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CB

검색결과 182건 처리시간 0.041초

The Effect of Ethical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 Empirical Study in Indonesia

  • YUNANTO, Yogi;SUHARIADI, Fendy;YULIANTI, Praptini;PANGASTUTI, Ria Lestari;YANUARITA, Heylen Amildha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7호
    • /
    • pp.285-294
    • /
    • 2021
  • Fraud cases that are committed by top management or people who have high positions or organization can be called character assassination crim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ethical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he effect of ethical leadership on job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is study uses quantitative methods with SEM analysis tools partial least square (PLS) with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being all civil servants in the Kediri city government with 125 organizational members. This research instrument uses a questionnaire divided into three main parts: (1) leadership ethics as measured by 6 indicators and 12 items. (2)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CB) as measured by 7 dimensions and 14 items (3) job satisfaction as measured by 4 indicators and 8 item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discussion of data analysis that has been carried out through data processing and proof of hypotheses, it can be concluded that an increase in ethical leadership will have an impact on increasing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 increase in ethical leadership variables will affect job satisfaction and that job satisfaction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Effects of Job Characteristics on Leadership Awareness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ocused on the Role of Motivating Potential Score

  • Choi, Beet-Na;Cho, Hee-Young;Yang, Hoe-Chang
    • 융합경영연구
    • /
    • 제6권2호
    • /
    • pp.21-29
    • /
    • 2018
  •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check the influence of job characteristics of members of small and medium businesses on authentic leadership awareness of superiors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if the MPS between awareness of authentic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mediated. This study aimed to find the influence of job characteristics of SMEs members on leadership awareness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he role of motivating Potential Scor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otal of 150 vali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imple &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3-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s - The sub-factors of job characteristics all had positive influence on authentic leadership except skill variety and positive awareness on authentic leadership enhance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members. Also, MPS partially mediates awareness of authentic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Conclusion - Providing skill variety such as expanding jobs to members of SMEs does not have influence of positive leadership awareness of leaders and partial mediation of MPS means that job characteristics along with positive leadership awareness on superiors enhanc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contributes in developing the organization.

융복합 시대의 진정성 리더십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상사신뢰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fluence of Authentic Leadership in the Age of Convergence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Revolved around Effect of Tuned from Confidence of Superior)

  • 김재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2호
    • /
    • pp.125-134
    • /
    • 2015
  •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고 있는 사회에서 혁신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선도적인 리더의 역할이 그 어느때보다도 중요해지고 있다. 현재와 같이 기술의 융복합 시대에서는 이에 부응 할 수 있는 리더의 역할이 더욱 더 중요해지고 있다. 그러나 리더십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들은 특정한 분야의 리더십(변혁적, 거래적)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진정성 리더십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진정성 리더십에 대한 선행연구들에 대하여 고찰을 하고, 이를 통해 현업에 종사하는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진정성 리더십은 직무만족, 조직몰입, 조직시민행동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정성 리더십이 직무만족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효과는 상사 신뢰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번트 리더십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상사 신뢰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ervant Readership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Revolved around Effect of Tuned from Confidence of Superior)

  • 김재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호
    • /
    • pp.215-226
    • /
    • 2015
  • 경영환경이 급변하는 상황에서 조직은 과거에 비해 변화 지향적인 대응방식이 필요하고 조직의 존속 및 발전을 위한 효율적인 관리를 요구하고 있다. 전통적인 관리모델에 적응되지 못하므로 새로운 리더와 새로운 리더와 부하관계를 원하고 있다 현재 전세계적으로 경기불황이 지속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소비위축으로 기업들은 많은 어려움에 봉착을 하고 있다. 기업들은 이렇게 끊임없이 변화하는 경영환경과 시장에 대한 체계적인 대응을 하지 못하면 결국 시장에서 도태되게 된다. 이로 인해 리더십의 중요성이 그 어느때보다도 높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번트 리더십에 대한 선행연구들에 대하여 고찰을 하고, 이를 통해 서비스 산업에 종사자하는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서번트 리더십은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번트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효과는 상사의 신뢰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공기업의 절차적 공정성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내재적 동기부여의 매개역할 (The Effects of Procedural Justice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Local Public Enterprises: The Mediating Role of Intrinsic Motivation)

  • 윤석범;이종건;서영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3호
    • /
    • pp.137-149
    • /
    • 2021
  • 본 연구는 지방공기업을 대상으로 절차적 공정성이 개인 및 조직 차원의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관계에 있어서 내재적 동기부여의 매개역할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PLS를 기반으로 한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설정한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자료는 지방공기업에 근무하는 269명의 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통해 수집되었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절차적 공정성은 내재적 동기부여, 개인차원 조직시민행동(OCBI), 조직차원 조직시민행동(OCBO)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내재적 동기부여는 OCBI와 OCBO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내재적 동기부여는 절차적 공정성-OCBI 관계와 절차적 공정성-OCBO 관계 각각에서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조직에서 절차적 공정성의 향상을 통해 구성원들이 자발적인 조직시민행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내재적 동기부여를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혁신-관계의 유연문화 지각이 긍정심리자본의 매개로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erceived Flexible Culture of adhocracy-clan on the Change Oriented OCB through Meditator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 한진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6호
    • /
    • pp.133-141
    • /
    • 2020
  • 현재 기업들은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하여 더욱 치열해진 경쟁 시대에, 어떻게 하면 구성원들의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을 가지게 할 것인가에 주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혁신-관계의 유연문화가 구성원들의 긍정심리자본과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하였다. 대전시, 세종시, 충청남·북도 소재 기업의 종업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394부 유효설문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에서 얻은 구체적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혁신-관계의 유연문화중 혁신문화는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관계문화는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혁신-관계의 유연문화가 긍정심리자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긍정심리자본이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긍정심리자본은 혁신-관계의 유연문화의 지각과 변화지향 조직시민행동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조직에서 혁신-관계의 조직문화를 구축하고 또한 구성원들이 긍정적 심리상태가 되도록 하여야만 오늘날 같이 치열한 경쟁상황에서 변화지향의 조직시민행동이 나타날 수 있음을 규명하였다고 하겠다. 향후의 연구는 조직문화의 단위를 본부 또는 팀으로 세분화 되어 측정하여 하위문화(sub culture)유형과 이에 따른 새로운 조직시민행동의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전남지역 보건소 직원이 인지하는 조직성격유형과 조직시민행동 (Organizational Personality Type and Citizenship Behaviors Perceived by Public Health Center Workers in Chonnam Province, Korea)

  • 조유향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6권1호
    • /
    • pp.47-59
    • /
    • 2011
  • 본 연구는 보건소 직원들이 인지하는 조직성격 유형과 조직시민행동의 실태를 직종 등의 특성별로 파악하여 특성 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통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조사대상은 22개 전라남도 보건소 중 12개 시 군 보건소에 근무하는 직원이며, 자료수집기간은 2009년 9월 15일-10월 14일로 1개월 간 실시되었으며, 자료분석 대상은 422명이었다. 조사대상 보건소의 조직성격유형은 외향형, 감각형, 사고형 및 판단지향형 조직에 속하며, ESTJ유형과 ISTJ유형으로 전형적인 공공조직으로서 구성원들이 인지하고 있었고, 조직성격유형 중에서 사고형은 성별(P=.007), 판단형은 연령(p=.010), 교육수준(p=.043) 및 근무경력(p=.000)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직종별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조직시민 행동은 4.77점이었고, 예의성과 시민성이 높은 반면 스포츠정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직종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보건소는 이타성, 시민성 및 예의성을 유지하는 가운데 스포츠 정신을 고양해야 할 것이다. 조직시민행동은 시민성, 양심성과 스포츠정신에서 연령과, 이타성은 교육 수준과, 그리고 경력과는 시민성, 양심성, 스포츠 정신 및 예의성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보건소는 조직성격유형과 조직시민 행동에 대하여 직종보다는 연령, 성, 교육정도 및 경력 등 특성간의 차이가 있음을 고려하여, 이를 감안한 중재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고 본다. 보건소 가 공공조직의 성격보다는 대민봉사활동에 적합한 조직성격으로의 모색에 있어서 조직시민행동의 증진을 위한 방안의 모색도 필요함을 제언한다.

개인주의·집단주의와 조직 공정성(Organizational Justice)에 대한 인식이 조직 내 구성원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Justice on Individuals' Prosocial Behaviors: The Moderating Effect of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 김경민 ;박동건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7권4호
    • /
    • pp.395-413
    • /
    • 2011
  • 사회 전반에 걸친 조직 공정성(organizational justice)은 개인이 타인과 맺는 사회적 관계에서 자신의 정체성을 발견하고 자긍심을 높이는 역할 뿐 아니라, 공정성 자체가 인간으로서의 가치이자 존엄성을 반영한다는 측면에서 구성원의 심리적 상태와 다양한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이와 같은 조직공정성에 대해 과거 연구들은 조직의 정의적 측면이 실현되지 않았을 경우 발생하는 구성원의 '부정적' 측면에 주로 초점을 두어 왔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구성원의 보다 '긍정적' 측면의 행동에 초점을 맞추어, 조직 정의에 대한 인식이 구성원의 친사회적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았다. 이와 함께 구성원이 갖고 있는 문화적 가치가 이러한 조직 정의와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성에 미치는 영향력도 함께 살펴보았다. 실증연구를 위해 대기업 종사자 200명을 대상으로 서베이를 실시한 결과, 조직 정의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구성원은 더 많은 친사회적 행동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성원의 문화적 가치가 집단주의에 가까울수록 친사회적 행동을 더 많이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구성원이 보유한 가치체계에 따라 조직 내 공정성이 그들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이 유의하게 달라짐이 밝혀졌다. 즉, 조직 공정성이 낮을 경우, 개인주의적인 사람들은 친사회적 행동을 거의 수행하지 않는 반면 집단주의적인 사람들은 일정수준의 친사회적 행동을 여전히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조직공정성이 높아짐에 따라, 개인주의적인 사람들의 친사회적 행동은 급격히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 반면, 집단주의적인 사람들의 친사회적 행동은 상대적으로 변화를 거의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에 대한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이 함께 논의되었다.

  • PDF

조직사회화 기법이 신입사원의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직지원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tactics on newcomer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 김경민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4권4호
    • /
    • pp.519-539
    • /
    • 2018
  • 본 연구는 신입사원의 조직적응을 돕기 위해 조직이 실시하는 사회화 과정이 이들의 조직시민행동의 수행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고 있다. 사회교환이론에 근거하여, 이 과정을 설명하는 매개변인으로서 조직지원인식에 초점을 두었다. 조직지원인식은 조직이 개인의 가치와 기여를 인정하고 이들의 안녕을 도모한다는 인식으로서, 신입사원이 조직으로부터 보다 체계화되고 제도화된 사회화 과정을 제공받으면 이들은 조직이 자신을 지원하고 있다는 인식을 갖게 되며, 결과적으로 조직에 도움이 되는 행동인 조직시민행동을 더 많이 수행하게 된다고 예측하였다. 국내 대기업 신입사원 450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382명의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통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조직사회화 기법이 내용적(content), 맥락적(context), 그리고 사회적(social) 측면에서 제도화될수록 신입사원의 조직지원인식이 증가하였다. 또한 조직사회화 기법의 제도화는 신입사원의 조직시민행동(OCB)과도 정적인 관련성을 보였으며, 이 과정은 조직지원인식이 완전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용적, 맥락적, 사회적 측면 중에서는 상대적으로 맥락적 측면의 제도화 정도가 신입사원의 조직지원인식과 조직시민행동 모두에 대한 영향력이 가장 높았으며, 사회적 측면이 가장 낮은 수준의 영향력을 보였다. 조직사회화 기법과 신입사원의 조직시민행동 간의 관계성은 기존 연구에서 간과되어 오던 부분으로서, 본 연구결과는 조직사회화가 신입사원에게 미치는 영향력의 범위와 그 과정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품질경영활동이 창업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Activities of Quality Management on Business Performance for Start-ups)

  • 곽승현;이원일
    • 벤처창업연구
    • /
    • 제9권2호
    • /
    • pp.147-161
    • /
    • 2014
  • 품질경영활동이 창업기업에 성공적으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최고경영자의 품질에 대한 관심과 지원이 중요하다. 또한 아무리 최고경영자의 의지가 강하더라도 종업원의 품질에 대한 수용태도에 따라 기업의 품질성과는 많이 달라 질 수 있다. 품질경영에 대한 수용태도가 우수한 기업의 품질성과는 높아질 것이고 따라서 경영성과도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이다. 그리고 품질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해당 문제를 자발적으로 해결하려는 종원업의 의지도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가 될 것 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최고경영자가 품질경영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전략적으로 자원을 지원할 경우 창업기업의 품질성과와 기업성과는 향상될 것이다. 둘째, 품질경영활동이 활발할수록 창업기업의 품질성과와 경영성과는 향상될 것이다. 셋째, 품질지향문화가 성숙할수록 창업기업의 품질성과와 경영성과는 향상될 것이다. 넷째, 종업원의 조직시민행동의 수준이 높을수록 품질성과는 높아지지만 경영성과는 크게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다. 다섯째, 품질성과는 품질경영활동과 경영성과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할 것이다. 따라서 최고경영자의 전략적 지원, 품질경영활동, 품질지향문화 및 조직시민행동이 기업 내에서 활발하게 전개될 때 품질성과는 높아질 것이고 당연히 기업의 경영성과도 높아질 것 이다. 창업기업이 품질경영활동을 통하여 기업의 품질성과와 경영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품질경영에 대한 이해가 기본이 되어야 하며, 품질경영활동이 지속적으로 운영되고 실행되기 위해서 최고경영자는 적재적소에 필요한 자원을 배분하고 지원해야 한다. 이것이 바로 전략적 지원이다. 또한 종업원들도 고객만족은 품질에서부터 시작임을 명심하고 품질을 최우선으로 하는 품질지향문화가 형성되도록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 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