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ursing Students Self Efficacy

검색결과 781건 처리시간 0.032초

대학생의 체형 인식과 비만 정도 및 운동과 식습관 변화단계 영향요인: 범이론적 모형 적용 (The Level of Body Perception, Obesity, and Factors associated with Stages of Exercise and Dietary Habits Change in University Students: Application of the Transtheoretical Model)

  • 장인순;김유정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67-176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level of body perception, obesity, and factors associated with stages of exercise and dietary habits change in university students. Methods: A descriptive design was used. Data were collected from 279 university students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s. Results: The body percepti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elf rated health (F=27.89. p<.001), weight satisfaction (F=137.74. p<.001) and weight control interest (F=39.19. p<.001). The BMI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weight satisfaction (F=34.08. p<.001) and weight control interest (F=19.59. p=.003). But the body perception and BMI were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epression (F=2.17, p=.073, F=0.86. p=.462), the change of exercise (F=25.91. p=.055, F=20.34. p=.061), and dietary habits (F=12.96. p=.677, F=11.29. p=.505). The related factors affecting the change of exercise behavior were counter conditioning, self efficacy, eating behavior, and helping relationship, including 30.4% R-square. The related factor affecting the change of dietary habit was only eating behavior, including 20.0% R-square. Conclusion: This study can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develop effective programs for the change of exercise and dietary habits considering university students' stages of change according to the transtheoretical model.

융복합 시대 준비를 위한 국내 간호대학 교육에서의 비판적 사고 연구(1996-2014) 동향 분석 (A literature Review (1996-2014) on Critical Thinking in Korean Nursing Education for the Era of Convergence)

  • 하나선;박소영;이미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9호
    • /
    • pp.341-349
    • /
    • 2015
  • 본 연구는 융복합 시대에 중요한 능력인 비판적 사고와 관련되어 국내 간호대학 교육에서 연구된 논문(1996-2014) 75편을 분석한 문헌고찰 연구이다. 고찰 결과 2006년을 기점으로 비판적 사고 관련 연구가 크게 증가하였으며, 연구 설계는 관련 요인을 탐색하는 수준에서 경로모형 구축까지 진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판적 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학력, 연령, 교우관계, 학업성적, 임상실습 기간, 전공만족도,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학습방법 등이 확인되었으며, 비판적사고 성향이 높을수록 임상실습 스트레스, 인지된 스트레스가 낮아지고, 문제해결 능력, 임상수행능력, 감정조절, 의사소통 능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판적 사고는 단기간에 획득, 향상되기 어려우므로 지금까지 연구에서 확인된 비판적 사고와 관련된 원인 및 결과변수를 바탕으로 간호교육과정에서 장기적이고 체계적으로 비판적 사고를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것을 제언한다.

간호대학생의 표준주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관한 융합적 연구 : 건강신념모델 기반 (A Convergence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Nursing Students' Attitudes toward Standard Precautions: Focusing on the Health Belief Model)

  • 김미자;윤선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77-88
    • /
    • 2018
  • 신종 감염병에 직면하고 있는 의료종사자들을 보호하고, 모든 의료 환경에서 전염병 전파를 막기 위한 표준주의는 미래의 간호사가 될 간호대학생들에게 감염병 전파를 예방하기 위해 중요하다. 이에 간호대학생들의 표준주의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연구시기는 2016년 5월부터 6월까지이며, 연구대상자는 D시에 소재한 대학의 간호대학생 291명이다. 연구결과는 간호대학생의 건강신념 하위요인 중 지각된 이익(4.26)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표준주의 지식점수는 정답률 78.9%이었고, 태도 수준(4점 척도)은 평균 3.63점 이었다. 지각된 민감성, 지각된 이익, 지각된 장애, 자기효능감, 표준주의에 대한 지식이 표준주의에 대한 태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건강신념의 하위요인 중 지각된 민감성(${\beta}=.152$, p<.05)과 지각된 장애(${\beta}=-.125$, p<.05)가 간호대학생의 표준주의에 대한 태도(F= 5.680, p<.001)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간호대학생의 표준주의에 대한 태도 수준을 높이기 위해 간호대학생에게 건강신념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융합적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다.

국내 간호사와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재난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 (The Effectiveness of Disaster-related Educational Interventions in South Korea: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 방윤이;김혜진;박하영
    • 산업융합연구
    • /
    • 제22권5호
    • /
    • pp.117-125
    • /
    • 2024
  • 자연 재해와 대규모 사회 재난발생으로 인해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재난교육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간호학생과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재난교육에서 교육적 개입의 효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이다. 주요 한국 데이터베이스에서 재난, 교육 프로그램, 시뮬레이션 관련 키워드로 문헌을 검색하였으며, 재난교육 프로그램 중재를 제공한 국내 간호사 및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논문들이 분석 대상이었다. 대부분의 프로그램에서 이론 강의, 시뮬레이션, 디브리핑 방법이 사용되었으며, 중재 시간은 2시간 이하에서 40~56시간에 이르는 다양한 구성으로 진행되었다. 가장 많이 측정한 변수는 재난간호 준비도와 재난간호수행능력이었으며, 재난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로 재난간호 준비도, 재난간호수행능력, 재난태도, 재난지식, 재난인식, 학습 자기효능감, 실습만족도, 재난간호 자신감 변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중재 시간과 방법을 고려하여 참여자들에게 실제적이고 현장감 있는 학습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 중요하다.

호흡기환자 시뮬레이션 교육에서의 동영상 제작 과제 활용 효과 (The effects of a simulation-based learning method utilizing the task of making video in raspiratory patients care)

  • 조혜영;강경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148-156
    • /
    • 2017
  • 본 연구는 보건계열 대학생을 대상으로 시뮬레이션 기반 호흡기환자 교육에서 동영상 제작과제를 활용한 후 그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는 J시에 소재한 D대학교 보건계열 학생 56명을 실험군 28명과 대조군 28명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실험군에게는 2회기의 동영상과제를 활용한 사전교육이 시행되었으며, 각 회기당 소요되는 시간은 120분이었다. 대조군에게는 전통적인 강의식 사전교육이 1회기당 120분씩 2회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2014년 11월에 시행되었고, 자료분석은 SPSS 18.0을 사용하였다. 일반적 특성과 각 변수들은 실수와 백분율로, 효과분석은 paired t-test와 unpaired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동영상 제작과제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교육군에서 학습만족도의 모든 하부영역과(p=.008~p<.001) 자기효능감 하부영역 중 자신감(p=.010)이 전통적인 강의를 활용한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 되었다. 본 연구결과에서 동영상 과제를 활용한 교육이 학습자들의 흥미를 강화하고 자기주도학습과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보건대학생들의 전문직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확대 시행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는 바이다.

성인초기 여성의 골건강 증진을 위한 스마트폰 앱 개발 및 적용: 예비연구 (Development of a Smartphone Application for Promoting Bone Health in Korean Young Adult Women: A Pilot Study)

  • 박영주;이숙자;신나미;신현정;윤성진;전송이;조인해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59-471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martphone application and evaluate it's effectiveness and usability for promoting bone health in Korean young adult women. Methods: A smartphone application was developed covering exercise, nutrition, and health habits related to bone health. A pilot testing was conducted using a one-group pre/posttest design. A total of 22 female college students with low bone mass participated in the 8-week use of a pilot testing. Results: The "Strong bone Fit body (SbFb)" application was developed using Android platform. In the pilot testing, bone mineral density, serum CTX, and 25 (OH)Vit.D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There is no significant change in serum osteocalcin and calcium. Serum phosphorus concentration, nutrient intakes (fiber, VitB6, and pantotenic acid), and all bone composition profil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one-health knowledg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ut no change in health belief and self-efficacy.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pilot testing suggest the effectiveness of the SbFb application to enhance and promote self-managing abilities for bone health. It can provide continuous feedback and high-quality bone health information. However, some contents and working methods of the application need to be modified and its effectiveness on bone health requires further investigations.

요통관리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The Analysis of Research Trend about Management of Low Back Pain)

  • 현경선
    • 재활간호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51-60
    • /
    • 1998
  • The result of studying papers about management of lower back pain published in domestic and foreign nursing and medical magazines in these 10 years is as follows ; 1. General characteristic of lower back pain ; 1) In sex distribution, there were more men than women in 5 papers and more women than men in 4 papers among 9 papers surveryed. 2) In age distribution, thirties to forties of patients had more lower back pain as surveyed by general hospitals and fifties to sixties of patients had more lower back pain as surveyed by oriental medical hospitals. 3) In cause factor, there were 50 to 65% of sprain, 32 to 44% of herniated intervertebral disc and 13 to 29% of degenerative changes. 4) In symtom distribution, there were 26 to 57% of lower back pain, 42 to 65% of lower back pain with radiating pain and 34 to 99% of paravertevral muscle spasm. 5) In period of pain management distribution, 18 to 40% of patients experienced pain for less than 6 months and 59 to 82% of them experienced pain for more than 6 months in 3 papers among 4 papers. 6) In surveying the treatment, 66 to 88% of patients had conservative treatment and there were treatments of general hospital, oriental medicine, self remedy and traditional practice in conservative treatment. 7) In job distribution, 12 to 50% of them were housekeepers, 23 to 31% office workers, 4.6 to 36% blue color workers and 11 to 15% students. 2. As psychological character lower back pain paients had anxiety, depression, anger-hostility, phobic anxiety, neurasthenia, hypochondriasis, and interpersonal sensitivity. 3. To distinguish the cause of lower back pain, plain lumbar roentgenogram, straight leg rasing test, eletromyelogic findings,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 CT and MRI were performed. 4. To relieve lower back pain. epidural adhesiolysis, epidulal injection of local anesthetic in mixture with steroid, lumbar spinal root block, low level laser therapy, acupuncture like transcutaneous nerve stimulation(AL TENS), topical capsaicin and lumbar orthotics were used in medical field, and relaxation technique was used in nursing field. 5. Mckenzie's extension exercise and William's flexsion exercise for lower back pain were used in medical field and Yoga exercise was applied in nursing field. 6. The more school education and self efficacy were high, the better they had active coping lower back pain positively and the less self efficacy was the more they had serious pain. As a result of studying the paper there have been very little research for lower back pain in nursing fields of Korea and foreign countries. Because 60 to 80% of population expeience lower back pain at least more than onc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study and clinical practice for management of lower back pain.

  • PDF

플립러닝 학습법을 통한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과제가치, 수업참여도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task value, and class participation of college students on learning satisfaction through flip learning)

  • 주현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211-225
    • /
    • 2021
  • 본 연구는 플립러닝 수업을 진행한 대학생 462명을 대상으로 학업적 자기효능감, 과제가치, 행동적 참여도, 인지적 참여도, 정서적 참여도, 주도적 참여도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모형을 검정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의 직접효과는 행동적 참여도가 가장 큰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 주도적 참여도, 과제가치, 정서적 참여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순으로 나타났고 이들 변인들은 학습만족도를 86% 설명하였다.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과제가치는 행동적 참여도, 정서적 참여도, 주도적 참여도를 통한 학습만족도에 간접효과가 있었다. 둘째, 성적이 중상위권(B+이상) 집단과 중하위권(B이하) 집단을 조절변수로 하는 다중집단 조절효과에서 주도적 참여도와 학습만족도의 경로계수가 집단간 차이가 있어 부분조절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학습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학습수준과 학업관심도에 따라 학습참여도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방안모색과 개인별 맞춤형 학습적응 프로그램을 통한 중재전략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여대생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관련요인 (Factors related to Health Promoting Lifestyle in College women)

  • 성미혜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97-105
    • /
    • 2004
  • Purpose: This study was undertaken in order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of control, perceived health status,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or a health promoting lifestyle in college women, and to determine the factors affecting a health promoting lifestyle of women in the early stage of adulthood. Method: There were 161 students from one university in K city.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a survey of general characteristics, a health promoting lifestyle (47 items), control (8 items), perceived health status (6 items), self-efficacy (17 items), and social support (18 items). The data analysis was done by use of mean, percentage,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regression with the SPSS Win (Version 10.0) program.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he average item score for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was low at 2.39. In the sub-categories, the highest degree of performance was interpersonal support (2.97), and the lowest degree was health responsibility (1.76). 2)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demographics and a health promoting lifestyl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disease experience, and the family's disease experience. 3) Social support revealed only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a health promoting lifestyle. 4) Social support was the highest factor that predicted a health promoting lifestyle in college women (15%). Social support, age and disease experience accounted for 20% in a health promoting lifestyle of college women.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Academic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on Self-Leadership)

  • 최지연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6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81-382
    • /
    • 2016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들의 일반적 특성과 의사소통 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해 간호대학생 중 임상실습 경험이 있는 3, 4학년 318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SPSS Window 20.0 프로그램을 이용한 자료 분석 결과 일반적 특성 중 여자이며, 동아리 활동을 하고 있고, 대학생활 만족도가 높으며, 리더십 교육을 받았고, 리더 경험이 있다고 자신이 인식하는 경유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셀프리더십이 유의하게 높았다. 셀프리더십은 의사소통능력(r=.537), 학업적 자기효능감(r=.417)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의사소통 능력(${\beta}=.418$), 학업적 자기효능감(${\beta}=.187$)은 셀프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이 2개 변인의 설명력은 33.3%(F=13.167, <.001)였다. 그러므로 셀프리더십 향상을 위하여 간호대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교육을 통해 간호의 전문적인 목표 달성과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