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umerical taxonomy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3초

가시황백매미충아속의 계량형태학적 분류(매미목: 매미충과) (Morphometric Classification of the Subgenus Parapagaronia from Korea (Homoptera: Cicadellidae))

  • 허은엽;권용정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7-14
    • /
    • 1996
  • 가시황백매미충아속(Parapagaronia)의 였으나, 암컷에서는 96.25%로 더 높게나타났다. 계량형태학적 수리분류의 일환으로서 4종을 대상으로 정량적 형태형질을 이용한 다변량분석을 시도한 결과, 각 종간 평균분리솔의 수컷에서는 87.5%였으나, 암컷에서는 96.25%로 더 높게 나타났다.

  • PDF

산마늘의 자생지별 외부형태 및 수리분류학적 연구 (External Morphology and Numerical Taxonomy among Habitat of Allium victorialis var. platyphyllum)

  • 유기억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10-216
    • /
    • 1998
  • Taxonomic studies in external morphology,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the intraspecific relationship among three habitats (Jirisan, Odaesan and Ulleungdo) of allium voctorialis var. platyphyllum. External morphology such as bulb color, leaf blade length and width, petiole length, total leaf length, peduncle length, perianth lobe length and width, length of anther and filament were useful characters for identification of poplations in three habitats. The results obtained based on the principal component (Pc) analysis of treated 72 OTUs(included outgroup)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y the PC 1 ,2,3 and the sums of contributions for the total variance were 84.1%(PC1 51.0%, PC2 24.9% and PC3 8.2%, respectively). In cluster analysis by the UPGMA and Ward's methods , there was similarities in the compostion of clustered taxa, and only Ulleungdo population was distinctly identified from population of other two habitats.

  • PDF

한국 연안 해역에서 분리한 3-chlorobenzoate 분해 세균에 대한 수리학적 분류 (Numerical taxonomy of 3-chlorobenzoate degrading bacteria isolated from Korean coastal waters)

  • 김명운;김상종
    • 미생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72-278
    • /
    • 1989
  • The bacteria utilizing 3-chlorobenzoate as a sole carbon and energy source were isolated by Most-Probable-Number technique and identified in Korean coastal waters. Pseudomonas, Moraxella and Flavobacterium were dominant genera and comprised 70.2% of total isolates. Forty-four biochemical, cultural,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testa were performed and average linding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from the test results. Total 92.7% of isolates were clustered into 17 groups under the 80% similarity level. The degradation of 3-chlorobenzoate was performed by many heterogeneous bacteria and the species diversity of these bacterial group offers informations of the stability of bacterial communities in relation to carbon compound cycling in coastal enviromnents.

  • PDF

한국산 재래꿀벌의 전자계량형태학적 분류 V. 정준판별함수값을 이용한 군분석 (Electron-Morphometric Classification of the Native Honeybees from Korea Part V. Cluster Analysis by Canonical Function Score)

  • Kwon Yong Jung;Huh Eun Yeop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8권2호
    • /
    • pp.189-200
    • /
    • 1992
  • 우리나라에 분포하고 있는 재래꿀벌(Apis cerana)의 일벌을 대상으로 춘계 15지역 및 하계 16지역 개체군을 선발하였으며, 총 47개 정량형질에 대해 계절별, 지역별등의 요인에 의해 군분석(cluste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각 계절별 구분은 명백하게 나타났으나, 유사도에 있어서는 인접지역간 유연관계를 계통적으로 보여주지는 않았다.

  • PDF

1981년도 한국동물학회 춘계 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지록: 우리나라 생물학의 어제와 오늘;우리나라 동물계통분류학적의 현황과 문제점

  • 한국동물학회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17-121
    • /
    • 1981
  • 우리나라 현실을 알기 위해서는 分類學의 歷史的 背景을 살필 필요가 있다. 그 역사를 Darwin 以前과 Darwin 以後로 크게 區分할 수 있다. Darwin 이전의 대표자로서 그리이스의 Aristoteles와 18세기의 Linne를 들 수 있는데 Linne는 種名의 二名法의 확립과 카테고리의 설정으로써 分類學의 發展에 크게 공헌하였고, 그의 哲學的 背景은 Aristoteles의 사상과 통하는 스콜라 哲學이었다. 그의 種의 槪念은 靜的인 것이었고, 그는 少數의 識別形質만을 重要視하였다. Darwin 이후에는 進化思想이 分類學에 절대적인 영향을 주어 학자들은 動物의 系統探求에 熱을 올리게 되었고, 種의 개념은 動的인 경우로 되었다. 또한 Linne 이후에는 動物의 新種記載가 급증하였다. 20세기에 들어와서는 自然系統分類學 生物學的 系統分類學, 數理分類學 (numerical taxonomy, 二次大戰 이후), 生化學的 技術의 도입 등 分類學에 새로운 면이 첨가되면서 種의 개념을 변천하고 種의 定義는 多樣化하였으며, 分類學上의 形質과 系統發生 究明方法이 확장되었다.

  • PDF

낙동강 하구 생태계의 종속영양세균의 군집구조 분석 및 수리학적 분류 (Characterization and Numerical Taxonomy of Heterotrophic Bacterial Community in Naktong Estuarine Ecosystem)

  • 귄오섭;조경제
    • 미생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444-449
    • /
    • 1992
  • 낙동강 하구생태계에 분포한 종속영양세균의 환경 변화에 따른 군집구조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총 858 균주를 분리하여 수리학적 방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종의 다양성(H') 은 1.54-3.49 로, 하구언 건설 전의 수치와 큰 차이가 없었으나, 균등성지수(evenness index)(J') 는 0.31-0.80 으로 감소하였다. Physiological tolerance index 중 수온에 대한 지수(P') 는 수심이 얕은 정점에서, pH 와 염분에 대한 $P_{h}$$P_{s}$ 는 담수와 해수가 교차하는 정점에서 높았다. 우점의 cluster 를 속 (genus) 수준에서 동정한 결과 Aeromonas, Vibrio, Pseudomonas, Acinetobacter-Morexella, Alcaligenes, Flavobacterium, Micrococcaceae, Enterobacteriaceae 등으로 분류되어 하구언 축조 전과 동일한 종류의 세균뷴포를 나타냈으나 그 출현비율은 달랐다. 이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 하구언 축조 등에 따른 낙동강 하구역의 환경변화는 분포세균의 종류보다는 생리적 특셩에 영양을 미쳐 특정종의 우점을 나타나게 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외부형태형질에 의한 한국산 엉겅튀속(Cirsium Miller)의 분류학적 연구 (Taxonomic Study on Cirsium Miller (Asteraceae) in Korea Based on External Morphology)

  • 송미장;김현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7-40
    • /
    • 2007
  • 한국산 엉겅퀴속(Cirsium Miller)을 대상으로 주요 식별형질의 변이 양상과 폭에 대한 수리 분류학적 분석을 수행하여 그 분류군의 한계와 분류체계를 확립하고자 하였다. 엉겅퀴속의 주요 식별 형질인 잎의 형태와 크기, 화서, 화관, 총포와 총포편, 수과 등 61개의 외부 형태학적 형질들을 측정하여 주성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잎에 결각이 있는 개체군들과 결각이없는 개체군들로 구성된 2개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결각이 없는 집단에는 C. lineare, C. vlassovianum, C. setidens 등이 속하였으며 결각이 있는 집단에는 C.pendulum, C. japonicum var. japonicum, C. japonicum var. spinosissimum, C. schantarense, C. nipponicum, C. rhinoceros 등이 속하였다. 결각이 있는 집단에서 C. pendulum은 엽두의 모양, 화서의 형태, 꽃의 수, 아래 화통의 길이, 총포의 색깔 그리고 총포편 끝의 형태 등의 형질에 의해 다른 분류군들과 구분되었다. 또한 군집분석에서도 이를 뒷받침하였으며 Onotrophe, Pseudo-eriolepis, Spanioptilon 등의 3개 절로 나뉘었다. Onotrophe절에는 C. japonicum var. japonicum, C. japonicum var. spinosissimum, C. schantarense, C. rhinoceros, C. nipponicum, Spanioptilon절에는 C. setidens, C. vlassovianum, C. lineare, 그리고 Pseudu-eriolepis절에는 C. pendulum이 포함되었다. 이 연구 결과, 한국산 엉겅퀴속 분류군들은 3절 8종 3변종 5품종으로 정리되었다.

신규의 Aminopeptidase M 저해제 MR-387A 및 B 생산균주의 수리동정 (Numerical Identification of a Strain Producing Novel Aminopeptidase M Inhibitors MR-387A and B)

  • 정명철;박동진;김창진;김수일;고영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3호
    • /
    • pp.196-201
    • /
    • 1995
  • 토양으로부터 분리한 신규의 aminopeptidase M 저해제 MR-387A 및 B를 생산하는 균주 SL-387의 화학동정 및 수리동정을 하였다. 배양학적 및 형태학적 특성과 화학지표에 의하여 분리균주는 Streptomyces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종의 동정을 위하여 41개 동정 단위형질에 대하여 조사한 후 TAXON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리동정을 하였다. 분리균주는 Streptomyces의 주군집 18에 속하는 균주로 Streptomyces eyagawaensis와 공유도계수($S_{SM}$) 75.6%로 가장 유사 하였다. 이상의 화학동정 및 TAXON 분석에 의하여 분리균주 SL-387은 Streptomyces neyagawaensis이거나 그 유연 균주인 것으로 동정 되었다.

  • PDF

형태학적 형질에 의한 까치수염속(Lysimachia) Spicatae절 식물의 분류학적 연구 (A taxonomic Study of Lysimachia sect. Spicatae (Primulaceae) Based on Morphological Characters)

  • 김진만;태경환;김주환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61-78
    • /
    • 2007
  • 까치수염속 Spicatae절에 포함되는 3종 14집단 34개체의 형태형질을 검토하였고, 이를 토대로 수리 분류학적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본 절의 각 종에 대한 중요형질 및 변이의 한계를 파악하고 종집단간의 유연관계를 고찰하였다. 정량형질보다는 정성형질인 서식지와 엽선 그리고 잎, 탁엽, 줄기 및 포에 존재하는 털의 유무, 줄기의 가지 여부, 화축과 소화경에 존재하는 털의 종류 및 화서의 형태 등이 종 동정에 유용한 식별형질로 밝혀졌다. 또한, 정성형질의 검토에 의하여 큰까치수염과 까치수염이 진퍼리까치수염에 비해 유연관계가 더 밀접한 것으로 밝혀졌고, 이를 근거로 종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동아시아산 붉은쥐속 5종의 형태형질의 수리분류학적 연구 (Numerical Taxonomic Study on Five Species of Genus Apodemus in East Asia)

  • 고흥선;천태영;김영기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5권2호
    • /
    • pp.165-174
    • /
    • 1999
  • 동아시아의 한국과 중국에 살고 있는 붉은쥐속 (Apodemus) 5종 (A. agrarius, A. chevrieri, A. draco, A. latronum 및 A. peninsulae)의 표본들을 31개 외부 및 두골형질들의 수리분류학적 연구에 사용하였다. 2군과 각 군내의 8아군 [I; 큰 형; (A. agrarius chejuensis), (A. chevrieri), (A. draco orestes와 A. latronum) 및 (A. peninsulae peninsulae와 A. p. preator)], [ll; 작은형; (A. agrarius coreae), (A. agrarius manchuricus, A. a. ningpoensis 및 A. a. pallidior), (A. draco draco) 및 (A. peninsulae sowerbyi)]이 형성되었다. 형태형질의 분석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형태형질들은 붉은쥐속 Apodemus내의 2아속 (Apodemus 와 Alsomys)을 구분하는 데에 유효하지 않다. 2) A. draco와 A. latronum가 동일한 종인지의 결정을 위한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3) A. a. chejuensis는 본 연구에서 분석한 붉은쥐속 5종중에서 형태적 형질에서 가장 크기가 크다. 뿐만 아니라, 다음 사실들이 확인되었다 : 1) A. agrarius, A. chevrieri 및 A. peninsulae는 독특한 종들이다. 2) A. draco와 A.latronum는 흰넓적다리붉은쥐 A. peninsulae와 동종이 아니다. 3) 등줄쥐 A.agrarius의 3형(큰형, 중간형 및 작은형)은 3아종 [(A. a. chejuensis), (A. agrarius coreae) 및 ( A. a. manchuricus와 A. a. pallidior를 포함하는 A. a. ningpoensis]으로 구분된다. 4) A. draco draco와 A. draco orestes는 독특한 아종이다. 5) A. peninsulae peninsulae (A. p. preator포함)와 A. p. sowerbyi는 독특한 아종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