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rmative Society

검색결과 380건 처리시간 0.028초

시장 대 비시장규범 댓글: 왜 비시장규범 댓글이 더 영향력 있는가? (Market versus non-market normative replies: Why are non-market normative replies more influential?)

  • 이국희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55-63
    • /
    • 2018
  • 현대인들은 인터넷을 통해 구매하고 싶은 재화와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검색한 후, 그 재화와 서비스를 경험해 본 사람들이 기술한 댓글을 확인한다. 이 댓글은 현대인들의 구매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참조점으로 작용한다. 댓글은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하나는 댓글이 재화나 서비스에 지불한 가격에 부합하는 (혹은 그 이상의) 만족감을 경험했는지(긍정), 아닌지(부정)와 같은 시장규범적 관점의 댓글이고, 다른 하나는 재화와 서비스 공급자가 그것을 공급하여 수익을 얻을 도덕적 자격이 있는지(긍정), 아닌지(부정)와 같은 비시장규범적 댓글이다. 그러나 댓글에 대한 기존 연구는 시장 규범적 관점의 댓글(음식이 맛있는지)에만 관심을 가졌고, 비시장규범적 댓글(경영자가 도덕적으로 훌륭한지)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들이 확인한 시장규범적 댓글의 효과를 맛집 방문의도 평가 상황에서 재검증(실험-1)한 후, 기존에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던 비시장 규범적 댓글의 효과를 검증(실험-2)하며, 시장규범적 댓글과 비시장규범적 댓글의 효과를 비교(메타분석)하려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결과적으로 시장규범적 댓글이 긍정적일 때(맛있다)가 부정적일 때(맛없다)보다 맛집 방문의도가 강해졌다(실험-1). 또한 비시장규범적 댓글이 긍정적일 때(운영자가 도덕적임)가 부정적 일 때(운영자가 부도덕함)보다 맛집 방문의도가 강해졌다(실험-2). 한편 시장규범적 댓글이 긍정적일 때보다 비시장규범적 댓글이 긍정적일 때 맛집 방문의도가 더 강해졌고, 시장규범적 댓글이 부정적일 때보다 비시장규범적 댓글이 부정적일 때 맛집 방문의도가 더 약해지는 상호작용을 확인하였다. 이는 사람들이 시장규범적 댓글보다 비시장규범적 댓글에 더 큰 영향을 받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아울러 본 연구는 시장규범 댓글을 확인하기 전과 후의 기분변화보다 비시장규범적 댓글을 확인하기 전과 후의 기분변화가 더 크며, 이 차이로 인해 사람들이 시장규범적 댓글보다 비시장규범적 댓글에 더 큰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제안하였다.

  • PDF

규범적 영향에 의한 의복동조성 연구 (The Study of Normative Influence on Clothing Conformity)

  • 정미선;장혜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66-75
    • /
    • 1996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ion.;hip between normative influence on clothing conformity and authoritarian personality, fashion interest, and clothing importance. The sample of this study consisted of 756 subjects assigned to eight groups according to sex, age and residence. In this study normative influence on clothing conformity, fashion interest, and clothing importance were measured by 20 Likert type questions adopted from previous research or developed for this study. Authoritarian personality was measured by Min's 35 Likert type questions. The data were analyzed by ANOVA, multiple regression and correl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1) authoritarian personality, fashion interest, and clothing importance was positively related to normative influence on clothing conformity. Among these, fashion interest was the most significant varible. 2) Normative influence on clothing conformity varied by sex and age: that is, females conformed more than males, and younger sample conformed more than older sample.

  • PDF

고등학생의 스트레스와 의복의 규범적 동조 및 의복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tress, /Normative Conformity toward Clothing, and Clothing Satisfaction of High School Students)

  • 이명희;이은실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45-256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tress, body satisfaction, academic record, and demographic variables on the normative conformity toward clothing and clothing satisfaction of high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were 389 high school students(boys: 169, girls: 220) in Seoul, Korea. The normative conformity toward clothing measured by the degree of wearing of unsuitable clothes for school clothing and private clothing norm of students. The school clothing was influenced by allowance, gender, stress of home life, academic record(-), mother's education(R2=.270). The private clothes was influenced by allowance, gender, stress of home life, body satisfaction, and geographical region(R2=.200). The clothing satisfaction was influenced by body satisfaction, gender, allowance, geographical region, and stress of home life(-)(R2=.325). The present findings provide that stress of home life, gender, and allowance had effect on the normative conformity toward clothing, and the higher the stress of home life, the lower the degree of clothing satisfaction.

  • PDF

의복착용상황의 유형에 관한 연구 (A Typology of Apparel Usage Situations Among Female Consumers)

  • 박은주;이은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713-722
    • /
    • 1995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ypes of apparel usage situations percieved by female consumers. Data (N=132) were collected via a questionnaire developed on the focused stoup interviews and previous studies. By multidimensional scaling (MDS) analysis, two dimensions of perceptual criteria on apparel usage situations are identified: formality, and normative aspects of apparel style. Results indicate that apparel usage situations perceived by female consumers can be classified into four major types: (1) Formal-Normative Situations, (2) Informal-Normative Situations, (3) Informal-Normless Situations, and (4) Formal-Normless Situations.

  • PDF

스마트폰 특성 및 서비스 품질과 몰입에 관한 연구 (A Research about Smartphone Characteristics and Service Quality and Commitment)

  • 조현숙;양승복
    • 한국정보컨버전스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1-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특성과 서비스 품질이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편리성, 오락성, 편재성으로 구성된 스마트폰 특성과, 상호작용성, 개인화로 구성된 서비스 품질이 정서적 몰입 및 규범적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검증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스마트폰 특성 중 오락성은 정서적 몰입 및 규범적 몰입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편재성은 규범적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서비스 품질 중 개인화는 정서적 몰입 및 규범적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스마트폰 특성 중 오락성과 서비스 품질 중 개인화 기능을 강조하면, 정서적으로 규범적으로 몰입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표준 연결망을 활용한 표준의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ndards Evaluation Method Using Standards Networks)

  • 최재진;정순석;김광수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315-325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useful standards evaluation method using standards networks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normative references citation information list. Methods: The collected data through the survey were analyzed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The measurement tools used for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three dimensions such as certificate standard, normative reference and degree centrality.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regarding the influence of standard information, It is meaningful that the research using normative reference item among the bibliography information that the standard itself possesses. The analysis of social network analysis data of population standard, normative reference and the correlation analysis with sales, a variable representing actual utilization performance, suggested the importance of the standard and how to evaluate it. Conclusion: In prioritizing standard maintenance, more efficient management will be possible if centrality figures of standard network information are analyzed and used for standard maintenance.

규범적 학습요인의 탐색 (Exploring the Normative Factors in Organizational Learning)

  • 홍민기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 /
    • 제15권4호
    • /
    • pp.129-159
    • /
    • 2014
  • This Study discuss exploring normative-prescriptive factors after the themes on Organizational learning categorize two descriptive/explanatory-perspectives, prescriptive/normative dimension. The former would contain information processing model, theory of action, organizing in organization, while Senge's suggestion on Learning Organization may compose the latter. Each perspective is reconstructed and reinterpreted into the causal mapping relationship founded on system thinking and SD. Underlying on the former try to discovery validities of the latter. But this study only put forward the integral-dynamic model of organizational learning without empirical simulation.

  • PDF

유아기 자녀를 둔 기혼여성의 우울에 대한 영향 요인: 저소득층과 중산층 비교를 중심으로 (Predictors of Depression in Mothers with Young Children by Income status)

  • 이인정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7-43
    • /
    • 2014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depression of mothers with children in early childhood and to identify predictors by income level. Methods: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1,761 data from the 3rd wave of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PSKC) data. Independent variables were socio-demographic data, self-esteem, normative life-events, non-normative life events, parenting stress, marital conflict, social support.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s: Significant factors of depression of female in low-income were non-normative life events, parenting stress, marital conflict. In middle class, significant factors were education, birth order of children, self-esteem, normative and non-normative life events, parenting stress, marital conflict, sociable support. At last, we found that marital conflict was the biggest factor for depression of female in low-income and parenting stress was the most powerful predictor in middle class. Conclusions: Mother's depression has a enormous impacts on development of children in early childhood. Therefore It is required to prevent depression in mothers and it is important to intervene at the early stage of depression.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a different pattern of predictors by income level. Therefore, Intervention and services for a mother's depression should change the direction depending on the level of income.

데이터 민주주의(data democracy)에 대한 규범적 접근 (A Normative Approach to Data Democracy)

  • 박희진;김지성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37-158
    • /
    • 2023
  • 디지털화가 급속도로 진행되는 현대 데이터 사회에서 데이터 활용에 있어 데이터의 개방성과 더불어 신뢰성 및 공정성 확보 또한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다차원적 관점에서 데이터 민주주의 개념을 정의하고 규범적 가치의 요소를 제시함으로써 데이터 민주주의 체계와 현황을 파악하고 평가할 수 있는 지표 개발과 선정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우선 데이터 민주주의의 논의를 위한 토대로써 Kneuer(2016)의 개념을 토대로 자유롭고 공평한 접근, e-참여, e-정부를 e-민주주의의 주요 요소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e-민주주의의 규범적 원리를 토대로 데이터 거버넌스의 질 향상을 위해 데이터 민주주의 개념의 이해 및 실제 적용을 위한 데이터 민주주의의 규범적 프레임워크 및 구성요소로 포용성과 형평성, 참여, 민주적 주권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 민주주의 실천을 위한 데이터 리터러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문헌정보학에서 데이터 민주주의의 규범적 프레임워크에 근거한 새로운 교육과정 개발 및 평가에 관한 연구를 후속 과제로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