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cclusal contact area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9초

교정 치료 후 교합력, 교합면적의 변화 (Changes in occlusal force and occlusal contact area after orthodontic treatment)

  • 최윤정;정주령;김경호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76-183
    • /
    • 2010
  • 고정식 교정장치를 이용한 교정치료 후 교합의 기능적 변화를 평가하기 위해, 교합력 및 교합접촉면적을 측정하여 단기적인 변화 양상을 확인하고 소구치 발치 여부에 따른 차이를 파악하였다. 고정식 교정장치로 치료를 종료한 18세 에서40세 사이의 성인을 남자군과 여자군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군을 4개의 소구치를 발치한 군과 비발치로 치료한 군으로 세부 분류하였다(남자발치군 16명, 남자비발치군 18명, 여자발치군 19명, 여자비발치군 21명). Dental prescalesystem (Fuji Film Corp., Tokyo, Japan)의 pressure sensitive sheet를 5초간 최대교두감합위에서 최대근력으로 교합하도록 한 뒤 CCD camera를 이용해 교합력과 교합면적을 측정하였다. 고정식 교정장치를 제거하고 고정식유지장치를 붙인 직후, 교정장치 제거 1주일, 1개월, 3개월, 6개월, 1년 뒤에 각각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모든 군에서 교정장치 제거 후 1년간의 유지기간 동안 교합력과 교합면적은 점진적으로 증가하였다 (p < 0.05). 모든 측정 시기에서 남자군은 여자군보다 높은 교합력과 교합면적을 보였으며 (p < 0.05), 남자, 여자군 모두에서 발치군과 비발치군 사이에는 교합력 및 교합면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p > 0.05). 본 연구를 통해 교정치료 후 1년간의 유지기간 동안 교합이 기능적으로 향상됨을 파악하였고, 소구치 발치로 인한 교합의 기능적 저하는 없을 것이라 추측할 수 있었다.

총의치 균형교합에 영향을 미치는 진료실재부착의 효과 (Effectiveness of clinical remounting improving balanced occlusion of complete dentures)

  • 이예진;김종회;고경호;허윤혁;박찬진;조리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8권4호
    • /
    • pp.328-334
    • /
    • 2020
  • 치과의사는 악간관계기록 오류로 인해 발생하는 교합오차를 줄이기 위해 진료실재부착을 시행한다. 진료실재부착으로 수정된 의치를 사용하면 일반적으로 통증이 감소하고 의치 사용이 편해지며 더 편하게 저작할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이러한 평가는 환자의 주관적인 평가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실험적인 지표를 통해 진료실재부착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전치부에서 1 - 2 mm의 공간이 있도록 중심위 악간관계를 채득하여 진료실재부착을 시행한 후 미끄러짐 유무를 확인하였으며, 압력감지센서로 교합력을 측정하였고 실리콘인기재로 교합면적을 측정하였다. 진료실재부착후 교합압의 변화는 없었으나 교합면적 증가와 함께 접촉 후 미끄러짐이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진료실재부착을 시행하면 조기접촉이 감소하고 교합면적이 증가하므로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Comparison of the bite force and occlusal contact area of the deviated and non-deviated sides after intraoral vertical ramus osteotomy in skeletal Class III patients with mandibular asymmetry: Two-year follow-up

  • Kwon, Hyejin;Park, Sun-Hyung;Jung, Hoi-In;Hwang, Woo-Chan;Choi, Yoon Jeong;Chung, Chooryung;Kim, Kyung-Ho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172-181
    • /
    • 2022
  • Objecti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the time-dependent changes in occlusal contact area (OCA) and bite force (BF) of the deviated and non-deviated sides in mandibular prognathic patients with mandibular asymmetry before and after orthognathic surgery and investigat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changes in OCA and BF on each side. Methods: The sample consisted of 67 patients (33 men and 34 women; age range 15-36 years) with facial asymmetry who underwent 2-jaw orthognathic surgery. OCA and BF were taken before presurgical orthodontic treatment, within 1 month before surgery, and 1 month, 3 months, 6 months, 1 year, and 2 years after surgery. OCA and BF were measured using the Dental Prescale System. Results: The OCA and BF decreased gradually before surgery and increased after surgery on both sides. The OCA and BF were significantly greater on the deviated side than on the non-deviated side before surgery, and there was no difference after surgery. According to the linear mixed-effect model, only the changes in the mandibular plane angl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BF (p < 0.05). Conclusion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amount of the OCA and BF between the deviated and non-deviated sides before surgery. The change in mandibular plane angle affects the change, especially on the non-deviated side, during the observation period.

임플란트 보철물과 인접치 사이의 식편압입에 관한 임상적 연구 (Clinical study on the food impaction between implant prostheses and adjacent teeth)

  • 신동욱;이진한;김세연;동진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27-33
    • /
    • 2014
  •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임플란트 보철물과 인접치 사이의 식편압입을 호소하는 환자를 대상으로 각종 임상 자료를 분석하여 식편압입의 임상적 발현 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식편압입을 주소로 내원한 보철물 장착이 완료된 임플란트 환자 5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구강검사를 시행하고 방사선 사진과 모형을 채득하여 식편압입과 관련이 있는 요소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결과: 1. 식편압입은 하악(39.2%)보다 상악(60.7%)에서 많이 나타났다. 2. 식편압입은 자연치아가 임플란트 보철물의 원심 부위(13.7%)에 있는 경우보다 근심 부위(86.2%)에 있는 경우에 많이 나타났다. 3. 식편압입이 나타난 임플란트 보철물과 그 인접치 사이의 접촉점은 긴밀하지 않은 경우(94.2%)가 대부분이었다. 결론: 임플란트 보철물과 인접치 사이에 식편압입이 일어나지 않기 위해서는 임플란트 보철물과 인접치아가 적절한 긴밀도를 가지고 있어야 하겠다.

심한 교합면 마모 및 교두 파절 환자에서 유기필러를 함유한 4-META/MMA-TBB 레진을 활용한 직접수복 증례 (A case of direct restore using 4-META/MMA-TBB resin containing organic filler in patients with severe occlusal surface wear and enamel fracture)

  • 김대식;이경제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9권4호
    • /
    • pp.222-228
    • /
    • 2023
  • 교모는 치아 간의 접촉으로 인하여 치아 경조직이 소실되는 것으로, 심한 경우 상아질이 노출되어 선택적인 부식과 치아의 과도한 마모가 동반되는데, 이를 cupping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병소를 치료하지 않고 방치할 경우 병소의 크기가 점차 커지게 되어 지지되지 않는 법랑질이 파절되고, 결과적으로 심미성과 저작 기능이 저하된다. 본 증례보고에서는 심한 교모로 인해 cupping과 법랑질 파절이 동반된 환자에서 유기필러가 함유되어 부드러운 성질을 지닌 레진을 이용하여 직접수복을 실시하였다. 6년 후의 경과관찰에서 교합면의 충전은 대부분 탈락하였으나 협측의 충전은 비교적 온전하게 남아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고, 이런 형태의 레진이 교합력이 크게 가해지는 부위보다는 교합력이 비교적 약하게 가해지는 부위에 적합한 재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과개교합과 치열궁부조화 및 수직고경 감소를 가진 환자의 전악수복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in patient with deep bite, inter-dental arch discrepancy and loss of vertical dimension: a case report)

  • 송한솔;이예진;고경호;허윤혁;조리라;박찬진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7권3호
    • /
    • pp.157-170
    • /
    • 2021
  • 구치부 지지 상실과 같은 치아 결손은 불안정한 교합 관계를 야기하고 중심위나 습관적 폐구위에서 하악의 전방 활주 시 전치부에 과도한 하중을 초래하기 쉬워 교합평면이 붕괴되며 교합수직고경의 감소와 악관절 기능 장애까지 나타날 수 있다. 치열궁 크기의 부조화는 전치부와 구치부에서 수직수평적인 관계의 부조화를 유발하며 이로써 나타나는 전치부의 과개교합과 구치부의 가위교합은 불안정한 교합접촉과 충분하지 못한 교합접촉면적을 야기한다. 본 증례는 이와 같은 문제들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환자로 임시보철물을 이용하여 교합수직고경 증가 및 새롭게 설정한 교합평면에 대한 적응을 평가하였고, 교차 모형부착을 이용하여 최종보철물에 반영하여 수복하였다. 그 결과 안정적인 교합과 조화로운 수직수평피개 및 교합평면을 형성하여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어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임프란트 매식시 해면골질의 차이에 따른 치밀골 상 응력분석 (The FEM Analysis on the Crestal Cortical Bone around the Implant according to the Cancellous Bone Density and Loading Positions)

  • 정신영;김창현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3권1호
    • /
    • pp.69-78
    • /
    • 2007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stress distribution pattern in the crestal cortical bone and cancellous bone using 3-dimensional finite element stress analysis when 2 different Young's modulus(high modulus, model 1; low modulus, model 2) of cancellous bone was assumed. For the analysis, a finite element model was designed to have two square-threaded implants fused together and located at first and second molar area. Stress distribution was observed when vertical load of 200N was applied at several points on the occlusal surfaces of the implants, including central fossa, points 1.5mm, 2mm, 3mm and 3.5mm buccally away from central foss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both model, the maximum Von-Mises stress in the crestal cortical bone was greater when the load was applied at the central point, points 1.5mm and 2mm buccally away from central fossa than other cases. 2. In the cortical bone around first and second molar, model 2 showed greater Von-Mises stress than model 1. It is concluded that when the occlusal contact is afforded, the distribution of stress varies depending on the density of cancellous bone and the location of loading. More favorable stress distribution is expected when the contact load is applied within the diameter of fixtures.

치아교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O TOOTH WEAR)

  • 박현배;한경수;진태호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328-342
    • /
    • 1999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related to tooth wear. For this study, 78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nd 76 dental students without any signs and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were selected as the patients group and as the normal group, respectively. Preferred chewing side, Angle's classification, lateral guidance pattern, head and shoulder posture were observed clinically. Electromyographic activity of anterior temporalis and masseter muscle were recorded with $BioEMG^{(R)}$ and occlusal status were recorded with $T-Scan^{(R)}$. Wear facet area of each tooth was measured from working model of upper arch corresponding to the occlusal status from T-Scan. Wear facet area were measured with planimeter in $mm^2$. Total area were divided into incisal, canine, posterior tooth area. Anterior wearfacet area was incisor area plus canine area, and unilateral area was anterior area plus posterior area.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by SAS statistical program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otal werafacet area, and male subjects showed tendency to have larger area in the normal group but female subjects showed tendency vice versa.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related to preferred chewing side and Angle's classification, however some difference was observed by lateral guidance pattern. Anterior wear facet area in subjects of canine guidance was the largest in the three subgroups. 3. Subjects with head tilting to right side had larger posterior and total area, and subjects with higher shoulder in right side had larger canine and anterior area than any other subgrous. 4. Electromyographic activity of masseter muscle was more correlated with wear facet area than anterior temporalis muscle, and tooth contact number and force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wear facet area, but the most important factor affecting tooth attrition was age.

  • PDF

T-Scan II 시스템을 이용한 습관적 편측저작자들의 교합 분석 (Occlusal Analysis of the Subjects with Chewing Side Preference Using the T-Scan II System)

  • 박은희;김미은;김기석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1권3호
    • /
    • pp.245-254
    • /
    • 2006
  • 구강안면 영역의 통증이나 치아결손, 부정교합 같은 치아적 요소가 편측저작습관의 주요요인으로 여겨지나, 치아적 요소가 선호하는 저작측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연구들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화된 교합분석 시스템인 T-Scan II 시스템을 사용하여 편측으로 저작하는 대상자와 양측으로 저작하는 대상자 사이에 교합양상의 특이점이 있는지 조사하고 편측 저작자의 주저작측과 비저작측 사이의 차이를 함께 평가하고자 하였다. 편측저작습관에 대한 설문을 통하여 20명의 편측 저작자(평균 $25.25{\pm}2.84$세)와 20명의 양측 저작자(평균 $27.00{\pm}5.07$세)를 선정하였으며 치아적 문제나 악골의 통증이나 기능이상 같은 문제가 있는 경우는 모두 제외하였다. 습관적 폐구와 측방운동시의 교합양상은 T-Scan II 시스템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습관적 폐구는 시간에 따라 초기, 중기, 말기로 나누었다. 각 세 단계에서의 접촉점의 수와 교합력의 비율을 좌우 양측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습관적 페구 동안의 경과시간 및 치아 활주면적, 좌우측 각각의 측방운동시간이 측정되었다. 편측 저작 습관을 가진 사람들의 경우 양측 저작을 하는 사람에 비해서 치아의 평균 교합 면적이 작았다(p<0.005). 습관적 편측저작자에서 저작측과 비저작측을 비교해보았을 때 비저작측의 교합면적은 저작측에 비해 작았으나 (p<0.005), 편측저작자의 저작측과 양측저작군의 어느 한쪽의 교합면적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최초접촉부터 최대교두감합위까지의 경과 시간 및 측방운동 시간, 치아의 활주 면적 및 교합력의 좌우 비율도 양측저작군과 편측저작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저작시 좌우측 중 교합면적이 작은 측을 피하여 교합효율이 높은 방향으로 저작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