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TT service characteristics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7초

OTT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 개발을 통한 OTT 사업자 경쟁력 분석 (An analysis of OTT operator competitiveness via OTT platform business model development)

  • 김소현;임춘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0호
    • /
    • pp.303-317
    • /
    • 2021
  • 본 연구는 OTT 산업에 특화된 분석틀을 개발하여 OTT 사업자들의 경쟁력 분석을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비즈니스 모델,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 OTT 특성에 관한 기존연구를 바탕으로 OTT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였고 관련 자료, 문헌, 내부자료의 데이터를 토대로 사례 분석을 하여 국내 OTT 사업자들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 OTT 사업자들은 발전된 AI와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해 오리지널 콘텐츠를 제작하고 플랫폼의 인프라 및 서비스의 질을 향상해야 한다. 또한, 보유한 콘텐츠를 맞춤화된 추천 시스템을 통해 충분히 활용할 수 있어야 하고 이용자들이 선호할 해당 플랫폼만의 오리지널 콘텐츠에 아낌없는 투자가 지속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급변하는 미디어 산업 속에서 OTT 사업자들이 자신만의 경쟁전략을 수립할 수 있는 분석틀을 제공하고 사례 적용을 통해 국내 OTT 사업자들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MZ 세대 직장인을 대상으로 OTT 서비스의 사용빈도와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 분석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requency of use of OTT services and life satisfaction for workers in the MZ generation)

  • 조윤준;이상수;김상윤;조현지
    • 미래기술융합논문지
    • /
    • 제2권1호
    • /
    • pp.33-40
    • /
    • 2023
  • 본 연구는 MZ 세대 직장인을 대상으로 OTT 서비스의 사용빈도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한국미디어패널의 설문조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각적으로 분석하였다. 최근 OTT 서비스 시장이 급격하게 성장했지만 이러한 변화가 MZ 세대의 삶에 대한 어떠한 변화를 가져왔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했다. 본 연구에서는 MZ 세대 직장인의 특성에 따라 OTT 서비스의 사용빈도를 알아보고, 사용빈도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지 연구모형을 설정하여 검정하고자 하였다. 실제로 MZ 세대의 성별, 연령대에 따라 사용빈도가 달라졌고, 사용빈도도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디어 콘텐츠의 이용행태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를 처음으로 연구했다는 점에서 학문적인 기여를 가진다. 향후 사용빈도뿐만 아니라 OTT 콘텐츠의 종류, OTT 서비스의 사용 시간대 등으로 추가적인 연구가 가능하다.

스마트폰에서의 OTT(Over The Top)서비스 시청패턴 추적 어플리케이션 설계 : 티빙(tving)을 중심으로 (An Application-embedded method to trace OTT viewing patterns on smartphone)

  • 최선영;김민수;김명준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1000-1006
    • /
    • 2014
  • 본 연구는 스마트폰에서 OTT 서비스 이용이 활성화되고 있는 것에 주목하여 텔레비전 콘텐츠 시청 행위 추적 방법의 설계를 제안한다. 이를 위해 기존 OTT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시청 맥락의 흐름(flow)과 패턴을 기록하는 로그 파일 기록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로그 파일 포맷은 기존의 분단위 시청률 조사방법이 아닌 초단위 측정으로 이용자 스마트폰을 통한 시청 행위와 시청 시간을 정확하고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간 방송 VOD 광고 콘텐츠 속성 및 플레이 모드에 따라 나타나는 시청 행태를 발생 이벤트에 따라 추적할 수 있었으며, GPS 데이터를 로그 파일 기록과 매칭한 결과 시청의 공간적 맥락을 분석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패널을 이용한 통합시청률 조사 또는 모바일 민속지학(Mobile Ethnography) 에서의 방법론적 활용과 같은 학문적 실무적 의의를 논의하였다.

국내 콘텐츠 소비자의 코드커팅 요인 연구 (What Drives Korean People to Cut the Cord?)

  • 권혁인;김주호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31-53
    • /
    • 2020
  • The traditional media ecosystem is facing major changes with the expansion of over-the-top (OTT) services. While the percentage of people cutting the cord has already exceeded the percentage of people subscribing to pay TV services in the United States, due to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market, it is uncertain whether the cord-cutting trend will have an impact on the Korean media industry despite of the advantages of OTT services. Accordingly, this study has directly determined the beneficial and sacrificial factors of switching to OTT services, as well as the personal and external influences behind the Korean OTT service users' intention to switch. To achieve this, the Value-based Adoption Model (VAM) was used to measure the benefits of OTT services with regards to their content and systems, as well as measure the financial and procedural switching costs of cord-cutting; further, personal innovativeness and consumers' social image were added as external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consumers take the content and system quality of OTT services and procedural switching costs and into consideration, and that their intention to switch was based on social image. These results could serve as data for consumer analysis regarding the expansion of OTT services into the Korean media industry, and also provide the strategic basis for preparing for sudden changes that may occur in the media ecosystem due to cord-cutting.

구독형 OTT 서비스 특성이 이용자 만족과 지속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넷플릭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Effects of Service Characteristics of a Subscription-based OTT on User Satisfaction and Continuance Intention: Evaluation by Netflix Users)

  • 정용국;장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123-135
    • /
    • 2020
  • 본 연구는 넷플릭스의 서비스 특성 요인을 콘텐츠 다양성, 요금제 적절성, 추천 시스템, N-스크린 서비스, 몰아보기, 서비스 품질 등 6개 차원으로 구분하고, 각 차원이 이용자 만족과 지속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넷플릭스 서비스를 이용한지 1년 미만인 신규 가입자 20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넷플릭스 서비스의 콘텐츠 다양성, 추천 시스템, 몰아보기 기능, 서비스 품질은 이용자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넷플릭스 서비스 특성 인식이 지속 사용 의도에 미치는 직접 효과와 이용자 만족을 통해 영향을 미치는 간접 효과를 분석한 결과, 먼저 N-스크린 서비스는 지속 사용 의도에 직접 효과도 간접 효과도 모두 미치지 않았다. 반면에 콘텐츠 다양성, 추천 시스템, 몰아보기 기능과 서비스 품질은 지속 사용 의도에 대한 직접 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이용자 만족을 통한 간접 효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요금제 적절성은 지속 사용 의도에 미치는 직접 효과가 유의미했지만 이용자 만족을 통한 간접 효과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용자 만족과 지속 사용 의도는 예측한 바와 같이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내 복합 서비스의 사용자 경험 디자인에 관한 연구 - 티빙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UX Design for Mobile Application of Combined Services - Focused on TVing)

  • 안다은;정수아;윤미령;구연경;정영욱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3호
    • /
    • pp.497-508
    • /
    • 2021
  • 코로나 19 확산 이후 OTT시장이 급성장했고 그 결과 OTT플랫폼 시장의 경쟁이 심화 되었다. 그중 티빙은 타 서비스와의 차별화를 위해 복합적인 형태의 미디어 상거래 서비스를 사용자들에게 제공 하고 있다. 서로 다른 성격의 서비스를 하나의 앱에서 제공할 때 그에 적합한 사용성을 제공하지 않으면 오히려 사용자 경험을 해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용성 평가 방법을 활용하여 티빙 앱의 사용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서로 다른 성격을 가진 두 가지 서비스를 통합하여 제공할 때 고려해야 할 사용자 경험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사용성 평가에 대한 분석은 ISO에서 제시하는 사용성 평가의 분석 항목을 기준으로 효과, 효율, 만족도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 사용자들은 서비스 간의 연결성, 쉬운 탐색, 통일성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I) 디자인, 정보와 주제 간의 연관성이 서로 다른 성격의 서비스를 하나의 앱에 제공할 때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디자인 요소로 발견되었다. 이 디자인 고려사항은 티빙뿐만 아니라 복합적인 서비스를 하나의 앱에서 제공하는 상황에도 확대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각된 넷플릭스 개인화 추천 서비스가 이용자 기대충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erceived Netflix Personalized Recommendation Service on Satisfying User Expectation)

  • 정승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7호
    • /
    • pp.164-175
    • /
    • 2022
  • OTT(Over The Top) 플랫폼은 개인화된 추천 서비스가 이용자들을 플랫폼에 더 오래 머물게 하고, 더 자주 방문하게 한다는 점에서 차별적 경쟁우위 특성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화된 추천 서비스의 특성을 추천 정확성과 추천 다양성, 추천 신기성의 3가지로 구분하고, 각 특성이 이용자가 추천 서비스에 대해 인지하는 유용성에 영향을 미치고, 기대충족으로 이어지는 연구모형을 제안하였다. 넷플릭스를 정기구독 결제하는 20, 30대 3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추천 서비스의 정확성과 다양성, 신기성이 높았을 때 지각된 유용성이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높은 지각된 유용성은 넷플릭스 이용 전후의 기대충족으로 이어진다는 점 역시 확인하였다. 도출된 연구 결과는 개인화된 추천 서비스 평가에서 이용자 경험 측면의 중요성과 추천 서비스 품질 개선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ISP의 OTT 트래픽 품질모니터링과 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Quality Monitoring and Prediction of OTT Traffic in ISP)

  • 남창섭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115-121
    • /
    • 2021
  • 본 논문은 급증하는 인터넷 트래픽예측을 위해 빅데이터와 인공지능기술을 이용하였다. 기존에 트래픽 예측에 관해 다양한 연구가 있었지만 최근 스마트폰이나 스트리밍 등 거대한 인터넷 트래픽을 유발하는 증가 요소를 반영하지는 못했다. 더불어 대용량 인기 게임 출시나 OTT(Over the Top)사업자의 신규 컨텐츠 제공과 같은 이벤트성 요소는 사전 예측이 더욱 어렵다. 이러한 특성으로 기존 방법으로는 ISP(Internet Service Provider)가 실시간적 서비스 품질관리나 트래픽 예측치를 네트워크 사업환경에 반영하기가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기존 NMS와는 별개로 트래픽 데이터를 실시간적으로 탐색, 판별하여 수집하는 인터넷 트래픽 수집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이를 통해 수집대상의 데이터를 자동등록할 수 있는 유연성과 탄력성을 확보하였으며 실시간 네트워크 품질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시스템에서 수집된 대량의 트래픽 데이터를 머신러닝(AI)으로 분석하여 OTT 사업자의 미래 트래픽을 예측하였다. 이를 통해 보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예측이 가능해졌으며 더불어 ISP 사업자 간의 연동 최적화와 대형 OTT 서비스의 품질확보가 가능할 수 있게 되었다.

국내 OTT(Over-The-Tops) 서비스 성공 요인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Key Success Factors of Over-The-Tops in South Korea)

  • 이소율;박현준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6호
    • /
    • pp.135-154
    • /
    • 2021
  • 본 논문은 국내 OTT 서비스들을 비교 분석하여 그 성공 요인과 전략을 도출하고, 국내기업을 선도하고 있는 웨이브만의 차별화 전략을 알아본 것이다. 시장 점유율 상위 다섯 개의 서비스를 사업자 및 콘텐츠, 수익 구조, 개인화, 인터랙티브 미디어 그리고 cooperation의 기준으로 성공 요인을 비교한 뒤, 사업전략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국내 OTT 서비스들의 공통된 성공 요인은 사업자의 특성이 반영된 콘텐츠, Hybrid VOD, 하이브리드 필터링, 실시간 참여 인터랙티비티 그리고 동·이종 산업 간 제휴 및 기존 사업 분야 활용으로 나타났다. 또한, 하나 이상의 사업전략을 도입하여 사업 범위를 확장하고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운영했음을 확인했다. 웨이브는 대중적으로 검증된 자사 콘텐츠를 보유했으며, B2C에는 장기 혜택과 해외 이용 서비스를, B2B는 체계적인 이용권 시스템을 운영하여 다른 서비스들과 차별화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논문이 2021년 각 서비스의 강점과 차별점을 파악하고, 성장기에 놓인 국내 OTT 산업으로의 진입, 경쟁전략 수립하는 데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A Case Study on Partnership Types between Network Operators & Netflix: Based on Corporate Investment Model

  • Minzheong, S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2권1호
    • /
    • pp.14-26
    • /
    • 2020
  • We categorize partnership types between network operators and a global video streaming or over-the-top service provider, Netflix from 2011 to the first quarter 2018. The options are based on the integration of over-the-top (OTT), Netflix with pay TV and telecommunication operators in the form of carrier billing, access to over-the-top (OTT) via devices or the development of their tariff plans. Options of the Type 3, 'cooperation' or the Type 4, 'agreement' entails a kind of the technical involvement between two partners and commercial agreement. The types of partnership are evolving from one to others. Some partnerships have characteristics of more than one type. The majority of technical or service integration cooperation of Type 3 entail bundling and marketing promotion of Type 2 and Type 1. Similarly, the 'agreement' of Type 4, co-branded or white-label service initiative entail tariff or device user interface (UI) integration of the 'cooperation' of Type 3 and joint marketing initiatives of Type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