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zation and Numerical Taxonomy of Heterotrophic Bacterial Community in Naktong Estuarine Ecosystem

낙동강 하구 생태계의 종속영양세균의 군집구조 분석 및 수리학적 분류

  • 귄오섭 (인제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환경학과) ;
  • 조경제 (인제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 Published : 1992.12.01

Abstract

A total of 858 heterotrohic bacteria were isolated and analyzed hy numerical method to investigate the heterotrophic hacterial community structure in Naktong Estuary. Although the values of H' (Shannon's diversity index). ranged between 1.54 and 3.49. were similar with those of the data hefore the construction of Naktong River barrage, however J' (evenness index. 0.31-0.80) was reduced. Physiological tolerance index for water temperature ($P_{s}$) was high at St.l and 2 whose depthes arc shallower than the other stations. and indices for pH ($P_{h}$) and salinity ($P_{s}$) were high at St. 2. 3. 4 where freshwater and seawater arc mixed. The predominant clusters were identified as Aeromonas. Vihrio. Pseudomonas. Acinelobacter-Morexella. Alcaligenes. Flavobacterium. Micrococcaccae. and Enterohacteriaceae. The kinds nf the isolates were similar with the previous result. hut the dominant genus was chang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nvironmental changes in Naktong Estuary affect the hacterial physiological adaptation rather than the composition of heterotrophic hactcrial community.

낙동강 하구생태계에 분포한 종속영양세균의 환경 변화에 따른 군집구조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총 858 균주를 분리하여 수리학적 방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종의 다양성(H') 은 1.54-3.49 로, 하구언 건설 전의 수치와 큰 차이가 없었으나, 균등성지수(evenness index)(J') 는 0.31-0.80 으로 감소하였다. Physiological tolerance index 중 수온에 대한 지수(P') 는 수심이 얕은 정점에서, pH 와 염분에 대한 $P_{h}$$P_{s}$ 는 담수와 해수가 교차하는 정점에서 높았다. 우점의 cluster 를 속 (genus) 수준에서 동정한 결과 Aeromonas, Vibrio, Pseudomonas, Acinetobacter-Morexella, Alcaligenes, Flavobacterium, Micrococcaceae, Enterobacteriaceae 등으로 분류되어 하구언 축조 전과 동일한 종류의 세균뷴포를 나타냈으나 그 출현비율은 달랐다. 이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 하구언 축조 등에 따른 낙동강 하구역의 환경변화는 분포세균의 종류보다는 생리적 특셩에 영양을 미쳐 특정종의 우점을 나타나게 한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