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W emulsion

검색결과 299건 처리시간 0.028초

Formation of Liquid Crystal Gel with Hydrogenated Lecithin and Its Effectiveness

  • Kim In-Young;Lee Joo-Dong;Ryoo Hee-Chang;Zhoh Choon-Koo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81-191
    • /
    • 2003
  • This study described about method that form liquid crystal gel (LCG) by main ingredient with hydrogenated lechin (HL) in OW emulsion system. Result of stability test is as following with most suitable LCG's composition. Composition of LCG is as following. To form liquid crystal, an emulsifier used $4.0\;wt\%$ of cetostearyl alcohol (CA) by $4.0\;wt\%$ of HL as a booster, Moisturizers contained $2\;wt\%$ of glycerin and $3.0\;wt\%$ of 1.3-butylene glycol (1,3-BG). Suitable emollients used $3.0\;wt\%$ of cyclomethicone, $3.0\;wt\%$ of isononyl isononanoate (ININ), $3.0\;wt\%$ of cerpric/carprylic triglycerides (CCTG), $3.0\;wt\%$ of macademia nut oil (MNO) in liquid crystal gel formation. On optimum conditions of LCG formation, the pHs were formed all well under acidity or alkalinity conditions. Considering safety of skin, PH was the most suitable $\pm61.0$ ranges. The stable hardness of LCG formation appeared best in $32\;dyne/cm^2.$ Particle of LCG is forming size of $1{\~}20\;{\mu}m$ um range, and confirmed that the most excellent LCG is formed in $1{\~}6\;{\mu}m$ range. According to result that observe shape of LCG with optical or polarization microscope, LCG could was formed, and confirmed that is forming multi-layer lamellar type structure around the LCG. Moisturizing effect measured clinical test about 20 volunteers. As a result, moisturizing effect of LCG compares to placebo cream was increased $30.6\%$. This could predicted that polyol group is appeared the actual state because is adsorbed much to round liquid crystal droplets to multi-lamellar layer's hydrophilic group. It could predicted that polyol group is vast quantity present phase that appear mixed because is adsorbed to round liquid crystal to multi-lamellar layer's hydrophilic group. This LCG formation theory may contribute greatly in cosmetics and pharmacy industry development.

로즈마리산을 함유한 키토산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Preparation of Chitosan Microcapsules Containing Rosmarinic Acid)

  • 박진권;이동희;이천일;강기춘;표형배;신재섭
    • 접착 및 계면
    • /
    • 제10권1호
    • /
    • pp.11-16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주름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rosmarinic acid를 함유하는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였다. 벽재 물질로는 키토산을 사용하였고, 글루타르알데히드를 가교제로 사용하였으며, W/O 형태의 유화법으로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였다. 유화제로는 span80을 사용하였으며, 가교가 시행되는 bath상의 물질은 mineral oil을 사용하였다. 제조된 키토산 마이크로캡슐은 완벽한 구의 형태로 평균 $0.5{\sim}0.9{\mu}m$ 크기를 보였으며, 교반속도와 유화제의 농도에 따른 캡슐의 크기 및 형태 변화 그리고 함유 효율을 관찰하였다. 마이크로캡슐의 방출특성을 실험하기 위하여 가교제와 유화제의 양을 변화시키면서 방출 속도를 측정하였다.

  • PDF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BEMT)을 봉입한 고형지질나노입자(Solid Lipid Nano-particle)의 화장품 응용 (Cosmetic Application of Bis-ethylhexyloxyphenolmethoxyphenyltriazine (BEMT) Loaded Solid Lipid Nano-particle (SLN))

  • 이근수;이동환;표형배;최태부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19-225
    • /
    • 2007
  •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Bis-ethylhexyloxyphenolmeth oxyphenyltrizine; BEMT)은 식품의약품안전청 고시 기능성 원료로 자외선 차단 제품에 널리 사용되는 UVA와 UVB의 화학적 자외선 흡수제이다. 그러나 BEMT는 실제 적용에 있어 여러 가지 결점이 있어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BEMT가 적용된 고형지질나노입자(BEMT- SLN)의 자외선차단제품 응용에 있다. 제조된 고형지질나노입자의 입도는 약 330 nm, 봉입율은 93.3 %, 결정화지표는 4.3 %였다. In vitro 방출 및 투과 실험 결과에서, BEMT는 SLN보다 O/W 에멀젼이 대체로 높았다. In vivo 실험에서 SLN의 BEMT 방출비는 80 % 감소하였다. 또한 in vitro UV 방어 효과 실험에서 SLN이 적용된 처방의 자외선방어지수(SPF) 값은 약 2.5배 증가하였다. 결국 SLN은 BEMT를 효과적으로 봉입하고 있었으며, 자외선 차단 상승 효과를 나타낸다.

가교된 키토산으로 형성된 마이크로캡슐의 제조 및 방출 특성 (Preparation and Controlled Release Characterization of Crosslinked Chitosan Microcapsules)

  • 한아름;신영재;이천일;표형배;신재섭
    • 접착 및 계면
    • /
    • 제9권2호
    • /
    • pp.8-15
    • /
    • 2008
  • 마이크로캡슐은 다양한 기능성 물질의 약물 전달 시스템으로서 화장품과 제약 분야에서 널리 적용되고 있다. 키토산은 천연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생체고분자로 생체적합성이 우수하며 무독성이다. 본 연구에서는 키토산 마이크로캡슐을 글루타르알데히드를 가교제로 사용하여 W/O 형태의 유화법으로 제조하였다. 유화제로는 span80을 사용하였으며 가교가 시행되는 bath상의 물질은 mineral oil을 사용하였다. 제조된 키토산 마이크로캡슐은 완벽한 구의 형태로 평균 $2{\sim}10{\mu}m$ 크기를 보였으며, 교반속도와 유화제의 농도에 따른 캡슐의 직경 및 형태 변화를 관찰하였다. 마이크로캡슐의 방출실험을 하기 위하여 가교제, 키토산, 그리고 유화제의 양을 변화시키면서 방출 속도를 측정하였다. Riboflavin의 방출속도는 키토산의 가교 정도와 사용한 유화제의 양에 따라 크게 변하였다.

  • PDF

Gly-His-Lys 펩타이드가 결합된 키토산과 그의 세포증식 효과에 관한 연구 (Gly-His-Lys Conjugated Chitosan and its Cell Proliferation Effects)

  • 하병조;이윤식;박수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99-404
    • /
    • 2004
  • 새로운 Gly-His-Lys (약자로 GHK)가 결합된 키토산을 $N^{\alpha}-Fmoc$ 아미노산과 BOP 커플링 시약을 사용한 고상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이를 위해 키토산 마이크로 비드를 W/O 에멀젼 상분리법으로 평균 입자크기 70 마이크로미터로 얻었다. GHK 펩타이드는 순차적으로 고상법에 의해 키토산 마이크로비드 위에 커플링 하였다. 아미노산 분석을 실시한 결과 Gly, His, kys의 비율이 1.02:1.13:0.96의 비율로 나타나 이론치와 거의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GHK 펩타이드가 결합된 마이크로비드의 세포증식 효과는 MTT 분석으로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GHK 펩타이드가 결합된 키토산 마이크로비드는 대조군인 펩타이드가 결합되지 않은 키토산 마이크로비드 자체에 비해 높은 세포증식 효과를 보였다.

AHAsomes의 multilamellar vesicles형성과 각질제거 효과 (Formation of the multiamellar vesicles of AHAsomes and effect of removal on the horny layer)

  • 김인영;서봉석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21
    • /
    • 1995
  • 본 연구는 세포 간지질이 주성분인 세라마이즈,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 에스텔, 스쿠알란, 레시친, 왁스 지방산을 팽윤 반응에 의하여 다중라멜라 소구체를 제조하였다. AHAsomes과 마이크로 플루다이저를 사용하여 MLV 형성에 대한 특성을 조사 하였다. 다중라멜라 소구체는 Polyol과 수상을 서서히 첨가하고, 마이크로 플루다이저를 사용함에 의해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실제적으로 이 AHAsomes system의 형성은 방부제가 필요하지 않고, 활성 미용 성분을 침투시켰다. 친수성 활성 성분인 말릭산, 타타릭산, 락틱산, 알란토인, 우레아 그리고 소수성 미용 성분인 비타민-E 아세테이트, 비타민-A 팔미테이트를 캡슐화시켰다. MLV형성 조건은 마이크로플루다이저에 3회 통과하였으며, 베지클의 입자크기의 범위는 50-523nm이었다. 응용으로, 일반적인 O/W 에멀젼과 AHAsomes 크림을 사용하여 발바닥의 각질제거 효과를 비교하였다. 3개월동안 사용하여 주름은 15.8%, 피부 탄력은 3배정도 회복되었다. 이것을 Image Analyzer와 Cutometer로 확인하였다.

  • PDF

알로에 겔 마이크로캡슐의 고농도 현탁액의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Dense Suspension of Aloe Gel Microcapsule)

  • 고남경;이진실;이신영;허원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47-54
    • /
    • 2013
  • 알로에 겔이 분산된 W/O 에멀젼을 감압 건조하는 방법으로 분산상의 수분을 제거하여 알로에 겔 마이크로캡슐을 제조하였다. 마이크로캡슐은 미네랄오일로 세척하고 재현탁시켜 유화제를 제거한 후에도 안정적인 현탁액으로 유지되었으며, 내부가 균일하게 채워진 직경 6.6 ${\mu}m$ 이하인 구형 입자로 구성되어 있었다. 미네랄오일에 재현탁된 마이크로캡슐은 분율이 41% 이상에서 급격하게 점도가 증가하였고, 300 Pa 이상의 항복응력을 가진 전단유동화 특성을 나타내었으나, 틱소트로피는 뚜렷하게 관찰되지 않는 유변학적인 특성을 보였다. 오일에 현탁된 알로에 겔 마이크로캡슐의 분율이 높을수록 반고체의 특성이 증가하고 $105^{\circ}C$에서 15 min 동안 가열하여도 에멀젼의 안정성이 유지됨을 경시적으로 관찰하였다. 따라서 알로에 겔 마이크로캡슐 현탁 크림을 기본 제형으로 다양한 종류의 알로에 겔 화장품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슈크로오스디스테아레이트를 사용한 액정구조의 생성과 보습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isturizing Effect and Preparation of Liquid Crystal Structures Using Sucrose Distearate Emulsifier)

  • 곽명헌;김인영;이환명;박주훈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12
    • /
    • 2016
  • 이 연구는 슈크로오스디스테아레이트(Sucro-DS)를 사용하여 친수형 O/W 에멀젼을 만들고, 이 에멀젼의 드로플렛(droplet)은 다중층의 구조를 가지는 액정생성에 관한 것이다. Sucro-DS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알아보았고, 이를 이용한 유화성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액정을 형성하기 위하여 3wt%의 Sucro-DS, 5wt%의 글리세린, 5wt%의 수쿠알란, 5wt%의 카프릭/카프릴릭트리글리세라이드, 3wt%의 세토스테아릴알코올, 1wt%의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78wt%의 정제수의 혼합계에서 안정한 다중층의 라멜라구조가 형성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응용하여 불안정한 활성물질을 봉입한 크림을 만드는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또한, 이 기술을 이용한 크림의 보습효과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인체 임상시험을 통한 피부개선효과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를 보고한다. Sucro-DS 를 사용하여 안정한 액정상을 생성하는 pH 범위는 5.2~7.5 에서 안정한 액정구조를 유지하고 있었다. 액정의 안정성이 우수한 농도는 3wt%의 베헤닐알코올을 함유할 경우의 경도는 13kg/mm,min 이었다. 동일 함량의 점도는 25,000mPas/min 이었다. 유화제의 영향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 Sucro-DS 의 농도는 5wt%가 적합하였고, 안정한 액정의 입경분포는 4~6mm 이었다. 이를 현미경분석을 통하여 관찰하였고, 3 개월동안 액정변화의 안정성은 $4^{\circ}C$, $25^{\circ}C$, $45^{\circ}C$에서 안정함을 알 수 있었다. 임상시험으로, 바르기 전의 보습력은 $13.4{\pm}7%$ 이었다. 액정이 형성되지 않은 크림의 보습력은 $14.5{\pm}5%$로 바르기 전보다는 약 8.2% 보습력이 상승하였다. 반면, 액정크림의 경우 $19.2{\pm}7%$로, 도포 전보다는 43.3%보습력이 상승하였다. 응용분야로 Sucro-DS 유화제를 사용한 액정크림, 로션, 아이크림 등 다양한 제형개발이 가능하고, 화장품산업은 물론 의약품산업 및 제약산업에서 피부외용제의 유화기술로 폭넓게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자연산 뱀장어의 인위적인 성숙 유도에 따른 혈중 성호르몬 변동 (Plasma Sex Steroid Hormone Profiles in Artificially Maturing Wild Eel, Anguilla japonica)

  • 김대중;김응오;박민우;조용철;임상구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67-274
    • /
    • 2006
  • 자연산(silver 및 yellow) 뱀장어의 인위적인 성성숙 과정중에 체중 및 혈중 성호르몬 농도를 조사하기 위해 연어 뇌하수체 추출물(SPE; 20 mg pituitary powder/fish)를 Freund's incomplete adjuvant로 water-in oil (W/O) 형태로 유화시켜 매주 복강에 주사하였다. Eel's Ringer액만으로 유화시켜 주사한 대조구(silver 및 yellow) 뱀장어의 경우, 체중은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혈중 성호르몬(testosterone; T, $estradiol-17{\beta};\;E_2$$17{\alpha},20{\beta}-dihydroxyprogesterone$; DHP)의 농도도 실험기간 동안 거의 변화없이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었지만 유의적인 변화는 없었다. 한편, 매주 SPE로 주사한 silver 뱀장어는 투여 6주후부터 급격한 체중변화가 일어났으며, 대부분 개체의 난모세포는 핵이동기로 구성되어져 있었다. 또한 혈중 T와 $E_2$ 농도의 두드러진 증가는 투여 6주후부터 관찰되어 졌다. 매주 SPE로 주사한 yellow 뱀장어의 경우, 대부분 개체는 투여 5주까지 체중 변화가 완만하게 나타났으며 그 이후 급속히 증가하였다. 이들 개체의 대부분은 실험종료시에도 제3 난황구기의 난모세포들로 구성되어져 있었다. 특히 실험 기간중 혈중 T와 $E_2$ 농도는 개체별로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는 제각기 투여 8주째와 투여 6주 후 부터 두드러지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매주 SPE로 주사한 자연산 뱀장어(silver 및 yellow)의 혈중 DHP 농도는 실험 기간동안 불검출 혹은 매우 낮은 농도로 유지하였으며, 유의적인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 sliver 뱀장어에 있어서 SPE를 W/O 형태로 유화시켜 반복 투여함으로써 체중 및 혈중 성호르몬(T와 $E_2$)의 급격한 증가 및 최종성숙을 유도하는데 효과적이었다.

방출제어를 위한 잘토프로펜이 함유된 폴리옥살레이트 미립구의 제조와 특성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Zaltoprofen-Loaded Polyoxalate Microspheres for Control Release)

  • 김경희;이천중;조선아;이정환;장지은;이동원;권순용;정진화;강길선
    • 폴리머
    • /
    • 제37권6호
    • /
    • pp.702-710
    • /
    • 2013
  • 서방성방출을 위해 잘토프로펜을 함유한 미립구를 oil-in-water(O/W) 에멀젼용매 증발법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제조온도, 교반속도, 초음파분쇄기의 강도, 약물농도, POX의 분자량과 농도, 유화제 농도 등의 제조조건에 따른 잘토프로펜의 방출거동을 평가하였다. 잘토프로펜을 함유한 POX 미립구의 물리화학적 성질 및 형태를 X선 회절분석법(XRD)과 시차주사열량계(DSC), 적외선 분광분석기(FTIR), 주사현미경(SEM)을 통해 연구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부터 제조조건들에 따른 미립구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POX 미립구의 분해성을 10일 동안 in vitro 실험을 통해 조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잘토프로펜을 함유한 POX 미립구를 최적화된 용매증발방법으로 제조하였고, 이 미립구로부터 약물의 방출제어를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