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axaca-Blinder decomposition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18초

그룹홈과 아동양육시설의 운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Blinder-Oaxaca 분해를 중심으로 (The Factors Influencing Service Outcomes of Group Homes and Residential Care Centers : Focusing on Blinder-Oaxaca Decomposition)

  • 정익중;우석진;강현아;전종설;이정애
    • 아동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107-127
    • /
    • 2012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actors influencing service outcomes of group homes and residential care centers, as well as the factors causing any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ervice outcomes. 119 and 137 5-6th graders were selected from group homes and residential care centers respectively, using the cluster sampling method. Multiple regression and Blinder-Oaxaca decomposition were used in this study. The results revealed that 'stigma', 'school adjustment', and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service outcomes among children in group homes, while 'stigma', 'primary caregivers' attitude', and 'peer relations'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factors among children in residential care centers. The study also found that the mean service outcome score for group homes was higher than that of residential care centers. The 74 percent of this difference in the mean scores was due to the difference in children' characteristics of the two out-of-home care service types. The remaining 26 percent of this difference was due to unobserved characteristics.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in child welfare practices were also discussed.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자산 격차의 요인분해 (A Decomposition of the Gap between the Capital and Non-Capital Regions in the Inequality of Wealth)

  • 정준호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96-213
    • /
    • 2019
  • 본 논문은 2018년 가계금융복지조사 원자료를 대상으로 기존 O-B(Oaxaca-Blinder) 요인분해를 일반화하고 정교화한 가중화 및 RIF(Recentered Influence Function) 회귀 기반의 2단계 O-B 요인분해 기법을 사용하여 순자산 불평등의 수도권과 비수도권 격차 요인들을 분석한다. 이는 소득, 연령, 교육, 가구유형 등과 같은 사회 경제적 요인들의 지역 간 분포 차이가 순자산 불평등의 지역 간 격차에 어떻게 기여했는지를 밝히는 것이다. 자료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분석 결과는 소득, 이혼, 농림어업과 기능조립직, 다문화가구 변수들의 지역 간 차이는 순자산 불평등의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격차를 심화시키지만, 상용직, 관리전문사무직, 서비스판매직, 가구규모 변수들은 그 격차를 완화시키고, 생애주기의 지역 간 차이는 상쇄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서울 지역노동시장권 여성장애인 임금근로자의 이중차별적 임금격차 분석 (Decomposition of Wage Differentials for Women with Disabilities in the Seoul Local Labor Market of Korea)

  • 이영경;임업
    • 지역연구
    • /
    • 제32권2호
    • /
    • pp.45-59
    • /
    • 2016
  • 본 연구는 서울 지역노동시장권에서 여성장애인 임금근로자가 이중차별적 임금차별을 경험하고 있는지, 그리고 그 정도가 어떠한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고찰을 바탕으로 지역노동시장에서 여성장애인이 겪는 이중차별 메커니즘을 파악하고, Oaxaca-Blinder 모형과 Juhn-Murphy-Pierce 모형을 이용하여 여성장애인이 겪는 임금격차를 보다 엄밀하게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자료로는 1차(2008년)와 5차(2012년)의 장애인고용패널조사 자료와 11차(2008년)와 15차(2012년)의 한국노동패널조사 자료를 사용하였다. 임금격차 분해 결과에 따르면, 서울 지역노동시장권 내 여성장애인들은 장애와 여성이라는 조건으로 인해 이중적으로 임금차별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성장애인이 가진 특성과 관측되지 않은 임금결정요소들의 시간에 따른 변화는 장애와 성별에 기인한 임금격차 수준을 전반적으로 감소시켰다. 여성장애인이 가진 특성변화에 따른 임금보상수준 및 관측되지 않은 노동시장 내의 임금불평등도 변화로 인해 성별임금격차는 감소했지만 장애임금격차는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의 주택점유 특성 변화로 분석한 슈바베의 가설 (Does Schwabe's Hypothesis Hold in Korea: Empirical Evidence from the Characteristics Changes of Homeownership Demand in Seoul Metropolitan Area)

  • 강동우;이성우;김현중
    • 토지주택연구
    • /
    • 제3권1호
    • /
    • pp.23-32
    • /
    • 2012
  • 본 연구는 1990년 이후 인구 및 사회경제적으로 고도화된 경제발전의 특징을 보이는 수도권의 주택점유 특성변화를 분석하기 위해서 슈바베의 가설을 검정하였다. 슈바베의 가설은 한 나라의 경제발전에 따라 주택수요를 결정하는 요인이 사회경제적 요인 보다는 인구학적 요인으로 옮겨갈 것이라는 것이다. 슈바베의 가설을 검정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1980년부터 2005년까지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인구주택총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약 25년동안 노정된 수도권 자가소유에 대한 수요 변화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Binary probit모형과 Blinder-Oaxaca 해체기법을 응용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두 가지 연구가설이 성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가소유로 측정한 주택수요변화의 경우 사회경제적 요인보다는 인구학적 변화의 영향력이 198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증대되어 온 것으로 드러났다. 요약하면, 수도권 주택시장의 경우 주택점유에 있어서 가구의 경제적 능력보다는 인구학적 특성변화에 따른 주택소비 구입의사의 중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슈바베의 가설이 유효함을 보여주고 있다.

실외노동과 보상적 임금격차: 지역별·분위별 추이 (Outdoor Workers and Compensating Wage Differentials: A Comparison across Regions and Wage Levels)

  • 정상윤;송창현;김연우;임업
    • 지역연구
    • /
    • 제38권2호
    • /
    • pp.3-20
    • /
    • 2022
  • 본 연구는 폭염 등 기후변화의 영향에 가장 취약할 수 있는 실외근로자에 초점을 맞춰 실외노동에 대한 보상적 임금격차가 지역별 그리고 분위별로 어떻게 다른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근로자 개인 수준의 일반 특성과 작업 환경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근로환경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Oaxaca-Blinder 분해, 무조건분위회귀 분석, 권역별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대부분의 임금 결정요인의 경우 자원효과와 가격효과가 실내근로자에게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경력과 성별 특성의 경우 실외근로자의 임금을 상승시키는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임금 분위가 높을수록 실외근로자에 대한 금전적 보상이 커지며, 하위 분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보상적 임금격차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전국적으로 실외근로자에 대한 보상적 임금격차는 2.4%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권역에 따라 보상적 임금격차의 크기에는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실외노동에 대한 보상적 임금격차의 지역별 및 분위별 이질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문화예술분야 전문인력에 대한 유리천장효과 분석: J산업과 R산업 중심으로 (Glass ceiling in arts and culture professionals: Between J and R industries)

  • 전종섭;허식
    • 문화경제연구
    • /
    • 제21권2호
    • /
    • pp.3-28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RIF 무조건 분위회귀에 Oaxaca-Blinder 분해기법을 적용한 분위회귀임금분해를 통해 문화예술분야에 유리천장 현상이 존재하는지를 규명하는 것이다. 문화예술전문인력들이 종사하는 산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문화콘텐츠" 분야(대분류 J산업) 전문인력과"순수예술" 분야(대분류 R산업) 전문인력으로 구분하였고, 분석을 위해 "고용형태별 임금근로조사" 자료에서 2009년부터 2016년까지의 풀링자료를 이용하였다.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OLS 임금분해 결과 순수예술 전문인력의 임금격차의 크기는 문화콘텐츠전문인력에 비해 낮게 나타났으나 이를 구성하는 차별부분의 비중은 오히려 더 크게 나타났다. 둘째, 분위회귀 임금분해 결과에서는 문화예술영역의 전문인력에 대한 유리천장효과가 서로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콘텐츠 전문인력에서는 중위부분 이후로 임금소득의 상위분위로 이동함에 따라 꾸준히 차별부분이 증가하는 지속적인 유리천장효과가 관찰되었고, 순수예술 전문인력에서는 70분위까지 감소하던 차별부분이 80분위와 90분위에서 급격히 상승하여 제한적인 유리천장효과가 고위영역에 집중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What Explains Socioeconomic Inequality i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Iran? A Blinder-Oaxaca Decomposition

  • Rezaei, Satar;Hajizadeh, Mohammad;Salimi, Yahya;Moradi, Ghobad;Nouri, Bijan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1권5호
    • /
    • pp.219-226
    • /
    • 2018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plain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gap between the poorest and the wealthiest quintiles in the capitals of Kermanshah and Kurdistan Provinces (Kermanshah and Sanandaj), in western Iran. Methods: This was a cross-sectional study conducted among 1772 adults. Data o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ocioeconomic status (SES), lifestyle factors, body mass index, and HRQoL of participants were collected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slope and relative indices of inequality (SII and RII, respectively) were employed to examine socioeconomic inequality in poor HRQoL. Blinder-Oaxaca (BO) decomposition was used to quantify the contribution of explanatory variables to the gap in the prevalence of poor HRQoL between the wealthiest and the poorest groups. Results: The overall crude and age-adjusted prevalence of poor HRQoL among adults was 32.0 and 41.8%, respectively. The SII and RII indicated that poor HRQoL was mainly concentrated among individuals with lower SES. The absolute difference (%) in the prevalence of poor HRQoL between the highest and lowest SES groups was 28.4. The BO results indicated that 49.9% of the difference was explained by different distributions of age, smoking behavior, physical inactivity, chronic health conditions, and obesity between the highest and lowest SES groups, while the remaining half of the gap was explained by the response effect. Conclusions: We observed a pro-rich distribution of poor HRQoL among adults in the capitals of Kermanshah and Kurdistan Provinces. Policies and strategies aimed at preventing and reducing smoking, physical inactivity, chronic health conditions, and obesity among the poor may reduce the gap in poor HRQoL between the highest and lowest SES groups in Iran.

성별 임금격차의 장기 추세와 요인분해분석 (The Long-term Trend and Decomposition of Gender Wage Gap)

  • 장광남
    • 노동경제논집
    • /
    • 제43권2호
    • /
    • pp.75-107
    • /
    • 2020
  • 한국의 1980~2017년까지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성별 임금격차의 장기 추세를 확인하고, 요인 분해기법을 사용하여 발생 요인을 살펴보았다. 1990년대까지는 성별 임금격차 감소 추세가 뚜렷하였으나, 2000년대 이후 감소 추세가 전반적으로 둔화한 것이 특징적이다. 요인 분해기법으로는 Gelbach의 요인 분해기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연령, 학력, 사업체 규모, 산업 및 직업 등 전통적으로 임금을 결정하는 요인들이 성별 임금격차를 설명하는 비중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연령과 학력이 성별 임금격차를 설명하는 비중이 줄어들고, 근속연수가 설명하는 비중이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업이 성별 임금격차를 설명하는 비중이 1990년대 감소하다가 2000년대 이후 다시 증가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Gender Wage Gap in Rural Labour Markets: An Empirical Study of North East India

  • SINGH, Salam Prakash;NINGTHOUJAM, Yaiphaba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9권6호
    • /
    • pp.151-158
    • /
    • 2022
  • Even after three decades of economic reforms, India's labor market is characterized by stark inter-gender differences in terms of both participation rate and working time. Identification of the causes is necessary to remove the disparity and unequal sharing of economic opportunities to make way for women's empowerment. This research attempts in that direction, examining the prevalence of these inequities in rural areas of North-East Indian states using unit-level data from the 2017-18 Periodic Labour Force Survey (PLFS). The methodology for the estimation here is based on Blinder- Oaxaca decomposition method after correcting for sample bias forwarded by Heckman. The analysis shows that in both labor force participation and the wage gap, the females in the region lag behind their male counterparts by a huge margin. Further, the analysis shows that one of the main factors leading to the difference is the disparities in human capital assets. On top of female educational enrollment being low, there is also a huge lack of higher educational attainment, while males have accomplished much better in both the parameters. Moreover, the presence of social stigma against women working and discrimination put the female labor outcomes in a gloomy state.

Decomposition of Socioeconomic Inequality in Cardiovascular Disease Prevalence in the Adult Population: A Cohort-based Cross-sectional Study in Northwest Iran

  • Pourfarzi, Farhad;Moghadam, Telma Zahirian;Zandian, Hamed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5권3호
    • /
    • pp.297-306
    • /
    • 2022
  • Objectives: The incidence of cardiovascular disease (CVD) mortality is increasing in developing countries. This study aimed to decompose the socioeconomic inequality of CVD in Iran. Methods: This cross-sectional population-based study was conducted on 20 519 adults who enrolled in the Ardabil Non-Communicable Disease cohort stud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were used, respectively, to estimate socioeconomic status and to describe the relationships between CVD prevalence and the explanatory variables. The relative concentration index, concentration curve, and Blinder-Oaxaca decomposition model were used to measure and decompose the socioeconomic inequality. Results: The overall age-adjusted prevalence of CVD was 8.4% in northwest Iran.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showed that older adults, overweight or obese adults, and people with hypertension and diabetes were more likely to have CVD. Moreover, people with low economic status were 38% more likely to have CVD than people with high economic status. The prevalence of CVD was mainly concentrated among the poor (concentration index, -0.077: 95% confidence interval, -0.103 to -0.060), and 78.66% of the gap between the poorest and richest groups was attributed to differences in the distribution of the explanatory variables included in the model. Conclusions: The most important factors affecting inequality in CVD were old age, chronic illness (hypertension and diabetes), marital status, and socioeconomic status. This study documented stark inequality in the prevalence of CVD, wherein the poor were more affected than the rich.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policies to monitor, screen, and control CVD in poor people living in northwest Ir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