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uri Curriculum

검색결과 100건 처리시간 0.019초

2019 개정 누리과정 놀이실행자료에 기초한 유아교사용 놀이지원 척도 개발 (A Development of the Preschool Teacher Play Support Scale Based on the Play Practice Resources for Teachers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 성안나;김연하;이지선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9-38
    • /
    • 2022
  • Objectiv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nstrument for measuring the quality of teacher support for children's play (age 3-5) based on the Play Practice Resources for Teachers presented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33 early childhood educators.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s well as correlation analysis were all performed to confirm construct validity and concurrent validity. The reliability of each factor was verified using Cronbach's alpha. Results: The Preschool Teacher Play Support Scale (PTPSS) was finalized with 25 items, which included the following four sub-factors: interaction, play materials, play space, and play safety. The concurrent validity was also confirmed through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existing measures such as the Teacher Self-Efficacy Scale, the Teaching Efficacy Scale for Play, and the Teacher-Toddler Interaction Scale. The reliability of each factor was also desirable. Conclusion/Implications: The PTPSS was verified as a sound measure quantifying the play support behavior of teachers who respect the autonomy and initiative of young children which is being pursued by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개정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아교육현장의 보드게임 활용 가능성 (How to use Board Game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 Based on the 2019 Revised Nuri-curriculum)

  • 김태연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147-158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개정 누리과정의 유아중심, 놀이 중심 활동과 관련하여 어린이집과 유치원에서 보드게임 활용의 적절성에 대한 근거를 확인하고, 영역별 활동사례를 통해 유아용 보드게임 활용에 대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유아교육현장의 보드게임 활용의 이론적 근거로서 첫째, 발달에 적합한 실제에 근거하여 구체물을 사용한 놀이활동으로써의 가치, 둘째, 게이미피케이션 요소인 경쟁과 보상을 통한 유아의 자발적 참여와 몰입, 셋째, 누리과정 전 영역에 걸친 통합적 경험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누리과정에 기초한 유아용 보드게임의 통합적 활동사례를 신체운동·건강, 의사소통, 사회관계, 예술경험, 자연탐구의 영역별로 살펴보고, 활동과정에서 나타난 장단점과 유의점을 검토하였다. 이 연구는 유아교육현장에서 보드게임을 활용한 놀이활동의 가능성과 시행 방향에 대해 논하고, 이를 기반으로 유아교육현장의 보드게임 활동 구성 및 새로운 보드게임 콘텐츠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의의를 가진다.

유치원 교육과정 기반 영양·식생활 교육 내용 체계화: 질적 기초 연구 (Systematization of food and nutrition education content based on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a qualitative formative study)

  • 김정현;심유진;백은영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509-522
    • /
    • 2023
  • Objectives: This study is intended to develop a curriculum for kindergarten food and nutrition education aimed at preschool children, reflecting government policy and meeting the demands of preschool settings. Methods: Existing educational materials were analyzed, and key elements of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Nuri Curriculum") and Guidelines for Nutrition and Food Education in Kindergartens,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Guidelines") were examined as foundational information for developing the curriculum for food and nutrition education. Results: Basing ourselves on the five domains of the Nuri Curriculum,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Communication," "Social Relationships," "Art Experience," and "Natural Science Inquiry," we integrated three areas from the Guidelines, namely "Dietary Habits and Health," "Dietary Habits and Safety," and "Dietary Habits and Culture," to structure the curriculum for kindergarten food and nutrition education. Three specific domains, "Nutrition and Health," "Food and Culture," and "Safe Dietary Practices," were tailored for preschool children, each comprising core concepts, content elements, and educational materials. In the "Nutrition and Health" domain, core concepts such as "nutrition" were addressed through content elements such as "balanced eating" and "vegetables and fruit," while "health" included elements such as "eating regularly" and "nutrients for disease prevention," each with two educational content components. The "Food and Culture" domain focused on "food" with content on "local foods (vegetable-garden experience)" and "food culture" with content on "our dining table (rice and side dishes)," "our agricultural products," "global cuisine (multiculture)," and "considerate dietary practices," each with four educational content components. The "Safe Dietary Practices" domain included core concepts such as "hygiene" with content on "hand-washing habits" and "food poisoning management," and "safety" with content on "food labeling." Conclusions: The systematized curriculum for kindergarten food and nutrition education aligns with the Nuri Curriculum and is interconnected with the Guidelines. This curriculum can be used as foundational material for developing educational resources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preschoolers, contributing to effective implement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우리나라 유아수학교육사 연구 (A Study on Korean Early Childhood Mathematics History)

  • 계영희;하연희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349-363
    • /
    • 2015
  • In this paper, we explore about Korean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history. Actually, mathematics education history is mathematics education curriculum's history. Korean education curriculum has been influenced by the US and European prominent educators: Montessori, Piaget, Bruno, and Dewey, etc. We investigate how those philosophy and thoughts were adopted in Korean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curriculums from 1st to 2015 amended curriculum. Also, we can see that NCTM's content standards and Korean Nuri curriculum are the same in the basic concepts: number and operations, space and shapes, measurement, understanding of patterns and data collection.

2019개정 누리과정의 놀이지원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 of play support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 김동례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1호
    • /
    • pp.67-74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놀이 및 2019개정 누리과정의 놀이지원에 대한 그들의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임의표집된 K시와 J도에 재직중인 보육교사 259명이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와 ANOVA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놀이에 대한 인식은 높았으며, 방임적놀이와 놀이허용의 차이를 구분에 대한 인식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2019개정 누리과정의 놀이운영에 대해 보육교사의 인식도 높게 나타났다. 셋째, 놀이인식수준에 따라 놀이운영에 대한 인식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보육교사의 놀이인식수준이 높을수록 놀이운영에 대한 인식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2019개정 누리과정이 성공적인 현장 안착에 밑거름이 되는 교사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한국과 미국의 유아 수학교육과정 내용 비교 연구: Common Core State Standards 및 뉴저지 주 Preschool Standards를 중심으로 (Comparative Study on Mathematics Curriculum and Conten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based on Common Core State Standards(CCSS) and New Jersey Preschool Standards)

  • 유선영
    • 비교교육연구
    • /
    • 제28권3호
    • /
    • pp.333-354
    • /
    • 2018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누리과정의 수학교육과 미국의 CCSS 및 뉴저지 주 Preschool Standards 수학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누리과정 수학교육내용에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시사점을 도출하여 향후 누리과정 수학교육의 개정 및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분석준거는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목표, 내용범주 및 내용, 세부 내용 및 특징으로 정하였다. 그 결과 첫째, 우리나라 누리과정은 수학적 지식을 구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일상의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강조한 포괄적 목표를 제시한 반면 미국의 수학교육 목표는 유아들이 습득해야 할 수학적 내용 및 개념을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둘째, 한국과 미국의 내용범주 및 내용은 두 나라 모두 수와연산의 기초, 측정, 공간 및 도형 등에 대한 것을 다루고 있다. 우리나라 누리과정 수학교육은 자연탐구영역에서 1개의 내용범주를 제시하고 있고, 미국 CCSS의 내용범주는 주요 수학적 개념 5개이며 Preschool Standards 내용범주는 4개로 제시 되어있다. 셋째, 두 나라 유아수학교육은 유 초 연계를 포함한 연령 및 학년별 연계성과 기술방법에 차이점이 있다. 이를 통해 누리과정 유아수학교육 내용 개선 시 고려해야 할 점을 살펴보았다.

우리나라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재난안전 교육내용 비교 분석 : 2019 개정 누리과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Comparative Analysis of Disaster Safety Education Contents of National Curriculum in Korea : Focusing o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the 2015 Revised Curriculum)

  • 성미영;김신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92-100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나타난 재난안전 교육내용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2019 개정 누리과정(유치원)과 2015 개정 교육과정(초 중 고)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유아 대상 재난안전 교육내용은 신체운동 건강영역의 '안전하게 생활하기' 내용범주에 '재난'이라는 용어가 명시되어 있다. 둘째,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초등학생 대상 안전교육내용은 초등1~2학년과 3~6학년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1~2학년은 창의적 체험활동의 '안전한 생활' 대분류 영역 중 하나인 '재난안전'영역에 재난안전 교육내용이 명확하게 제시된 반면, 초등3~6학년은 체육, 과학, 실과 등의 관련 교과목이나 창의적 체험활동에 안전교육내용이 분산되어 있었다. 셋째,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중고등학생 대상 안전교육내용 역시 사회, 체육, 과학, 기술 가정 등 관련 교과와 창의적 체험활동에 분산되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우리나라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나타난 재난안전 교육내용이 유치원부터 고등학교에 이르기까지 연속성과 체계성을 갖추지 못했음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향후 국가수준 교육과정 개정 시 재난안전 교육내용의 연속성과 체계성 확보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예비유아교사의 모의수업을 통해 본 「4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신체활동」 분석 (A Study on Physical Activities in the Teachers' Guidance Manual for the Nuri Curriculum of Four-Year-old Children -Focusing on Pre-service Early-childhood Teachers' Simulated Instruction -)

  • 홍길회;윤혜자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77-200
    • /
    • 2015
  • 본 연구는 '4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신체활동을 예비유아교사들의 모의수업을 통해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그에 따른 결과로 유아교육현장에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신체활동을 수업으로 실시하는데 있어 도움을 주고자 실시된 연구이다. 연구 참여자는 경기도 K대학의 유아교육과 2학년 2학기에 재학 중인 30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4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신체활동 분석을 위해 비형식적 면담과 예비유아교사의 반성적 저널 그리고 30회기의 수업평가서 등의 자료 수집을 통해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4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신체활동 분석으로 예비유아교사들은 첫째, '4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신체활동의 주된 목표를 '표현하기'로 인식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으며, 둘째, '4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신체활동에 제시된 보조 자료인 '동영상, 그림책, 음원, 그림 자료' 등을 수업에 활용하는데 있어 신중한 판단이 요구되는 것으로 보았다. 셋째, '4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신체활동 실행 시 나타나는 오류나 문제점으로, '예비유아교사가 이해하기 어려운 활동'과 '제목에 따른 활동 방법이 부적합하게 제시된 활동'으로 판단하였다. 넷째, 예비유아교사들이 이해하는 '4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신체활동 개선점으로, 본 활동을 실시하기 전 기초적인 신체활동이 먼저 이루어져야 함과 수업시간에 적절한 실제물의 제시, 교사의 시범의 필요성, 그리고 신체활동을 위해서 그 상황에 필요한 규칙을 유아와 교사가 함께 만드는 것, 등이 요구된다고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유아교육현장의 교사들이 누리과정의 신체활동을 수업으로 실시하기 전 교사로서 깊이 있는 사고와 판단이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만3~4세 보육교사의 누리과정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에 따른 실행수준 분석 (The Analysis Level of Implementation by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n Nuri Curriculum of Age 3~4 Child Care Teachers)

  • 유희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153-171
    • /
    • 2015
  • 본 연구는 만3~4세 누리과정에 대한 인식 및 만족도에 따른 실행수준을 분석하고자 만3~4세 보육교사의 누리과정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의 전반적인 경향과 실행수준과의 관계, 실행수준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방법은 서울과 경기도 내 어린이집 보육교사 26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분석은 인식과 만족도의 전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실행수준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계수 방법을, 실행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해 다중회귀방법을 사용하였다. 그 연구결과 첫째, 만3~4세 보육교사의 누리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은 보통 보다 조금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행수준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특히 실행 및 지원인식은 이론적 근거 및 성격과 높은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만3~4세 누리과정에서 만족도의 전반적인 경향은 보통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도 역시 실행수준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교육과정의 만족도는 실행수준의 평가와 관계가 있으며 실행 및 지원의 만족도는 자료와 관계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만3~4세 누리과정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중 실행 및 지원 인식은 실행수준에 유의한 정적 영향력을 나타냈으며 만족도에 있어서는 교육과정의 만족도가 평가 실행수준에 정적인 영향력을 나타냈다.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다문화 교육내용 분석 (An Analysis on the Cont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Teacher's Manual for 「Age 3-5 Nuri Curriculum」)

  • 하현정;손유진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151-170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다문화 교육내용을 분석하는 것이다. 2013년 3월에 발행한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수록된 2116의 활동 중 다문화 교육내용과 관련된 총 1470개의 활동을 가지고 '정체성', '다양성', '개방성', '민주성', '공동체성'의 다섯 가지 분석준거로 다문화 교육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된 결과는 생활주제별, 내용영역별, 활동 유형별로 정리되어 제시되었는데 결과, 생활주제별로는 '우리동네'와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다문화 교육내용이 다루어졌으며, '봄, 여름, 가을, 겨울' 주제에서 가장 적게 다루어졌다. 내용영역별로는 '다양성'과 '정체성 그리고 '공동체성'의 내용이 많았고, '민주성'과 '개방성'의 내용은 적었다. 그리고 이들 내용은 대부분 '사회관계'에서 다루어지고 있었다. 활동유형별로는 자유선택활동에서는 '수조작영역'에서, 대집단에서는 '이야기 나누기'에서 가장 많은 다문화 교육내용을 다루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