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AC assay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2초

Microplate-Based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 Assay of Hydrophilic and Lipophilic Compartments in Plasma

  • Kwak Ho Kyung;Blumberg Jeffrey B.;Chen Chung Yen;Milbury Paul E.
    • Nutritional Sciences
    • /
    • 제9권1호
    • /
    • pp.48-54
    • /
    • 2006
  • Methods have been developed to evaluate the total antioxidant capacity of foods and plasma but limitations are associated with their ability to determine precisely the contribution of lipophilic antioxidants in a lipid milieu as well as interactions among them Thus, we modified the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 assay to determine the peroxyradical scavenging ability of both hydrophilic and lipophilic compartments in plasma The hydrophilic ORAC assay was performed in a phosphate buffer system utilizing 2,2'-azobis (2-amidinopropane) dihydrochloride as a peroxyradical generator and fluorescein as the target The lipophilic ORAC assay was carried out in a dimethylsulfoxide :butyronitrile (DMSO/BN, 9:1 v/v) system using 2,2'-azobis (2,4-dimethyl valeronitrile) as a peroxyradical generator and BODIPY C11 581/591 as the target Analyses were conducted in bovine serum supplemented with water - and lipid - soluble antioxidants and in human plasma. Albumin (0.5$\sim$5 g/dL) and uric acid (0.1$\sim$0.5 $\mu$mol/L) increased hydrophilic ORAC values in a dose-dependent fashion ($R^{2}$=0.97 and 0.98, respectively) but had no impact on lipophilic ORAC values. $\alpha$-Tocopherol (15$\sim$200 $\mu$mol/L) increased lipophilic ORAC values in a dose-dependent fashion ($R^{2}$=0.94); neither $\alpha$-tocopherol nor $\beta$-carotene had an impact on hydrophilic ORAC values. However, addition of $\beta$-carotene at physiological concentration (0.23$\sim$1.86 $\mu$mol/L), either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other carotenoids, had no significant impact on lipophilic ORAC values. Thus, while assays of 'total antioxidant capacity' in biological matrices would be a useful research and clinical tool, existing methods are limited by the lack of complete responsiveness to the full range of dietary antioxidants.

ORAC Assay 에 의한 인삼의 항산화 활성 연구 (Determination of the Antioxidant Capacity of Korean Ginseng Using an ORAC Assay)

  • 김성환;김영목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393-401
    • /
    • 2007
  • 인삼의 여러 생리 활성 가운데 항산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백삼(6 년근), 백삼(5 년근), 피부백삼(5 년근), 피부백삼 (4 년근) 의 80% 에탄올 엑기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수포화 부탄올 분획, 물 분획을 얻은 후 LC/Mass 를 사용하여 사포닌 함량을 조사하고 기존의 여러 가지 항산화 작용 측정 방법들의 오류를 없애고 더욱 정확한 결과를 낼 수 있는 대처 방안으로 선정된 ORAC Assay에 의해 항산화 활성을 검토하였다. 인삼 중 사포닌은 ginsenoside Rg 1 과 Rb1 이 주요 성분으로 다량 함유하고 있었으며, Rc, Rb2, Re 등이 뒤를 이었고, 그밖에도 Rd, Rg3, Rh1가 널리 분포하고 있었다. 피부백삼 5 년근의 경우 에탄올 엑기스와 수포화 부탄올 분획에서 다른 인삼 분획에 비해 높은 함유량을 보였으나 실험의 한계상 인삼 재배기간과 인삼 종류별 각각의 분획에 대한 사포닌 함량 비교는 어려웠다. 인삼의 각 분획별 항산화 활성은 80% 에탄올 엑기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수포화 부탄올 분획, 물 분획 모두에서 나타났고 비교적 전체 유기 용매 분획의 값이 비슷하였으며, 수층 분획이 다소 낮은 활성을 보였다. 검체 인삼들의 각 용매추출 분획 상호간의 유의성 비교에서는 모든 인삼 검체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서만 유의성을 나타내었다(p>0.05). 인삼 중 항산화 활성은 에틸아세테이트 층으로 이행되는 폴리페놀 계통 성분이나 일부 비극성의 사포닌에 의한 것으로 추측되고 있으나 모든 분획에서 나타난 것으로 보아 이들 외에 산성 다당체, 당 단백질, 수용성 다당류 등 다른 생리활성 물질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 PDF

노각나무 가지의 Phenol성 성분 (Phenolic Compounds from the Twigs of Stewartia pseudocamellia)

  • 배종진;곽종환
    • 생약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03-308
    • /
    • 2015
  • Ten phenolic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the twigs of Stewartia pseudocamellia. The isolated compounds were identified as 5,7,3',5'-tetrahydroxyflavanone (1), 3,5,7,3',5'-pentahydroxyflavanone (2), quercetin (3), (+)-aromadendrin (4), (+)-ampelopsin (5), myricetin (6), (+)-catechin (7), (-)-epicatechin (8), kaempferol (9), and fraxin (10) by spectroscopic analysis. Compounds 1, 2, 4, 6, 8, and 9 were isolated from this plant for the first time.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compounds 1-10 were evaluated by the DPPH and/or ORAC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assay. Compounds 3, 5-9 showed significant antioxidative effects on DPPH assay. Among the active compounds, 6 exhibited higher activity compared to trolox on ORAC assay.

누리장나무 꽃의 Flavonoid 성분 (Flavonoids from the Flower of Clerodendrum trichotomum)

  • 이종욱;강세찬;배종진;이경복;곽종환
    • 생약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289-294
    • /
    • 2015
  • Seven flavonoids were isolated from the flower of Clerodendrum trichotomum. Their structures were identified as apigenin (1), genistein (2), chrysoeriol (3), genistein 7-O-glucoside (4), kaempferol 3-O-glucoside (5), isorhamnetin 3-O-glucoside (6) and apigenin 7-O-glucoside (7) on the basis of spectral data. These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C. trichotomum for the first tim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compounds 1-7 were evaluated by the ORAC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assay, and the ORAC values were expressed as relative trolox equivalent. All isolated compounds exhibited antioxidant activity.

천연물로부터 유래한 천연 항산화제 규명 (Evaluation of Anti-Oxidant from Natural Products)

  • 권진아;양윤정;박종혁;강세찬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1년도 임시총회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20-20
    • /
    • 2011
  • In this study, we analyzed 80%MeOH extract of fruits of sorbaria sorbifolia var. stellipila MAX. to measure the total antioxidant capacity by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 assay, individual flavonoid content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n-Hexane ($1.02{\pm}0.036$), $CH_2Cl_2$ ($0.95{\pm}0.025$), EtOAc ($1.94{\pm}0.065$), n-BuOH ($1.98{\pm}0.054$), D.W. ($1.2{\pm}0.032$) fractions were examined antioxidative activity by ORAC assay. It was revealed that EtOAc($1.94{\pm}0.065$), n-BuOH($1.98{\pm}0.054$) fractions had significant antioxidative activity. The isolation and separation were facilitated using open column chromatography, while separation, purification and identification were accomplished by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and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 PDF

오가피순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아질산염 소거능 (Antioxidant Effects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Extract from Acanthopanax cortex Shoot)

  • 유석영;이영준;송호성;홍희도;임정호;최현선;이부용;강석남;이옥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793-79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오가피순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평가하였다. 오가피순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116.33{\pm}6.09mg\;GAE/g$, $65.07{\pm}4.10mg\;RE/g$으로 나타났다. 오가피순 추출물의 항산화능은 다양한 항산화 모델(DPPH, FRAP, Reducing power, ABTS, ORAC assay)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ORAC assay를 제외한 위의 항산화 모델에서는 0.1, 0.5 및 $1.0mg/m{\ell}$의 농도로 측정한 결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오가피순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23.3{\pm}0.8$, $28.8{\pm}1.3$$33.7{\pm}3.7%$로 평가되었고, ABTS 경우에는 6.42, 12.47 및 16.69%로 측정되었다. 또한, FRAP 활성은 0.081, 0.160 및 0.259로, Reducing power는 0.034, 0.097 및 0.180으로 나타나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활성도 증가하였다. 한편 $0.1mg/m{\ell}$에서의 ORAC value는 $103.4{\pm}3.6{\mu}M\;TE/g$으로 나타났고, 아질산염 소거능은 0.1, 0.5 및 $1.0mg/m{\ell}$의 농도에서 각각 3.6, 9.0 및 13.2%로 나타났다. 최근 건강기능 식품의 관심도가 증가하는 것을 고려해 볼 때, 오가피순 추출물은 기능성식품 또는 천연 항산화제의 소재로써의 이용 가능성을 보였다.

쉬땅나무(Sorbaria sorbifolia var. stellipila MAX.) 열매의 항산화 활성 성분 (Antioxidative Constituents from Fruit of Sorbaria sorbifolia var. stellipila MAX.)

  • 박종혁;권진아;양윤정;한효상;한민우;이영일;김인수;이종일;강세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37-342
    • /
    • 2011
  • 합성항산화제의 독성과 부작용으로 인한 천연물유래 항산화제에 대한 관심과 연구개발이 활발한 가운데 추출물 단계에서 ORAC assay를 통하여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쉬땅나무(Sorbaria sorbfolia var. stellipila Max.) 열매의 생물학적 생리활성 성분을 분리, 동정하기 위하여 국내에 자생하는 쉬땅나무의 열매를 채집하여 80% MeOH로 추출한 후 일반적인 용매분획법에 의해 분획한 분획물과 추출물을 대상으로 ORAC assay를 실시한 결과 80% MeOH추출물과 EtOAc, n-BuOH분획에서 천연항산화제인 trolox보다 우수한 활성이 나타났으며, 이중 가장 우수한 활성을 나타낸 EtOAc 분획물로 부터 각종 chromatography 기법을 통하여 분리, 정제한 결과 flavonoid계열의 화합물인 catechin을 단리 하였다. 단리 되어진 catechin은 쉬땅나무의 열매에서는 처음으로 본 연구에서 보고되는 성분으로 ORAC assay에서 대조군인 trolox에 비해 높진 않지만 유사한 활성이 나타나, vitamine E와 유사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여지며, 따라서, 이 성분 외에 다양한 항산화 활성 성분들의 복합작용으로 인하여 쉬땅나무열매 추출물 및 분획물이 vitamine E에 비하여 3배 이상의 높은 항산화 활성이 나타나고 있음을 시사하는 바이다. 현재까지 쉬땅나무에 대한 식물학적 성분연구 및 유효활성 성분연구가 다른 천연물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flavonoid계 화합물이 TLC확인 시험을 통하여 확인한 바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어, 향후 이와 유사한 다양한 flavonoid계열의 화합물을 분리하여,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갖는 천연물의약품의 기초자료 제공 등 항산화 성분연구에 많은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시판 천연 과일주스와 채소주스의 항산화능과 임파구 DNA 손상 방지 효능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y and prevention of lymphocyte DNA damage by fruit and vegetable juices marketed in Korea)

  • 조미란;이혜진;강명희;민혜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0권1호
    • /
    • pp.1-9
    • /
    • 2017
  • 우리나라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항산화 활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 시판 100% 천연 과채류 주스 중 과일주스, 채소주스, 녹즙 및 채소혼합주스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항산화 활성의 측정법으로는 DPPH, TEAC, ORAC 법 등 세 가지 in vitro 측정법과 comet assay를 이용한 ex vivo 분석법으로 과채류 주스의 항산화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DPPH 분석법으로 항산화능을 측정한 결과 블루베리주스, 채소혼합주스 C, 케일 녹즙, 채소혼합주스 P, 포도주스 순으로 높았으며, TEAC 방법으로 측정한 주스 시료들의 항산화 활성은 블루베리주스, 채소혼합주스 C, 포도주스, 채소혼합주스 P, 케일 녹즙 순으로 높았다. 또한, ORAC으로 측정한 항산화 활성은 블루베리 주스, 케일 녹즙, 채소혼합주스 C, 포도주스, 오렌지주스 순으로 나타났다. 세 가지 in vitro 측정법에 따른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블루베리 주스가 항산화능이 가장 우수했으며 이어서 포도 주스, 채소혼합주스 C, 케일 녹즙 순으로 항산화 활성이 높았다. 인체의 임파구 DNA의 손상을 감소시키는 정도를 ex vivo 분석법인 comet assay로 분석한 결과 블루베리 주스와 포도 주스의 DNA 손상 감소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GSTM1/GSTT1 유전형에 따른 차이가 크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조사한 국내에서 시판하고 있는 100% 천연 주스 14종 가운데 페놀성 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가 풍부한 것으로 알려진 블루베리 주스, 포도 주스의 항산화 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채소혼합주스로는 안토시아닌이 풍부한 보라색을 띄는 주스류의 항산화 활성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애기땅빈대의 항산화 활성 성분 (Antioxidative Constituents from the Whole Plants of Euphorbia supina)

  • 홍현경;곽종환;강세찬;이종욱;박종혁;안종웅;강혜숙;정의수;지옥표
    • 생약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60-264
    • /
    • 2008
  • Eight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the EtOAc soluble fraction of Euphorbia supina MeOH extract as the radical scavengers for antioxidant activity. Their structures were identified as kaempferol (1), quercetin (2), juglanin (3), avicularin (4), astragalin (5), isoquercitrin (6), hyperin (7), and nicotiflorin (8) by spectroscopic analysis.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evaluated by the ORAC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assay, which measures scavenging activity against peroxy radicals induced by 2,2'-azobis (2-methylpropionamidine) dihydrochloride, and the ORAC value is expressed as relative trolox equivalent. Compounds 4, 6, and 7 exhibited potent antioxidant activity, whereas the other compounds showed weaker activity than trolox.

유색감자 홍영 및 자영 추출물의 생물학적 활성 비교 (Comparative Study on Biological Activities of Colored Potatoes, Hongyoung and Jayoung Cultivar)

  • 강세찬;정명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233-238
    • /
    • 2008
  • 괴경 내부에 적색과 보라색 안토시아닌 색소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고, 색상의 기호도 및 건강 기능성으로 인해 소비자로부터 기호도가 증대된 유색감자의 생리적 활성을 검토하기 위해 유색감자로서 괴경 내부가 적색인 홍영, 괴경 내부가 보라색인 자영의 추출물에 대하여 ORAC를 통한 정밀한 항산화력의 비교, NO 억제 및 iNOS, COX-2의 발현 억제 활성을 비교, 검토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유색감자 홍영 및 자영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검정 결과 추출물의 농도가 $2\;{\mu}g/mL$ 이하 수준에서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10\;{\mu}g/mL$을 처리한 경우 시료 간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유색감자 중 괴경 내부의 색상이 적색인 홍영은 ORAC value 0.257, 자영은 ORAC value 0.402로 대조 표준액인 trolox 보다 낮은 수치를 보였지만, 각각의 추출물로부터 유색의 원인이 되는 안토시아닌을 순수 분리하여 활성을 평가할 경우 표준액인 trolox와 동등 혹은 그 이상의 항산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2. 홍영 및 자영 추출물이 RAW 264.7 세포의 LPS에 의해 유도된 NO 생성을 억제함을 확인하였고, 또한 Western blot으로 분석한 결과 각 추출물에 의한 iNOS 발현 억제는 NO 형성 억제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므로, NO 형성 억제는 iNOS의 발현 저해 경로를 통하여 억제되는 것을 알 수 있고, 또한 홍영 및 자영 추출물이 LPS에 의해 형성되는 PGE2를 감소시킬 것으로 판단되는데, 이는 COX-2 단백질의 발현 저해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3. 유색감자 중 괴경 내부가 적색인 홍영품종은 자색인 자영품종에서 보다 상대적으로 우수한 COX-2 발현 단백질 저해효과가 확인되었으며, 괴경 내부가 보라색인 자영품종은 ORAC를 통한 항산화 활성, NO 및 iNOS 억제효과가 홍영 대비 30% 이상 증가된 양상을 나타내므로, 홍영과 자영 품종에 함유된 안토시아닌은 서로 다른 기능의 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품종별 용도를 구분하여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