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ket versus non-market normative replies: Why are non-market normative replies more influential?

시장 대 비시장규범 댓글: 왜 비시장규범 댓글이 더 영향력 있는가?

  • 이국희 (경기대학교 융합교양대학 교양학부)
  • Received : 2018.05.28
  • Accepted : 2018.08.01
  • Published : 2018.08.31

Abstract

Most people today search for information on the Internet about the goods or services they want to purchase and then assess the replies posted by other people who have experience with those goods or services. These replies serve as an important reference point that can affect purchase decisions. Replies are divided broadly into two types: first, market normative replies about whether a person experiences satisfaction with (or more than) the price paid for goods or services (positive) or not (negative); and the second is non-market normative replies about whether the goods or service provider morally deserves the profits gained from providing them (positive) or not (negative). Previous studies on replies have focused on market normative replies (whether the food is delicious), and there have only been some studies on the effect of non-market normative replies (the owner is morally good). This research was undertaken to re-examine the effect of market normative replies identified by previous studies in a restaurant visit intention evaluation (Experiment 1), to examine the effect of non-market normative replies not investigated in previous studies (Experiment 2), and to compare the effect of market normative replies and non-market normative replies (the meta-analysis) In conclusion, restaurant visit intention was stronger when market normative replies were positive (delicious) than when they were negative (not delicious) (Experiment 1). Furthermore, restaurant visit intention was stronger when non-market normative replies were positive (the owner is moral) than when they were negative (the owner is immoral) (Experiment 2).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restaurant visit intention was stronger when non-market normative replies were positive than when market normative replies were positive, and restaurant visit intention was weaker when non-market normative replies were negative than when market normative replies were negative. This implies that people are more likely to be affected by non-market normative replies than market normative replies.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mood changed more before and after checking non-market normative replies than before and after checking market normative replies, and due to this difference, people could be affected more by non-market normative replies than market normative replies.

현대인들은 인터넷을 통해 구매하고 싶은 재화와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검색한 후, 그 재화와 서비스를 경험해 본 사람들이 기술한 댓글을 확인한다. 이 댓글은 현대인들의 구매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참조점으로 작용한다. 댓글은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하나는 댓글이 재화나 서비스에 지불한 가격에 부합하는 (혹은 그 이상의) 만족감을 경험했는지(긍정), 아닌지(부정)와 같은 시장규범적 관점의 댓글이고, 다른 하나는 재화와 서비스 공급자가 그것을 공급하여 수익을 얻을 도덕적 자격이 있는지(긍정), 아닌지(부정)와 같은 비시장규범적 댓글이다. 그러나 댓글에 대한 기존 연구는 시장 규범적 관점의 댓글(음식이 맛있는지)에만 관심을 가졌고, 비시장규범적 댓글(경영자가 도덕적으로 훌륭한지)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들이 확인한 시장규범적 댓글의 효과를 맛집 방문의도 평가 상황에서 재검증(실험-1)한 후, 기존에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던 비시장 규범적 댓글의 효과를 검증(실험-2)하며, 시장규범적 댓글과 비시장규범적 댓글의 효과를 비교(메타분석)하려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결과적으로 시장규범적 댓글이 긍정적일 때(맛있다)가 부정적일 때(맛없다)보다 맛집 방문의도가 강해졌다(실험-1). 또한 비시장규범적 댓글이 긍정적일 때(운영자가 도덕적임)가 부정적 일 때(운영자가 부도덕함)보다 맛집 방문의도가 강해졌다(실험-2). 한편 시장규범적 댓글이 긍정적일 때보다 비시장규범적 댓글이 긍정적일 때 맛집 방문의도가 더 강해졌고, 시장규범적 댓글이 부정적일 때보다 비시장규범적 댓글이 부정적일 때 맛집 방문의도가 더 약해지는 상호작용을 확인하였다. 이는 사람들이 시장규범적 댓글보다 비시장규범적 댓글에 더 큰 영향을 받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아울러 본 연구는 시장규범 댓글을 확인하기 전과 후의 기분변화보다 비시장규범적 댓글을 확인하기 전과 후의 기분변화가 더 크며, 이 차이로 인해 사람들이 시장규범적 댓글보다 비시장규범적 댓글에 더 큰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Tversky, A. and Kahneman, D. Judgment under uncertainty: Heuristics and biases. Science. 185(4157).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pp. 1124-1131. 1974. https://doi.org/10.1126/science.185.4157.1124
  2. Tversky, A. and Kahneman, D. Availability: A heuristic for judging frequency and probability. Cognitive Psychology. 5(2). Elsevier. pp. 207-232. 1973. https://doi.org/10.1016/0010-0285(73)90033-9
  3. Kahneman, D. and Tversky, A. Subjective probability: A judgment of representativeness. Cognitive Psychology. 3(3). Elsevier. pp. 430-454. 1972. https://doi.org/10.1016/0010-0285(72)90016-3
  4. Tversky, A. and Kahneman, D. The framing of decisions and the psychology of choice. Science. 211(4481).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pp. 453-458. 1981. https://doi.org/10.1126/science.7455683
  5. Hsee, C. K. The evaluability hypothesis: An explanation for preference reversals between joint and separate evaluations of alternative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67(3). Elsevier. pp. 247-257. 1996. https://doi.org/10.1006/obhd.1996.0077
  6. Hsee, C. K. and Hastie, R. Decision and experience: Why don't we choose what makes us happy? Trends in Cognitive Sciences. 10(1). Elsevier. pp. 31-37. 2006. https://doi.org/10.1016/j.tics.2005.11.007
  7. Kahneman, D., Knetsch, J. L. and Thaler, R. H. Anomalies: The endowment effect, loss aversion, and status quo bias.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 5(1). American Economic Association. pp. 193-206. 1991. https://doi.org/10.1257/jep.5.1.193
  8. Camerer, C., Babcock, L., Loewenstein, G. and Thaler, R. Labor supply of New York City cabdrivers: One day at a time. The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112(2). Oxford Academic. pp. 407-441. 1997. https://doi.org/10.1162/003355397555244
  9. Tversky, A. and Kahneman, D. Loss aversion in riskless choice: A reference-dependent model. The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106(4). Oxford Academic. pp. 1039-1061. 1991. https://doi.org/10.2307/2937956
  10. 이진희, 도선재, 황장선. 제품 관련 온라인 구전(e-WOM)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12(2).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pp. 283-307. 2011.
  11. 이원모. 사용후기정보가 쇼핑몰 상품 구매결정에 미치는 영향. e-비즈니스연구. 11(3). 국제e-비즈니스학회. pp. 45-65. 2010.
  12. 이인성, 김하나. 제품에 대한 온라인 베스트 댓글 내용이 소비자의 제품 품질 지각에 미치는 영향 및 베스트 댓글 강도와 제품 품질 차이에 따른 조절 효과. 광고연구. 3(110). 한국광고홍보학회. pp. 60-83. 2016.
  13. 신상우, 김종훈. 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 있어서의 댓글 방향성, 동의성, 지인추천이 구전확산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비즈니스연구. 14(5). 국제e-비즈니스학회. pp. 3-32. 2013.
  14. 유창조, 안광호, 박성휘. 온라인 구전정보가 소비자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연구. Asia Marketing Journal. 13(3). 한국마케팅학회. pp. 209-231. 2011.
  15. 신창락, 김영이, 박영균. 고객 서비스 품질에 대한 구매 후기 댓글이 구매과정에 미치는 영향. 유통연구. 14(1). 한국유통학회. pp. 27-44. 2009.
  16. 이미경, 최인호, 정세훈. 기업 페이스북에서 긍정.부정 댓글이 소비자들의 태도, 규범 및 구매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언론학보. 57(4). 한국언론학회. pp. 51-71. 2013.
  17. 박지영, 유요섭. 온라인 구전정보의 메시지 방향성이 구전정보의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서비스산업연구. 8(3). 한국서비스산업학회. pp. 15-28. 2011.
  18. 이병관, 안은미. 온라인 구전 (e-WOM) 에서 자기해석(Self Construal)이 제품에 대한 태도와 구전의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11(4).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pp. 757-771. 2010.
  19. 이병관, 안은미. 제품 사용후기의 방향성이 제품태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효과. 광고연구. 4(87). 한국광고홍보학회. pp. 441-462. 2010.
  20. 한광석. 온라인 사용후기가 접근성과 진단성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광고연구. 1(88). 한국광고홍보학회. pp. 273-304. 2011.
  21. Sandel, M. J. The case against perfection: Ethics in the age of genetic engineering. Cambridge, MA: Belknap Press/Harvard University Press. 2007.
  22. Sandel, M. J. What money can't buy: The moral limits of markets. New York, NY: Farrar, Straus and Giroux. 2012.
  23. 이재신, 성민정. 온라인 댓글이 기사 평가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홍보학보. 9(4). 한국광고홍보학회. pp. 7-45. 2007.
  24. 박형근, 윤아현. 환경 공익 실현에서 법과 제도의 역할-폭스바겐 배기가스 조작 사건을 중심으로. 공익과 인권. (17). 서울대학교 인권법학회와 공익인권법센터. pp. 87-113. 2017.
  25. 진용주. 기업의 기만행위에 대한 소비자의 자기해석성향이 제품태도에 미치는 영향. 브랜드디자인학연구. 14(2).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pp. 5-16. 2016.
  26. 홍지숙, 오익근. 소셜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항공사 이미지 변화 분석. 관광연구저널. 30(6). 한국관광연구학회. pp. 119-133. 2016.
  27. Henrich, J., McElreath, R., Barr, A., Ensminger, J., Barrett, C., Bolyanatz, A., Cardenas, J. C., Gurven, M., Gwako, E., Henrich, N., Lesorogol, C., Marlowe, F., Tracer, D. and Ziker, J. Costly punishment across human societies. Science. 312(5781).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pp. 1767-1770. 2006. https://doi.org/10.1126/science.1127333
  28. Henrich, J., Ensminger, J., McElreath, R., Barr, A., Barrett, C., Bolyanatz, A., Cardenas, J. C., Gurven, M., Gwako, E., Henrich, N., Lesorogol, C., Marlowe, F., Tracer, D. and Ziker, J. Markets, religion, community size, and the evolution of fairness and punishment. Science. 327(5972).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pp. 1480-1484. 2010. https://doi.org/10.1126/science.1182238
  29. Fehr, E. and Fischbacher, U. Third-party punishment and social norms. Evolution and Human Behavior. 25(2). Elsevier. pp. 63-87. 2004. https://doi.org/10.1016/S1090-5138(04)00005-4
  30. Camerer, C. F. and Thaler, R. H. Anomalies: Ultimatums, dictators and manners.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 9(2). American Economic Association. pp. 209-219. 1995. https://doi.org/10.1257/jep.9.2.209
  31. Thaler, R. H. Anomalies: The ultimatum game.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 2(4). American Economic Association. pp. 195-206. 1988. https://doi.org/10.1257/jep.2.4.195
  32. 박경미, 박호건, 김형곤, 고희동. SNS 에서 오피니언마이닝 연구. 정보과학회지. 29(11). 한국정보과학회. pp. 54-60. 2011.
  33. 이해영. 맛집 리뷰 정보의 특징에 따른 온라인 이용자 반응 분석: 의견선도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외식산업학회지. 8(2). 한국외식산업학회. pp. 7-23. 2012.
  34. 이해영. 온라인 맛집 리뷰 이용자들의 정보탐색 유형에 따른 관여 대상과 매체이용 및 소비행동의 관계 비교. 관광연구. 25(6). 대한관광경영학회. pp. 309-326. 2012.
  35. 김동욱, 전인오. 기업내 직종별 윤리적 특성요인이 기업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3). 한국콘텐츠학회. pp. 335-351.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3.3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