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OB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5초

OpenCable 용 POD 모듈의 DVS167 OOB Processor 개발 (Development of DVS167 OOB Processor in POD Module for OpenCable)

  • 박부식;위정욱;임기택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3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II
    • /
    • pp.843-846
    • /
    • 2003
  • In this paper, we have analyzed algorithm of physical layer, data link layer and MAC layer of Out-Of-Band (OOB) specified in the OpenCabl $e^{TM}$SCTE-55-2 2002$^{[3]}$ and designed architecture of the OOB processor. The OOB processor performs fundamental multiple access control for the OOB channel and extracts session key information from a EMM packet for descrambling MPEG-2 streams. In this paper, we have implemented a prototype board for the DVS167 OOB processor and verified it.t.

  • PDF

동적 기호 실행을 이용한 힙 메모리 OOB 취약점 자동 탐지 방법 (Automated Method for Detecting OOB Vulnerability of Heap Memory Using Dynamic Symbolic Execution)

  • 강상용;박성현;노봉남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8권4호
    • /
    • pp.919-928
    • /
    • 2018
  • OOB(Out-Of-Bounds)는 힙 메모리에서 발생하는 취약점 중 가장 강력한 취약점 중 하나이다. OOB 취약점을 이용하면 Array의 길이를 속여 해당 길이만큼의 메모리를 읽기 혹은 쓰기가 가능하기 때문에 공격자는 기밀 정보에 대한 무단 액세스를 악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동적 기호 실행과 쉐도우 메모리 테이블을 활용하여 힙 메모리에서 발생하는 OOB 취약점을 자동으로 탐지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힙 메모리 할당 및 해제 함수 후킹을 통해 쉐도우 메모리 테이블을 구축한다. 이후 메모리 액세스가 발생할 때, 쉐도우 메모리를 참조하여 OOB가 발생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고, 발생 가능성이 존재할 경우 크래시를 유발하는 테스트케이스를 자동으로 생성한다. 제안하는 방법을 활용할 경우, 취약한 블록 탐색에 성공한다면 반드시 OOB를 유발하는 테스트케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전통적인 동적 기호 실행과는 다르게 명확한 목표 지점을 설정하지 않더라도 취약점 탐색이 가능하다.

Gesture Input as an Out-of-band Channel

  • Chagnaadorj, Oyuntungalag;Tanaka, Jiro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0권1호
    • /
    • pp.92-102
    • /
    • 2014
  •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growing interest in secure pairing, which refers to the establishment of a secure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wo mobile devices. There are a number of descriptions of the various types of out-of-band (OOB) channels, through which authentication data can be transferred under a user's control and involvement. However, none have become widely used due to their lack of adaptability to the variety of mobile devices.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new OOB channel, which uses accelerometer-based gesture input. The gesture-based OOB channel is suitable for all kinds of mobile devices, including input/output constraint devices, as the accelerometer is small and incurs only a small computational overhead. We implemented and evaluated the channel using an Apple iPhone handset.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channel is viable with completion times and error rates that are comparable with other OOB channels.

5세대 이동통신을 위한 OFDM, UFMC, FBMC 시스템의 BER과 스펙트럼의 비선형 특성 평가 (Nonlinear Effect on the BER and Spectrum Shape of OFDM, UFMC and FBMC for 5G Mobile Communication)

  • 이동형;안창영;궁경록;김병재;유흥균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3권6호
    • /
    • pp.3-14
    • /
    • 2016
  • 최근 5G 모바일 통신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KPI(Key Performance Indicator)를 만족시키기 위해 새로운 Waveform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연구 중인 차세대 Waveform 중 OOB의 전력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기술로 UFMC 및 FBMC가 잘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OFDM, UFMC, FBMC 각 시스템의 HPA 비선형성에 대한 특성을 스펙트럼 및 BER 성능 측면에서 평가하고 분석한다. 각 시스템을 설계한 후 HPA 선형 및 비선형 조건에 대한 스펙트럼 및 BER 특성을 평가해본 결과, HPA 비선형 특성이 증가할수록 OFDM, UFMC, FBMC 신호 모두 OOB의 전력 크기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FBMC가 가장 큰 폭으로 OOB의 전력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BER 성능 측면에서 보면 HPA 비선 형성이 증가할 때, 모든 시스템의 성능이 열화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논문에서는 실제 시스템을 구현할 때, HPA 비선형성에 의해서 BER 성능 및 OOB 전력 특성이 열화되어 유사한 특성을 갖게 되므로, 낮은 복잡도와 고속 처리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이 유리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NFC를 OOB 채널로 활용한 사물인터넷 보안 설정 기술 (Secure Configuration Scheme for Internet of Things using NFC as OOB Channel)

  • 김정인;강남희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13-19
    • /
    • 2016
  • PSK(Pre-shared Secret Key) 기반 방식은 공개키 기반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세션키를 설정하는 방식보다 적은 계산 시간과 에너지를 사용하므로 경량화 장치로 구성되는 IoT 환경에 적절하다. PSK 기반 방식의 주요한 전제는 사전에 통신 주체 간에 PSK가 안전하게 설정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IoT 환경의 작은 센서나 액추에이터의 경우 설정을 위해 필요한 키보드, 모니터 같은 입출력장치가 부재하므로 기존 인터넷 장치들보다 PSK를 안전하게 설정하기가 어렵다. 특히 일반 사용자의 경우 보안전문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에 설정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공장에서 제조 시 설정되는 기본 값을 사용하거나 장치의 설치자가 설정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이 경우 모든 설치자들과 제조사들을 신뢰할 수 있는지는 생각해 볼 문제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자원이 제한적인 소형 장치들을 대상으로,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OOB(Out-Of-Band) 채널로 활용한 안전한 초기 설정 (secure bootstrapping) 기술을 제안한다.

1.5Gbps 직렬 에이티에이 전송 칩 구현 (Implementation of 1.5Gbps Serial ATA)

  • 박상봉;허정화;신영호;홍성혁;박노경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1권7호
    • /
    • pp.63-70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PC 의 스토리지 인터페이스로 사용되는 병렬 ATA를 대체하게 될 새로운 표준인 직렬 ATA 의 링크 층과 물리 층을 설계하였다. 링크층에서는 CRC 생성 및 오류 감지, 스크램블링 회로, 8b/10b 복호화/부호화 회로 및 프리미티브 생성/검파 회로로 구성되었다. 물리 층은 직렬화/병렬화 회로와 전원 초기 인가시의 리셋 발생회로, OOB 신호 발생/검파 회로, 데이터로부터 클록을 복원하는 회로, 스?치 회로 및 임피이던스 조정 회로와 콤마 발생/감지 회로로 설계하였나. 또한 불리 층과 링크층의 동작을 확인하기 위한 테스트 제어 블록과 BIST(Built In Self Test) 블록을 설계하였다. UMC 사의 0.18㎛ 표준 CMOS 공정을 이용하여, 칩으로 제작 후 특성을 검증하였다. 링크 층에서 요구하는 모든 기능 및 특성은 사양을 만족하였고, 물리 층의 출력 전압 및 드라이버 출력 지터, OOB 신호등의 특성도 만족하였다. 데이터 전송 율은 1.5Gbps 속도의 사양목표치에 비해서, 실제 측정된 데이터 전송 속도는 1.28Gbps로 측정되었다. 회로 시뮬레이션에 의한 확인 결과, 레이아웃에서의 배선에 대한 기생 성분의 영향에 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1.5MHz직렬 ATA 물리층 회로 설계 (Design of 1.5MHz Serial ATA Physical Layer)

  • 박상봉;신영호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1권2호
    • /
    • pp.39-45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직렬 ATA 물리층에 대한 설계 및 칩 제작 후 테스트 결과와 성능 평가를 서술하였다. 직렬 ATA 의 물리층은 +/-250㎷ 의 전압 레벨과 1.5㎓ 속도를 지니는 차등 NRZ 직렬 데이터 스트림을 송신 및 수신하는 회로와 1.5㎓ 송신 PLL 회로, 수신된 1.5Gbps 직렬 데이터 스트림에서 데이터 및 송신 클럭을 복원하는 회로와 SERDES 회로 및 OOB 신호 발생 및 검파 회로 등으로 구성하였다. 설계된 직렬 ATA 물리층은 UMC 사의 0.18㎛ 표준 CMOS 공정을 이용하여 칩으로 제작 후 성능을 검증하였다. 특성 검토 결과 대부분 사양을 만족하였고, 데이터 전송 속도 1.5Gbps 사양은 실지 측정치가 1.38Gbps 로 목표 사양에 8% 미달되었다.

지상파/케이블 데이터방송 재전송 서비스를 위한 PMCP 기반 PSIP 변환기 (PSIP Converter based on PMCP for Terrestrial/Cable Data Broadcasting Retransmission Service)

  • 최지훈;김용호;최진수;홍진우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2B권6호
    • /
    • pp.647-654
    • /
    • 2005
  • 본 논문은 디지털방송 서비스의 필수 기술 요소이고 디지털방송 전환과 밀접하게 관련 있는 PSIP 응용 기술인 디지털방송 표준 인터페이스로 표준화된 PMCP(Program Metadata Control Protocol) 인터페이스 규격과, 이를 이용하여 구현된 지상파/케이블 데이터방송 재전송 서비스를 위한 PSIP 변환기의 구조 및 주요 기능에 대해서 기술한다. 본 논문의 PSIP 변환기는 지상파/케이블 데이터방송 재전송 서비스 환경하에서 디지털 지상파 데이터방송 콘텐츠를 디지털 케이블 데이터방송에 재사용하여 데이터방송 콘텐츠 활용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실시간 채널 정보 변경 및 방송 프로그램 이벤트 정보 변경만으로 지상파 방송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쉽게 재활용/관리할 수 있다. 또한 저장/관리된 방송프로그램 안내 정보를 ATSC T3/Sl에서 표준화한 PMCP 규격을 이용하여 XML형태로 케이블 시스템(OOB SI, Out Of Band Service Information)으로 전송하거나, MPEG-2 전송스트림 형태로 전송할 수도 있다.

Zero Tail과 Unique Word를 사용하는 DFT-s-OFDM 시스템들의 시간과 주파수 자원 비교 (Comparison of Time and Frequency Resources of DFT-s-OFDM Systems Using the Zero-Tail and Unique Word)

  • 김병재;유흥균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1권12호
    • /
    • pp.1715-1720
    • /
    • 2016
  • 다가올 5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전력효율과 스펙트럼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다. 4세대 이동통신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5세대 이동통신 또한 다중반송파 기반의 변조기술이 많이 연구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기술 중에 DFT-s-OFDM(Discrete Fourier Transform-spread-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기반의 Zero-tail DFT-s-OFDM과 UW(Unique Word)-DFT-s-OFDM 시스템의 구조를 기존 시스템과 분석한다. 두 시스템은 기존 시스템에서 각각 zero와 UW를 심볼에 추가하고 CP(Cyclic Prefix)를 제거한다. 시스템의 특성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확인해본 결과, Zero-tail DFT-s-OFDM과 UW-DFT-s-OFDM 시스템이 DFT-s-OFDM 시스템에 비해서 CP길이 만큼 시간 자원을 더 적게 소모하며 OOB(Out of Band) 전력이 약 11dB 정도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살펴봤을 때, Zero-tail DFT-s-OFDM과 UW-DFT-s-OFDM 시스템은 DFT-s-OFDM 시스템에 비해서 더 효과적임을 확인 할 수 있다.

Design of PSIP converter for data broadcasting service in the interoperable network of terrestrial and cable

  • Choi Ji Hoon;Lee Yong Ju;Park Min Sik;Choi Jin Soo;Hong Jin Woo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4년도 학술대회지
    • /
    • pp.562-566
    • /
    • 2004
  •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for constructing terrestrial/cable PSIP converting system, so-called a PSIP converter, which is converting terrestrial PSIP into cable PSIP for a data broadcasting service in the interoperable network of terrestrial and cable, and define an interface between the PSIP converter and the OOB SI generator by using PMCP messages compliant to ATSC T3/S1. The exiting PSIP converter just converts terrestrial PSIP into cable PSIP compliant to ATSC and OCAP standard and transmits by a MPEG-2 TS format. That is to say, it is not for the digital data broadcasting but for the digital broadcasting. Say in other word, the proposed PSIP converter is designed to convert and transmit PSIP including DET information which is necessary data event information for data broadcasting service. In addition, the PSIP converter can support various types of PSIP information to the OOB SI generator by using PMCP messages defined by a hierarchical structure as per each channel, audio/video event, data event and so 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