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Nutrient medium

검색결과 488건 처리시간 0.023초

송이 자생군락 토양 내 난배양성 세균군집의 계통학적 특성 (Phylogenetic Characteristics of viable but Nonculturable Bacterial Populations in a Pine Mushroom (Tricholoma matsutake) Forest Soil)

  • 김윤지;황경숙
    • 미생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01-209
    • /
    • 2007
  • 송이 자생군락 토양 내 세균군집의 정량적 평가를 수행한 결과 CFDA 형광염색법을 이용해 직접 계수된 생균수는 $7.4{\pm}1.19{\times}10^8{\sim}1.07{\pm}0.17{\times}10^9cells/g$ soil로 육즙영양배지(nutrient broth, NB)에서 배양된 생균수는 CFDA 계수치의 $5{\sim}8%$로 계수되었으며, $10^{-2}$으로 희석한 NB(DNB)배지에서는 $40{\sim}47%$의 계수치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송이 자생군락 토양내에는 배양이 곤란한 난배양성(viable but non-culturable; VBNC)세균이 다수 존재해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송이 자생군락 토양내 세균군집의 계통학적 특성을 검토하기 위해 토양으로부터 직접 DNA를 추출하고 16S rDNA-ARDRA cluster 분석을 통하여 대표 clone의 16S rDNA 염기서열 분석을 수행하였다. 송이 자생군락 토양으로부터 구축된 총 115 clone은 31 ARDRA cluster로 분류되었으며, ${\alpha}-,\;{\beta}-,\;{\gamma}-$ Proteobacteria, Acidobacteria, Actinobacteria 그리고 Firmicutes의 6개 계통군이 확인되었다. 이들 계통군 중 약 85%가 Acidobacteria 계통군에 속하여 압도적인 우점군임이 확인되어 매우 독특한 계통학적 특성을 나타내었다.

잣나무의 기내배양(器內培養)에 관(關)한 연구(硏究) (I) - Callus 의 유발(誘發)과 생장(生長) - (In Vitro Studies on Pinus koraiensis (I) - Establishment and Growth of Callus -)

  • 박용구;김우룡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59권1호
    • /
    • pp.51-56
    • /
    • 1983
  • 잣나무 배(胚)에서 유발(誘發)한 Callus의 안정(安定)된 생장(生長)을 지속하는 최적배지(最適培地)를 밝혀내기 위하여 여러 가지 생장조절물질(生長調節物質)을 첨가(添加)한 G.D. 배지(培地)와 W.S. 기본배지(基本培地)에 Callus를 이시(利殖)하여 30일(日)마다 생장량(生長量)을 측정(測定)하였다. 생장물질(生長物質)에 대(對)한 반응(反應)을 보기 위해 G.D. 기본배지(基本培地)에 2,4-D, NAA, IBA와 Kinetin을 각각 0.2ppm씩 첨가한 배지에 Callus를 이식(移植) 120일(日)동안 매일(每日) 생장량(生長量)을 조사(調査)하였다. 그 결과(結果) 2.0ppm의 고농도(高濃度)에서는 거의 생장(生長)이 중지(中止)되었으며, 2,4-D와 NAA 0.2ppm의 저농도(低濃度)에서는 높은 생장(生長)을 보였으나 Kinetin과 IBA의 저농도(低濃度)에서는 약간의 생장(生長)을 보였다. 생장물질간(生長物質間) 상호작용(相互作用)을 보기 위해 G.D. 배지(培地)에 2,4-D 0.1, NAA 0.1, IBA 0.1ppm에 대(對)해 각각(各各) Kinetin 0.01, 1.0ppm씩 조합(組合)한 9가지 처리(處理)와 비교배지(比較培地)(생장물질무첨가(生長物質無添加)를 만들어 Callus를 이식(移植)하여 생장량(生長量)을 120일간(日間) 30일(日)마다 조사(調査)하였다. 그 결과(結果) Kinetin 1.0ppm을 첨가(添加)한 배지(培地)에서는 거의 생장(生長)이 중지(中止)되었다. 그러나 NAA 0.1ppm에서 44배(倍), 2,4-D 0.1ppm에서는 35배(倍)의 높은 생장(生長)을 보인 반면 NAA 0.1+Kinetin 0.1ppm에서 57배(倍), 2,4-D 0.1+Kinetin 0.1ppm에서는 43배(倍)의 생장(生長)을 보여 저농도(低濃度)에서 Auxin과 Kinetin의 상호작용(相互作用)이 크게 나타났다. W.S. 기본배지(基本培地)에 대(對)한 생장물질간(生長物質間) Callus 생장량조사결과(生長量調査結果) G.D. 배지(培地)보다 낮은 생장량(生長量)을 나타냈다. 이상(以上)의 결과(結果) 잣나무 배(胚)에서 유발(誘發)된 Callus는 배양실(培養室) 온도(溫度) $25^{\circ}C{\pm}3^{\circ}C$, 일장(日長) 9시간(時間), 광도(光度) 3,400Lux하(下)에서 G.D. 기본배지(基本培地)에 NAA 01과 Kinetin 0.1ppm을 첨가(添加)한 배지(培地)에서 가장 높은 생장(生長)을 나타냈다.

  • PDF

서해 아암도 갯벌토양 미생물의 개체군 분석 및 RAPD 분석에 의한 방선균의 생태학적 연구 (Studies on Microbial Ecology of Actinomycetes in Tideland Soils.)

  • 조영주;김정한;전은수;이상미;박동진;이재찬;이향범;김창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79-85
    • /
    • 2002
  • 갯벌 토양 내에 존재하는 방선균, 세균, 곰팡이의 다양성 및 개체군 분석을 위해 토양 깊이(지표, 지하 10 cm, 지하 20 cm, 지하 30 cm)와 염농도 (균분리 배지상에 바닷물, 1.5% NaCl, 5% NaCl을 첨가함)에 따른 생태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방선균으로서는 총 175 균주를 분리할 수 있었고 이를 대상으로 RAPD-PCR 방법을 이용하여 군집분석을 하였다. 방선균의 경우 깊이 10 cm에서 가장 많은 개체수를 보였으며 NaCl이나 바닷물이 포함되지 않은 HVagar 배지에서 가장 많은 수의 균주들이 나타났고, 토양깊이에 따른 다양성의 경우 지표에서 29균주, 지하 10 cm에서 74 균주, 지하 20 cm에서 39 균주, 지하 30 cm에서 37 균주가 분리됨으로써 지하 10 cm 이내에서 다양한 방선균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방선균 군집분석을 한 결과 15개의 cluster로 나눌 수 있었으며, Promicromonospora citrea, Microtetraspora angiospora, Kineosporia aurantiaca, Sebekia benithana, Kibdelosporangium aridum과 동일한 cluster에 속하는 균주들이 많았고, 그 외에 다양한 균주들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곰팡이의 경우 지표면의 토양을 바닷물이 함유된 배지에서 배양했을 때 가장 많은 수가 나타났고, 세균의 경우도 지표면의 토양을 염이 첨가되지 않은 nutrient agar 배지로 배양하였을 때 가장 많은 세균을 분리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갯벌토양에서는 표층 및 지하 10 cm 이내에서 가장 다양하고 많은 수의 미생물이 존재하고 있음을 나타낸다고 하겠다.

프리지아(Freesia hybrida) '골드리치'의 양액재배 시 인공배지별 생육 및 개화특성 (Effect of Substrates on the Growth and Flowering of Freesia hybrid 'Gold Rich' in Nutrient Culture)

  • 이진재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5권1호
    • /
    • pp.30-37
    • /
    • 2017
  • 프리지아 '골드리치' 양액재배 시 적정 인공배지를 선발하기 위해 펄라이트, 펄라이트(1) + 피트모스(1) 혼합, 피트모스를 처리하였다. 꽃눈분화 전 초기 생육은 혼합배지와 피트모스 배지가 펄라이트 배지에 비해 초장이 길었고 엽수는 차이가 없었다. 엽내 무기이온 흡수비율과 엽록소 함량(SPAD value)은 처리별 큰 차이가 없었다. 개화소요일수는 혼합배지가 137일, 피트모스 배지는 143일, 펄라이트 배지는 150일로 가장 늦었다. 식물체 총 중량은 혼합배지에서 62.2g으로 펄라이트배지 보다 21.3g이 더 무거웠고, 초장은 혼합배지에서 96.6cm로 펄라이트 배지 보다 20cm가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소화수도 혼합배지가 14.4개로 가장 많았고 펄라이트 배지 보다 1.7개가 많았다. 프리지아 양액재배 시 적정 배지로는 생육 및 개화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조사된 혼합(펄라이트 + 피트모스)배지로 판단되었다.

저혈청농축배지에서 세포성장 및 간염표면항원에 대한 단일클론항체 생산의 증가 (Enhancement of Hybridoma Cell Growth and Anti-Hepatitis B Surface Antigen Monoclonal Antibody Production in Enriched Media with Low Serum)

  • 전복환;조의철김동일백승복
    • KSBB Journal
    • /
    • 제5권1호
    • /
    • pp.87-94
    • /
    • 1990
  • 본 논문에서는 10% fetal bovine serum(FBS)를 첨가한 RPMI 1640배지에 비하여 간염바이러스 표면항원에 대한 단일클론항체 생산에 있어서 효과적은 무혈청 배지에 낮은 온도의 혈청을 첨가하여 하이브리도마_2_c3.1 세포에서 그 효과를 조사하였다, 세포성장관 단일클론항체 생산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기본 무혈청배지와 RPMI 1640 배지성분들의 농도를 균형있게 강화시킨 배지를 2:1(v / v)로 혼합하여 농축배지를 조성하고, 이 배지에 2mg / ml 인혈청 알부민 $5\;{\mu\textrm{g}}\;/\;ml$ insulin, $5\;{\mu\textrm{g}}\;/\;ml$ tran-sferrin, $10\;{\mu\textrm{g}}\;/\;ml$ monoethanolmine 등의 몇가지 무혈청 첨가물들을 첨가하였다. 이 농축 배지에 fetal bovine serum(FBS)과 supplemented bovine calf serum(sBCS)을 첨가하였을때의 세포성장과 단일클론항체 생산을 비교하여 FBS농도를 변화하여 세포성장과 단일클론항체생산의 증가를 시도하였다. 0.5%를 농축배지에 첨가함으로써 세포성장과 단일클론항체생산의 증가를 보았다. 최대 세포농도는 $3.06{\times}10^6$ cells / ml이었으며, 이때 생산된 단일클론항체는 10% FBS배지의 $43.0\;{\mu\textrm{g}}\;/\;ml$ 무혈청배지의 $50\;{\mu\textrm{g}}\;/\;ml$보다 3배이상 높은 $159.7\;{\mu\textrm{g}}\;/\;ml$이 생산되었다.

  • PDF

유황 처리수준이 '싼타' 딸기의 중탄산 피해 경감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Incorporation Rates of Sulfur on Reduction of the Bicarbonate Injury in Hydroponic Cultivation of 'Ssanta' Strawberry)

  • 이희수;김윤섭;박인숙;정종도;최종명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40-146
    • /
    • 2018
  • 코이어 더스트와 수피를 동일한 비율로 혼합한 상토로 '싼타' 딸기를 수경재배할 때 기비로 혼합된 유황의 처리수준 차이가 토양용액의 중탄산 농도, pH, 식물체의 생육 및 무기원소 흡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혼합상토 조제시 유황분말을 0, 0.23, 0.45, 0.90 및 $1.80g{\cdot}L^{-1}$으로 조절하여 혼합하였고, 작물 재배 중에는 중탄산 농도를 $240mg{\cdot}L^{-1}$으로 조절한 Hoagland 용액을 관비하였다. 식물체의 생육조사 및 무기원소 함량 분석은 양액처리 140일 후에, 근권부의 화학성 분석은 매 2주 간격으로 수행하였다. 유황의 시비수준이 증가할수록 모주의 전반적인 생장이 우수하였다. 엽록소 함량을 제외한 모주의 생장조사 항목에서 무처리구가 가장 저조하였고, $0.45g{\cdot}L^{-1}$ 이상의 세 처리구 간에서 통계적인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유황 처리수준이 높아질수록 런너 발생 및 자묘의 생장 역시 우수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런너 길이, 모주당 발생한 자묘수 및 1번 자묘의 생체중은 $0.45g{\cdot}L^{-1}$ 보다 낮은 유황처리구보다 0.90과 $1.80g{\cdot}L^{-1}$ 처리구가 우수하였지만 두 처리 간에는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유황 0과 $0.23g{\cdot}L^{-1}$ 처리구는 토양용액의 중탄산 농도와 pH가 지속적으로 상승한 반면 $0.90g{\cdot}L^{-1}$ 이상 처리구에서 다소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토양용액 내 K과 $PO_4$의 농도는 0.90과 $1.80g{\cdot}L^{-1}$가 다른 처리구보다 낮았으며, Ca과 Mg의 농도는 처리구 간에 차이가 없었다. 유황 무처리구에서 분석한 무기원소 함량이 가장 적었으며, 유황 처리수준이 높아질수록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 코이어 더스트와 수피 혼합상토(5:5, v/v)에서 '싼타' 딸기를 수경재배할 때 양액의 중탄산 피해를 방지하고 식물 생육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유황을 $0.90g{\cdot}L^{-1}$ 이상 기비처리하는 것이 효과적이라 판단하였다.

반응 표면 분석법을 사용한 Rhodobacter sphaeroides PS-24 유래 carotenoid 생산 배지 최적화 (Optimization of Medium for the Carotenoid Production by Rhodobacter sphaeroides PS-24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봉기문;김공민;서민경;한지희;박인철;이철원;김평일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35-148
    • /
    • 2017
  • 본 연구를 통해 논, 시설재배 밭 토양, 쓰레기장, 하천 및 호수의 퇴적 토양 등 22개소에서 분리한 총 6종의 광합성세균 중 호기 암 배양이 가능한 Rhodobacter sphaeroides PS-24를 분리하였다. 형태학적 특징으로는 그람음성의 막대모양으로, 운동성이 있었다. 분리균주의 16S rRNA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Rhodobacter sphaeroides ATH2.4.1과 99%의 상동성을 나타내었으며, 본 연구에서 Rhodobacter spharoides PS-24로 명명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선별균주를 modifed Van niel's yeast 배지에서 배양 후 생성된 carotenoid를 추출한 결과 $12.03{\pm}0.15mg/L$의 함량이 측정되었으며, 반응표면분석법 중 Plackett burman 분석방법과 Box-Behnken 분석방법을 통해 carotenoid 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농도를 최적화하였다. 분석결과 각각의 독립변수 yeast extract -0.4144 (1.23 g/L), $Na_2CO_3$ 0.8541 (3.71 g/L)와 $MgSO_4$ 1.00 (1.00 g/L)의 농도를 선정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배지 조성을 최적화한 결과 yeast extract 1.23 g, sodium acetate 1 g, $NH_4Cl$ 1.75 g, NaCl 2.5 g, $K_2HPO_4$ 2 g, $MgSO_4$ 1.0 g, mono-sodium glutamate 7.5 g, $Na_2CO_3$ 3.71 g, $NH_4Cl$ 3.5 g, $CaCl_2$ 0.01 g/ liter로 선정하였다. 최적배지를 대상으로 5 L, 50 L, 500 L scale-up을 진행한 결과 최종 carotenoid는 각각 17.98 mg/L, 18.03 mg/L, 18.11 mg/L로 조사되었다. 최적배지의 경우 modified Van niel's yeast 배지보다 약 1.5배 많은 carotenoid를 생산하였으며, 대량배양을 통한 scale-up 과정 시 carotenoid의 생산량은 크게 변화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바탕으로 산업적으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carotenoid를 생산하는 광합성세균 Rhodobacter spharoides PS-24를 개발하였으며, 본 연구를 바탕으로 유기농축산에 사용이 가능한 기능성 미생물제제를 개발하고자 한다.

Effects of Yucca Extracts and Protein Levels on Growth Performance, Nutrient Utilization and Carcass Characteristics in Finishing Pigs

  • Min, T.S.;Kim, J.D.;Lee, J.H.;Hyun, Y.;Sohn, K.S.;Han, In 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4권4호
    • /
    • pp.525-534
    • /
    • 2001
  • A total of 120 pig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yucca extracts on the growth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nutrient excretion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finishing pigs fed different levels of dietary protein. Pigs were allotted into $2{\times}3$ factorial design by the supplementation of yucca extracts (YE, 0 and 120 mg/kg) and 3 levels of dietary protein (14, 16, 18% for early finisher and 12, 14, 16% for late finisher for low, medium and high protein diet, respectively). During the early finishing period (51~76 kg BW),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growth performance regardless of the YE supplementation or dietary protein levels. Growth performance of late finishing pigs (76~101 kg BW) was also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reatments. However, ADG of pigs fed YE diet was significantly improved (p<0.05) regardless of the dietary protein levels. For the overall period (51~101 kg BW), although adding YE to the diet and elevating the protein level showed better ADG,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n growth performance among treatments. Early finisher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crude protein, crude ash and crude fat digestibilities when they were fed diets supplemented with YE. Digestibilities of amino acids were not affected by YE. Late finisher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oximate nutrient digestibilities regardless of YE supplementation or dietary protein levels. YE tended to slightly improve the CP digestibility,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with increased dietary protein level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mino acid digestibilities with YE supplementation or dietary CP levels during the late finishing period. Dry matter (DM) and nitrogen (N) excretion in fece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reatments. Early finishing pigs also did not respond to the inclusion of YE or dietary protein levels (p<0.05). Fecal N excretion of early finishing pigs seemed to be lowered in pigs fed YE. Pigs fed medium dietary protein diet tended to excrete a higher amount of N during the early finishing period, but not statistically different. A slight increase in fecal N excretion was found with the increased level of dietary protein during the late finishing period. For ammonia nitrogen excretion,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ce, the NH3-N content tended to be increased by the increased dietary protein levels and with YE supplementation. The NH3-N content in manure increased by 24.5% with YE supplementa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cass weight, backfat thickness, carcass grade and loin eye area among treatments. However, pigs fed non-YE with low protein diet showed a significantly (p<0.05) low carcass ratio among treatments and there was significant (p<0.05) difference between the YE-added treatment and non YE treatment in carcass ratio. As for the feed cost, the cost of feeding high level protein was higher than that of medium level protein by 5% and low level protein by 9% (p<0.05). Therefore, based on this study, it could be concluded that environmentally friendly agents might play a role to some extent in finishing pigs from the aspect of pollution control, and that more than 14 and 12% of dietary protein for early finishing and late finishing pigs respectively do not necessarily guarantee high growth performance.

어린이 기호식품의 당, 나트륨 및 지방류의 영양기준안 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uideline Amounts of Sugar, Sodium and Fats in Processed Foods Met to Children's Taste)

  • 최영선;장남수;정효지;조성희;박혜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1권6호
    • /
    • pp.561-572
    • /
    • 2008
  • 최근 우리나라는 어린이를 중심으로 급격한 식생활 변화(nutrition transition)를 겪고 있으며, 이로 인해 나트륨, 당류, 지방 및 포화지방산의 섭취 증가로 인한 질병 발생 위험이 높아질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현재의 영양표시가 어린이들이 이해하기에 어려운 측면이 있어 건강에 좋은 식품의 섭취를 진작시키기 어려운 상황이다. 본 연구는 어린이들이 보다 건강에 좋은 식품을 선택하는 정보를 쉽게 제공하기 위하여 어린이 기호식품의 영양위해성분(당, 나트륨 및 지방류)의 함량에 따라 고, 중, 저로 표시하는 영양기준(안)을 설정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국내는 물론 제외국의 영양섭취기준, 영양표시를 위한 일일 영양소 기준치, 영양소함량강조 표시, 영국의 GDA(guideline daily amounts)와 신호등표시제, 식사지침 및 영양소섭취량 자료들을 검토 및 비교하였고, 제외국 어린이의 기호식품과 가공식품의 영양위해성분 영양기준 자료를 수집 및 평가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어린이 기호식품과 가공식품 중의 영양위해성분을 선정하고 고, 중, 저로 표시하는 영양기준 근거를 마련하였다. 또한 서울지역 11개 중학교와 10개 고등학교 내 판매식품 가공식품에 대한 현황 조사와 1,812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섭취실태 조사를 통해 다소비가공식품을 선정하였으며, 145개의 대표 가공식품을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영양기준안에 따라 분류하였다. 그 중 85개가 고지방식품으로 분류된 반면에 11개만이 고나트륨식품으로 분류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제시한 영양기준안과 분량의 기준단위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더 많은 식품들에 대해 시뮬레이션 등의 검토가 필요하며, 산업체 등 이해당사자들의 의견 수렴 과정을 거쳐 현실적인 영양기준안으로 다듬어져야 할 것이다.

High Frequency of Callus Induction, its Proliferation and Somatic Embryogenesis in Cotton (Gossypium hirsutum L.)

  • Haq, Ikram-ul;Zafar, Yusuf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6권1호
    • /
    • pp.55-61
    • /
    • 2004
  • Callus induction and somatic embryogenesis are fundamental to cotton tissue culture biotechnology. An efficient protocol for callus induction, somatic embryogenesis and their maturation have been developed to regenerate plantlets from cotton (Gossypium hirsutum L.) variety coker 312. Embryogenic callus was initiated from hypo-cotyl region that was used as an explant at seedling stage when it was about 7-8 days old. Callus induction was achieved through culturing hypocotyls (5-7mm) on $MS_{1a} medium supplemented with 2,4-D (0.1 mg/L) and KT (0.5 mg/L) for six weeks. A friable, colorless, bulky and well proliferating callus becomes greenish with the addition of NAA (2.0 mg/L), ZT (0.1 mg/L) and removal of 2,4-D (M $S_{1b}$) cultured for two weeks then again transferred to $MS_{1a}. 2,4-dichlorophenoxyacetic acid (2,4-D) promoted the proliferation of embryogenic callus, but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differentiation and germination of somatic embryos. ZT (0.1mg/L) and activated charcoal (2g/L), both hormones play an important role in differentiation and germination of somatic embryos in hypocotyls derived embryogenic callus but in case of cotton, such a capability have been observed on MS medium with 1.92 g/L $KNO_3$, but it is considered to attain somewhat more improvement. High embryogenesis frequency was achieved through nutrient deficient stress treatment. The frequency of globular embryogenesis (two-three folds) was achieved when well proliferating callus was (from $MS_{1a}$ media) cultured on MS (1/5 strength) medium for four weeks. Here the development of anthocyanins is the best indicator for somatic embryogenesis. However, when embryoid callus was cultured on MS (full strength) medium, the globular embryos were developed into normal plantlets immediately. In this procedure 27.49% cotyledenary embryos were developed. Of that 70% cotyledenary embryos were developed not only into normal plantlets but rooted simultaneously, when cultured on MS (with 0.05 mgg/L giberrelic acid) medium. So complete plants could be regenerated through somatic embryogenesis from hypocotyl explants within 6 month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