2.5 hours. The rq demonstrated the best overall performance in discriminating TP from IC (accuracy = 92.6%, area under curve = 0.93) and the optimal cutoff value was -33.90%. The metric values for oligemia and NT remained similar at all time points. Conclusion: Benign oligemia is small and remains microstructurally normal under pMCAO. TP and IC show a distinct evolution of DT-derived properties within the first 3 hours of stroke onset, and are thus potentially useful in predicting the fate of ischemic brain.

특발성 안면 통증 환자에서 수면 이갈이의 임상적 특징 (Clinical characteristics of sleep bruxism patients with idiopathic facial pain)

  • 명양호;서정일;김복음;김영건;김성택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7권2호
    • /
    • pp.81-87
    • /
    • 2021
  • 목적: 특발성 안면 통증 환자에서 수면 이갈이의 임상적 특징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특발성 안면 통증을 호소한 210명의 환자 중 수면 이갈이가 존재하는 28명의 환자의 성별, 나이, 통증의 기간, 위치 및 강도, 통증에 영향을 받은 부위를 포함한 차트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특발성 안면 통증이 있는 수면 이갈이 환자는 남성(14.3%)보다 여성(85.7%)이 많았다. 평균 연령은 48.9세였으며 가장 흔한 안면 통증 부위는 우측 상악 치아(28.6%)와 하악 치아(25.0%) 부위였다. 2개의 치아에 통증이 발생한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50.0%), 1개 치아(28.6%), 3개 치아 이상(21.4%) 순으로 통증이 나타났다. 평균 통증 강도는 visual analogue scale (범위: 0 - 10) 기준 5.9였다. 20명의 환자에서 통증은 자발통의 양상으로 나타났으며(71.4%), 평균 통증 기간은 24.4개월이었다. 결론: 특발성 안면 통증 환자에서 수면 이갈이가 있는 환자들의 임상적 특징은 다양한 특발성 안면 통증 환자의 진단에 유용할 수 있으며, 상기 통증을 줄이기 위해 시행하는 불필요한 치료를 감소시키는데도 효과적이다. 보다 체계화된 진단 방법 및 개발을 위한 치료 지침을 위해 후속 연구는 충분한 기간 및 다수의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Protective Effects of Statins towards Vessel Wall Injury Caused by a Stent Retrieving Mechanical Thrombectomy Device : A Histological Analysis of the Rabbit Carotid Artery Model

  • Lee, Seung Hwan;Shin, Hee Sup;Oh, Inho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4권5호
    • /
    • pp.693-704
    • /
    • 2021
  • Objective : Endovascular mechanical thrombectomy (MT) has been regarded as one of the standard treatments for acute ischemic stroke caused by large vessel occlusion. Despite the wide use of stent retrievers for MT, arterial intimal damage caused when deployed stent is pulled has been a certain disadvantage. We hypothesized that statin could protect and stabilize vessel damage after endovascular MT using a stent retriever. In this animal study, we observed the protective effects of the statins towards MT-induced vessel wall injury. Methods : Twenty-eight carotid arteries of fourteen rabbits were used in the experiments with MT using stent retriever. We divided the rabbits into four groups as follows : group 1, negative control; group 2, positive control; group 3, statin before MT; and group 4, statin after MT. After MT procedures, we harvested the carotid arteries and performed histomorphological and immunohistochemical analyses. Results : In histomorphological analysis with hematoxylin and eosin and Masson's trichrome stain, significant intimal thickening (p<0.05) was observed in the positive control (group 2), compared to in the negative control (group 1). Intimal thickening was improved in the statin-administered groups (groups 3 and 4 vs. group 2, p<0.05). We also observed that statin administration after MT (group 4) resulted in a more effective decrease in intimal thickness than statin administration before MT (group 3) (p<0.05). We performed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with the antibodies for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α), cluster of differentiation (CD)11b, and CD163. In contrast to the negative control (group 1), the stained percentage areas of all immunological markers were markedly increased in the positive control (group 2) (p<0.05). Based on statin administration, the percentage area of TNF-α staining was significantly reduced (p<0.05) in group 3, compared to the positive control group (group 2). Howeve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observed for CD11b and CD163 staining. In group 4,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for TNF-α, CD11b, and CD163 staining (p≥0.05). The differences in the percentage areas of the different markers between the statin-administered groups (groups 3 and 4) were also not revealed. Conclusion : We presented that statin administration before and after MT exerted protective effects towards vessel wall injury. The efficacy of statins was greater post-administration than pre-administration. Thus, statin administration in routine prescriptions in the peri-procedural period is strongly advised.

이형성 협심증 진단 조영 검사의 방사선학적 관점 (Radiological Perspectives for Diagnosis of Vasospastic Angina with Coronary Angiography)

  • 곽종길;서영현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589-595
    • /
    • 2023
  • 관상동맥 경련 유발로 혈관 완전 폐색이 발생할 경우 악성 부정맥 출현으로 사망까지 이를 수 있으므로 관상동맥 경축 협심증 조기 검사는 반드시 필요한 검사이다. 검사 방법 중 관상동맥 조영술을 통한 약물 주입 검사가 일반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따라서 관상동맥 조영 검사 중 경축 협심증 검사의 시술 시간과 조영제 사용량, 방사선 피폭 영향과의 연관성 등을 방사선학적 관점으로 이형성 협심증 조영 검사의 이점을 평가하고자 한다. 2021년 09월부터 2023년 02월까지 관상동맥 조영술과 변이형 협심증 검사를 시행한 142명 환자의 후행적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관상동맥 조영술과 변이형 협심증 검사 비교 분석 결과 체질량 지수를 제외하고 조영제 사용량 67.47 ± 21.81 cc, 흡수선량 15.98 ± 13.8 uGy/m2, 공기 중 입사선량 236.73 ± 135.91 mGy, 촬영 시리즈 수 13 장, 검사 시간 1573.6 ± 428.77 s로 관상동맥 조영술만 시행했을 때의 조영제 사용량 49.1 ± 7.73 cc, 흡수선량 9.93 ± 7.81 uGy/m2, 공기 중 입사선량 140.6 ± 79.76 mGy, 촬영 시리즈 수 6 장, 검사 시간 544.48 ± 185.76 s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할 만큼 높은 차이를 나타냈다. (p<0.001) 결론적으로 관상동맥 조영술 외 추가적인 변이형 협심증 검사가 방사선학적 관점에서 더 부정적일 수 있어 과도한 변이형 협심증 검사는 지양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관상동맥 조영술 외 추가적인 변이형 협심증 검사가 방사선학적 관점에서 더 부정적일 수 있어 과도한 변이형 협심증 검사는 지양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변이형 협심증 검사를 진행해야 할 경우 검사 시간이 길어 질수록 투시 시간과 조영제 사용량도 증가하게 되므로 가능한 빠른 검사 또는 단축 검사를 진행해야 환자의 방사선학적 관점의 부정적인 측면도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Hyperoxia-Induced ΔR1: MRI Biomarker of Histological Infarction in Acute Cerebral Stroke

  • Kye Jin Park;Ji-Yeon Suh;Changhoe Heo;Miyeon Kim;Jin Hee Baek;Jeong Kon Kim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3권4호
    • /
    • pp.446-454
    • /
    • 2022
  • Objective: To evaluate whether hyperoxia-induced ΔR1 (hyperO2ΔR1) can accurately identify histological infarction in an acute cerebral stroke model. Materials and Methods: In 18 rats, MRI parameters, including hyperO2ΔR1,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 (ADC), cerebral blood flow and volume, and 18F-fluorodeoxyglucose uptake on PET were measured 2.5, 4.5, and 6.5 hours after a 60-minutes occlusion of the right middle cerebral artery. Histological examination of the brain was performed immediately following the imaging studies. MRI and PET images were co-registered with digitized histological images. The ipsilateral hemisphere was divided into histological infarct (histological cell death), non-infarct ischemic (no cell death but ADC decrease), and nonischemic (no cell death or ADC decrease) areas for comparisons of imaging parameters. The levels of hyperO2ΔR1 and ADC were measured voxel-wise from the infarct core to the non-ischemic region. The correlation between areas of hyperO2ΔR1-derived infarction and histological cell death was evaluated. Results: HyperO2ΔR1 increased only in the infarct area (p ≤ 0.046) compared to the other areas. ADC decreased stepwise from non-ischemic to infarct areas (p = 0.002 at all time points). The other parameters did not show consisten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areas across the three time points. HyperO2ΔR1 sharply declined from the core to the border of the infarct areas, whereas there was no change within the non-infarct areas. A hyperO2ΔR1 value of 0.04 s-1 was considered the criterion to identify histological infarction. ADC increased gradually from the infarct core to the periphery, without a pronounced difference at the border between the infarct and non-infarct areas. Areas of hyperO2ΔR1 higher than 0.04 s-1 on MRI were strong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histological cell death (r = 0.862; p < 0.001). Conclusion: HyperO2ΔR1 may be used as an accurate and early (2.5 hours after onset) indicator of histological infarction in acute stro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