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ONE-WAY ANOVA

검색결과 4,176건 처리시간 0.03초

간호행정자의 리더십 유형에 관한 연구;거래적, 변혁적 리더십을 중심으로 (Transactional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tyles of The Nurse Administrators)

  • 김문실;박현태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5-15
    • /
    • 1997
  • Today's rapidly changing healthcare environment and increasingly professional nursing practice indicate that identifying leadership characteristic of nursing leaders and executives is a vital importance in today' s time and also mandate innovative leadership for nursing servic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d the transformational, transactional leadership styles of the Nurse Administrators. The sample consisted of sixteen mid-level nurse administrators, fifty head nurses of 5 General Hospital. Data for this study was collected from Sep. 20 to 29 by Bass' MLQ Questionnaire. The data was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one-way ANOVA.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 Appropriate one-way ANOVA tests revealed that the differences for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styles of nurse executives, mid-level nurse administrators as perceived by their immediate subordinat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P<.05). The scores of transformational and contingent reward behaviors were declined of the mid-level nurse administrators. The transactional scores of nurse administrators were lower than transformational ones, which is a desirable findings.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mid-level nurses administrators were perceived as the highest transformational leader by their subordinates. The nurse executives received the lower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cores than mid-leval administrators. These results were opposit to the previous studies. Leader can aspire to these qualitie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uilding on the more traditional transactional dimensions. We can think tha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uggests a direction for developing a creative and rewarding approach to the leadership of professionalnursing practice environments. More research on transformational qualities in nursing service and controlled designs would be desirable for nursing service administration.

  • PDF

Orofacial Thermal Quantitative Sensory Testing (QST): A Study of Healthy Korean Women and Sex Difference

  • Ahn, Sung-Woo;Kim, Ki-Suk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40권3호
    • /
    • pp.96-101
    • /
    • 2015
  • Purpose: Thermal sensory test as an essential part of quantitative sensory testing (QST) has been recognized as a useful tool in the evaluation of the trigeminal nerve function. Normative data in the orofacial region have been reported but the data on differences in the test site, sex and ethnicity are still insufficient. Thu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normal range of orofacial thermal QST data in the healthy Korean women, and assess sex difference of thermal perception in the orofacial regions. Methods: Thermal QST was conducted on 20 healthy women participants (mean age, 26.4 years; range, 21 to 34 years). The thermal thresholds (cold detection threshold, CDT; warm detection threshold, WDT; cold pain threshold, CPT; and heat pain threshold, HPT) were measured bilaterally at the 5 trigeminal sites (the forehead, cheek, mentum, lower lip and tongue tip). The normative thermal thresholds of women in the orofacial region were evaluated using one-way ANOVA and compared with the previously reported data from age- and site-matched 30 healthy men (mean age, 26.1 years; range, 23 to 32 years) using two-way ANOVA. One experienced operator performed the tests of both sexes and all tests were done in the same condition except the time variability. Results: Women showed significant site differences for the CDT (p<0.001), WDT (p<0.001), and HPT (p=0.047) in the orofacial region. The CDT (p<0.001) and the CPT (p=0.007) presented significant sex difference unlike the WDT and the HPT. Conclusions: The thermal sensory evaluation in the orofacial region should be considered in the context of site and sex and the normative data in this study could be useful for assessment of the sensory abnormalities in the clinical setting.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to the Cultur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 서영숙;권영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6호
    • /
    • pp.415-423
    • /
    • 2014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 정도를 확인하고 문화적 역량의 예측요인을 파악하고자 시되되었다. 연구대상자는 K시와 B시에 소재하는 3개 대학교 간호학과 학생 181명이었다. 자료수집을 위한 설문조사는 2013년 6월 5일부터 8월 31일까지 실시되었고, 자료분석은 SPSS/WIN 1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 way -ANOVA와 multiple regression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문화적 역량은 자기효능감, 공감능력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기효능감(${\beta}=.63$, p<.001), 공감능력(${\beta}=.18$, p=.001)과 다문화교육(${\beta}=.13$, p=.019)이 문화적 역량을 51% 설명하였다. 본 연구에 의하면 문화적 역량 영향요인을 고려한 효율적인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쌀과 전분을 이용한 증류식 소주의 급수 변화에 따른 수율 및 향미 연구 (Effect of the Amount of Water on the Yield and Flavor of Korean Distilled Liquor Based on Rice and Corn Starch)

  • 배상면;정수연;정익수;고현주;김태영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439-446
    • /
    • 2003
  • 단식 증류기를 이용한 증류식 소주는 품격 높은 향미를 지니고 있으나 희석식 소주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가인 것이 문제로 지적되어 왔다. 이에 증류식 소주의 경제성 확보 방법의 하나로 담금에 전분액화법을 도입하여 급수 변화에 따른 수율 및 향미 연구를 실시하였다. 액화담금공정에 의한 발효경과는 pH, 알코올, 총산 등의 일반분석 결과 정상적이었다. 수율은 급수율과 정비례관계를 보였으며 급수율 250%가 가장 높았다. one-way ANOVA를 이용한 p<0.05 수준에서의 Duncan's multiple range test 결과에서 급수율 변화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게다가 profile법에 의한 관능 평가 결과를 heptadiagram으로 나타내었을 때에도 그 면적과 형태의 유사성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급수율 변화에 따른 관능차는 거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급수율 250%로 액화 담금한 것이 품질 차이 없이 가장 높은 수율을 보여 경제적으로 우수하였고 발효경과에서도 문제가 없어 최적의 담금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청소년의 미세먼지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Behavior for Particulate Matter among Adolescents)

  • 하영선;박용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393-403
    • /
    • 2020
  •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미세먼지에 대한 지식, 태도 및 행위의 수준을 파악하고 미세먼지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여 미세먼지 대응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전략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되었다. 서술적 조사연구이며, 연구 대상은 D시 일개 고등학교 학생 218명이었으며, 연구 기간은 2019년 5월이며 2주간 실시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을 분석하였다. 미세먼지 태도(β=0.52, p<.001)가 미세먼지 행위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었으며, 설명력은 31%이었다(F=15.19, p<.001). 미세먼지 교육 경험(β=0.08, p=.157), 부의 학력(β=0.08, p=.288), 모의 학력(β=0.05, p=.463), 미세먼지 지식(β=-0.05, p=.415), 동거 가족(β=-0.09, p=.126), 학교 성적(β=-0.02, p=.710)은 미세먼지 행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청소년을 위한 미세먼지 행위를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시 미세먼지 태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일부 치과위생사의 공감능력과 감성지능이 정서노동에 미치는 융합적 영향 (Convergence Effects of Empathy Ability, Emotional Intelligence on Emotional Labor in some Dental Hygienists)

  • 김지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53-60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치과위생사의 공감 능력, 감성 지능과 정서노동 간의 관계를 조사하는 것이다. 치과 병 의원에 근무하는 192명의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2017년 1월 동안 자체 개발 설문지에 의해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elation 및 다중 회귀 분석을 사용하여 산출하였다. 정서노동의 평균 점수는 $3.61{\pm}0.24$, 공감 능력은 $3.01{\pm}0.28$, 감성 지능은 $3.47{\pm}0.24$였다. 다중 회귀 분석에서 정서 노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공감 능력과 정서 지능이 확인되었고, 이에 대한 설명력은 26%였다(F=13.58, p<.001). 따라서 치과 의료기관은 치과위생사의 감정노동 수준을 감소시키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중재할 필요가 있다.

PPE-M을 이용한 고등학생들의 긍정심리체험 비교 (Comparisons positive psychology experience of high school students using PPE-M)

  • 홍진곤;김태국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7권2호
    • /
    • pp.135-163
    • /
    • 2013
  • 본 연구는 수학 학습 관련 긍정적 심리체험 검사지인 PPE-M을 사용하여 측정한 고등학생들의 긍정심리를 집단별로 비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측정된 자료를 t검증을 통하여 영재학생과 일반학생들 사이의 차이를 살펴보았으며, 또한 학년 및 성별 변인에 따른 차이도 분석하였다. 그리고 계열 변인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서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PPE-M의 총점에 대하여 영재학생과 일반학생들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통찰 정직 뿌듯함 성취감의 4가지 요소를 제외한 나머지 19개의 요소 및 5개의 영역에서도 두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학년 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며, 일반계학생들의 성별에 대한 비교에서는 판단력, 통찰, 정직, 신중함, 배려, 감사와 행복, 몰입, 우월감, 성취감, 쾌감, 뿌듯함, 자기효능감의 12개의 요소를 제외한 나머지 11개의 요소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계열에 따른 비교에서는 정직을 제외한 22개의 요소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노년기 부부관계 요인이 결혼만족도 및 이혼의도에 미치는 영향 (Marital Relations of Aged people Affect on the Marital Satisfaction and the Divorce Intention)

  • 김길현;하규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256-271
    • /
    • 2012
  • 본 연구는 노년기 부부관계가 결혼만족도 및 이혼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남 여 유배우들이고 설문지는 총 550부를 배포하여 459부를 최종적으로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9.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t 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one way ANOVA) 및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만족도에는 부부관계 요인의 애정생활, 여가공유, 친밀감 및 의사소통이 정(+)의 영향을 미쳤고, 경제적 갈등은 부(-)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이혼의도에 있어서 부부관계의 경제적 갈등이 정(+)의 영향을 미쳤고, 반면에 애정생활 및 친밀감은 부(-)의 영향을 미쳤다. 끝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성별, 종교, 학력, 건강상태 및 월평균수입)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상의 결과에 근거하여 몇 가지 제언과 연구의 한계를 제시하였다.

요양병원 간호사와 간호조무사의 암성 통증관리에 대한 지식 및 수행 (Knowledge and Performance of Cancer Pain Management of Nurses and Nurses' aid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 정선진;김계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649-660
    • /
    • 2014
  • 최근 급증하고 있는 요양병원 간호사와 간호조무사의 암성 통증관리에 대한 지식과 수행 정도를 평가하고자 본 연구는 실시되었다. 광주와 전라남도의 7곳의 요양병원에서 간호사 84명과 간호조무사 72명을 표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독립 t-검정, one-way ANOVA, 피어슨 상관 계수,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대상자의 지식은 30점 만점에 16.84점으로 나타났고, 수행의 평균평점은 4점 만점에 2.88점이었다. 대상자들의 지식은 교육 수준, 직업, 암성 통증관리지침 존재 여부 인식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수행에서는 교육 수준, 직종, 병상 수, 암성 통증관리지침 존재 여부 인식, 암성통증 임상실무지침서 비치 여부에 따라 차이가 관찰되었다. 지식은 수행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지식, 병상 수, 암성통증 임상실무지침서 비치 여부였다. 향후 요양병원 간호사와 간호조무사의 암성 통증관리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할 때 이러한 변수들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병원 간호사의 환경문제 인식, 친환경 태도, 친환경 간호수행 (Environmental problem awareness, eco-friendly attitude and eco-friendly nursing practice in hospital nurses)

  • 서영숙;김지희;최혜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2호
    • /
    • pp.303-311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환경문제 인식, 친환경 태도, 친환경 간호수행의 상관관계를 알고자 하는데 있다. 191명의 병원 간호사가 2012년 10월부터 11월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을 작성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t-test, one way ANOVA, Pearson 상관관계,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사용하였다. 설문은 환경문제인식, 친환경태도, 친환경보건 관리로 구성되었고, 환경문제인식 (r=.46, p<.001), 친환경태도 (r=.36, p<.001), 친환경 보건관리 사이에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변수들에 대한 설명력은 35.0%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 병원 간호사의 환경문제와 친환경태도에 대한 인식도를 향상시킬 필요가 있음을 증명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병원 간호사의 친환경 간호수행을 향상시키기 위한 병원 내 친환경 프로그램 개발 연구를 제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