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Nonstandard employment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18초

한국의 가짜 자영업 추정을 통해서 본 비정규 근로자 규모의 오류 (The Corrections of Errors in the Estimations on the Nonstandard Workers Scale by an Empirical Analysis of Bogus Self-employment in Korea)

  • 서정희;박경하
    • 한국사회정책
    • /
    • 제23권3호
    • /
    • pp.49-77
    • /
    • 2016
  • 본 연구는 가짜 자영업자를 고려하고 있지 않은 비정규직 근로자 규모 추정 방식의 한계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가짜 자영업자는 근로관계의 실질에서 근로자처럼 종속성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자영업자로 간주하는 위장된 고용관계를 의미한다. 기존의 비정규직 근로의 규모 추정 방식은 실질적으로 임금근로자이지만 비임금 근로로 분류된 가짜 자영업자들을 추정에서 제외시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한국노동패널 자료 11차년도(2008년)-16차년도(2013) 자료를 토대로 가짜 자영업자를 추정하고, 이를 임금근로에 반영하여 비정규직 근로자 규모의 변화를 예측하였다. 관측기간 중에서 2013년도에 이르면 가짜 자영업자는 사업장이 없는 자영업자 중에서 28.5%를 차지할 만큼 규모가 크다. 또한 가짜 자영업자로 분류된 인원을 임금근로자 중 특수형태근로 종사자로 재배치하여 비정규직 규모를 추정하였는데, 이러한 추정방식에 따르면 가짜 자영업 인원이 반영된 특수형태근로자 비중은 한 해 만을 제외하고 임금근로자의 4.0% 이상을 유지할 만큼 높게 나타나 정부에서 발표한 규모는 현실보다 과소 추정되었다고 볼 수 있다. 통계청에서 공식적으로 발표한 임금근로자수에 특수형태근로자 비중을 적용한 결과 예측된 인원은 74만 명이 넘는 것으로 추정된다. 우리 사회에서 바람직한 비정규직 대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비정규직 범위와 규모를 합리적으로 도출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비정규직 근로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 (Does Non-standard Work Affect Health?)

  • 김일호;백도명;조성일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8권3호
    • /
    • pp.337-344
    • /
    • 2005
  • Objectives : Job insecurity, such as non-standard work, is reported to have an adverse impact on health, regardless of health behavior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non-standard employment and health in Korea. Methods : We analyzed a representative weighted sample, which consisted of 2,112 men and 1,237 women, aged 15-64, from the 199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on-standard employment included part-time permanent, short time temporary and daily workers. Self-reported health was used as a health indicator. Results : This study indicated that women were more likely to report poorer health than men with standard jobs. Of all employees, 20.3% were female manual workers. After adjusting for potential confounders, such as age, education, equivalent income, marital, social and self-reported economic status and health behavior factors, nonstandard employment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oor health among female manual workers (OR, 1.86; 95% CI, 1.24 to 2.79). No significant association was found in other working groups Conclusions : Among female manual workers, nonstandard employees reported significantly poorer health compared with standard workers. This result raises concern as there are increasing numbers of non-standard workers, particularly females.

Is Nonstandard Employment Hazardous to Workers' Health Status? A Focus on Special Employment in South Korea

  • Park, Bohyun;Elizabeth, Tarlov;Park, Chang Gi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1권spc호
    • /
    • pp.525-533
    • /
    • 2020
  • Purpose: Workers in special employment relationship (WSERs) are workers in nonstandard employment arrangements who lack worker protection accorded in standard employment arrangements. This study aimed to describe self-rated health (SRH) and depressive symptoms (DS) among Korean WSERs in comparison to regular wage workers (RWW) and identify associations between working conditions and those outcomes. Methods: In this study, secondary data analysis using the 5th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was used. The sample totaled 29,120, including 1,538 WSERs and 27,564 RWWs. Sociodemographic and work-related characteristics were employed as explanatory variables and SRH and DS as dependent variables. Using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the determinants of fair/poor SRH and DS were identified. Results: The prevalence rates for fair/poor SRH and DS in WSERs were 25.2% and 28.3%, respectively, and 20.7% and 25.0% in RWWs, respectively. Compared to RWWs, WSERs had 31% (aOR=1.31, 95% CI=1.14~1.49) and 20% (aOR=1.20, 95% CI=1.06~1.36) higher odds of SRH and DS, respectively. Some factors, such as a lack of rest guarantee and sickness presenteeism, had a larger influence in the WSER than in the RWW group. Conclusion: Compared to RWWs, WSERs reported having poorer working conditions and were more likely to report poor general and mental health. Therefore, in Korea, public health policymakers should consider measures to protect the working conditions and health of WSERs, a growing segment of the working population. The study produced new epidemiological evidence regard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employment arrangements and health.

소득불평등 실태, 원인분석 및 과제: 도시근로자 가구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the Conditions and Causes of Income Inequality: Focusing on the Urban Worker Households)

  • 채구묵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9권1호
    • /
    • pp.199-221
    • /
    • 2007
  • 본 연구는 소득불평등 실태 및 원인을 분석해 본 후, 소득불평등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대안을 탐색해 보았다. 소득불평등 실태 및 원인 분석을 요약해 보면, 첫째 외환위기로 급등한 소득불평등도는 1999-2004년 동안 증감을 반복하였으며 2005년 현재 외환위기 직후와 같이 높은 수준이고, 둘째 소득불평등도 원인에 대한 장기분석(1985-2004년) 결과, 실업률, 비정규직비율, 지가상승률이 높을수록 소득불평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셋째 외환위기 전후(1995-2004)의 소득불평등도 원인분석 결과 실업률, 비정규직비율, 대 소기업임금비율이 높을수록 소득불평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넷째 장기자료(1985-2004)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던 지가상승률이 외환위기 전후자료(1995-2004)에서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장기자료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던 대 소기업임금비율은 외환위기 전후 자료에서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불평등 완화를 위한 정책과제로, 첫째 실업률을 낮출 수 있는 대안이 마련되어야 하며, 둘째 비자발적 비정규직 비율을 완화시킬 수 있는 정책이 수립되어야 하고, 셋째 부동산 가격을 안정 또는 인하할 수 있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하며, 넷째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임금격차를 줄일 수 있는 중소기업 종합지원대책이 추진되어야 한다.

  • PDF

Gender, Professional and Non-Professional Work, and the Changing Pattern of Employment-Related Inequality in Poor Self-Rated Health, 1995-2006 in South Korea

  • Kim, Il-Ho;Khang, Young-Ho;Cho, Sung-Il;Chun, Hee-Ran;Muntaner, Carles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4권1호
    • /
    • pp.22-31
    • /
    • 2011
  • Objectives: We examined gender differential changes in employment-related health inequalities according to occupational position (professional/nonprofessional) in South Korea during the last decade. Methods: Data were taken from four rounds of Social Statistical Surveys of South Korea (1995, 1999, 2003, and 2006) from the Korean National Statistics Office. The total study population was 55435 male and 33913 female employees aged 25-64. Employment arrangements were divided into permanent, fixed-term, and daily employment. Results: After stratification according to occupational position (professional/nonprofessional) and gender, different patterns in employment - related health inequalities were observed. In the professional group, the gaps in absolute and relative employment inequalities for poor self-rated health were more likely to widen following Korea's 1997 economic downturn. In the nonprofessional group, during the study period, graded patterns of employment-related health inequalities were continuously observed in both genders. Absolute health inequalities by employment status, however, decreased among men but increased among women. In addition, a remarkable increase in relative health inequalities was found among female temporary and daily employees (p = 0.009, < 0.001, respectively), but only among male daily employees (p = 0.001). Relative employment-related health inequalities had clearly widened for female daily workers between 2003 and 2006 (p = 0.047). The 1997 Korean economic downturn, in particular, seemingly stimulated a widening gap in employment health inequalities. Conclusions: Our study revealed that whereas absolute health inequalities in relation to employment status increased in the professional group, relative employment-related health inequalities increased in the nonprofessional group, especially among women. In view of the high concentration of female nonstandard employees, further monitoring of inequality should consider gender specific patterns according to employee's occupational and employment status.

고용유지율 결정요인 분석 (Analysis of Determinants of Employment Retention Rate)

  • 이시균
    • 산업노동연구
    • /
    • 제23권2호
    • /
    • pp.169-193
    • /
    • 2017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동학적 고용안정성을 진단하기 위해서 고용유지율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고용유지 결정요인 분석을 위해서 사업체 패널자료와 고용보험 이력자료를 연계하고, 다층적 위계적 자료 분석에 적절한 다층 분석모형을 활용하여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나라에서 고용안정성이 매우 낮은 것은 임금수준이 낮고 비정규직 활용수준이 높은 주변부 부문이 광범위하게 존재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또한 우리나라의 고용구조는 고용과 실업이 반복되는 단기간 고용이 상당한 영역을 차지하면서 전반적으로 고용안정성이 약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러한 사실은 기업이나 개인적 차원에서 숙련향상 및 숙련형성기회가 제한되면서 지속적인 성장 제약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에 대한 적극적 대응책으로 고용구조의 질적 개선노력이 요구된다.

신규대졸자의 취업 및 임금수준 결정요인 분석 (An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of Employment and Wage of New College Graduates)

  • 채구묵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9권4호
    • /
    • pp.35-61
    • /
    • 2007
  • 본 연구는 중앙고용정보원의 청년패널 자료(2003-2005)를 이용하여 신규대졸자의 취업 및 임금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해 본 후, 신규대졸자 실업완화 및 임금격차 해소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해보았다. 분석결과, 첫째 취업여부 결정요인의 경우 학교소재지에서 경기 인천지역, 학교성적이 좋을수록, 취득자격증의 전공 및 취업관련 정도가 높을수록 취업가능성을 높이도록, 학교군에서 비수도권 사립대는 취업가능성을 낮추도록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취업형태 분석결과 (1) 정규직 결정요인의 경우 학교소재지에서 경기 인천지역, 학교성적이 좋을수록, 취득자격증의 전공 및 취업관련 정도가 높을수록, 의약간호보건계열 사범계열은 취업가능성을 높이도록, 학교군에서 비수도권 사립대, 수도권 전문대, 비수도권 전문대는 취업가능성을 낮추도록 영향을 미치며, (2) 비정규직 결정요인의 경우 학력에서 전문대, 학교군에서 수도권 전문대, 비수도권 전문대는 취업가능성을 높이도록, 비수도권 사립대는 취업가능성을 낮추도록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임금수준 결정요인의 경우 남자가, 연령이 많을수록, 의약간호보건계열, 사범계열은 임금수준을 높이도록, 비정규직, 학교소재에서 경기 인천지역, 전라지역은 임금수준을 낮추도록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규대졸자 실업완화 및 임금격차 해소를 위한 시사점으로는, 첫째 대학교육을 전문인력 양성 및 산업현장의 요구에 부응하도록 개선해야 하고, 둘째 노동시장에서 성차별을 완화할 수 있는 대안이 마련되어야 되어야 하며, 셋째 자격증이 실질적으로 업무수행능력 및 생산성 향상과 연결될 수 있도록 자격증 취득과정을 개선해야 하고, 넷째 산업의 지방분산을 통한 지역균형발전정책이 이루어져야 하며, 다섯째 신규대졸자 취업을 촉진하기 위한 체계적 종합적인 지원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한다.

  • PDF

기혼여성의 고용형태에 따른 가정내 성평등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Gender Equality in the Family by Type of Employment of Married Woman)

  • 권승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2권
    • /
    • pp.201-221
    • /
    • 2003
  • 본 연구는 기혼여성의 고용형태(정규직, 비정규직, 전업주부)에 따라 가사업무 수행주체, 가정내 다양한 사안에 관한 의사결정권 행사주체, 및 자금관리와 운용권 보유주체에 있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고찰함으로써 고용형태에 따른 가정내 성평등 기여도를 살펴보았다. 또한 기존의 이론을 기초로, 어떠한 요인들이 한국 가정의 성평등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인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혼여성의 정규직 근로만이 가정내 여성역할 변화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쳐 가정내 성평등에 기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임시직과 일용직을 포함한 비정규직 기혼여성 근로자는 비록 종일제 근무를 하고 있더라도 전업주부와 마찬가지로 가정내에서 성평등을 누리지 못함에 따라 직장과 가정에서 요구하는 이중의 역할에 있어 정규직 근로자보다 더 큰 갈등을 겪게 된다. 한편 여러 변수들 가운데 부인의 학력과 남편임금 대비 임금수준이 가사분담 수준, 가계자금운용의 책임과 권한 및 자금외적인 영역의 의사결정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자원가설"을 지지하였다.

  • PDF

How Firms Transfer Financial Risks to Employees: Stock Price Volatility and CEO Power

  • Sohn, Joon-Woo;Lee, Jae-Eun;Kang, Yun-Sik;Lee, Jae-Hyun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3권3호
    • /
    • pp.59-71
    • /
    • 2022
  • Purpose - We investigate how firms transfer financial risks to employees in a form of flexible employment contracts and layoffs. Design/methodology/approach - Based on the literature on the prevalence of shareholder value ideology and the associated 'risk shift', we examined how stock price volatility is associated with a firm's use and hiring of nonstandard employees, and the number of employees lay-offed. We test our hypotheses using a longitudinal, multi-source, dataset of Korean firms from 2003 to 2011. Findings - We found support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stock price volatility and flexible employment contracts and layoffs after controlling for actual risks such as increased debt or decreased sales. However, we found that the relationship is moderated by the power of professional CEOs relative to that of shareholders, in that powerful CEOs are more likely to transfer the external risks, i.e. stock price volatility, to employees.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This study contributes the emerging stream of literature that explore the effect of stock market pressures and governance structures on human resource management.

연공성임금을 매개로 한 조직내 관계적 불평등: 내부자-외부자 격차에 대한 분석 (Seniority Based Pay System and the Relational basis of Workplace Inequality)

  • 권현지;함선유
    • 산업노동연구
    • /
    • 제23권2호
    • /
    • pp.1-45
    • /
    • 2017
  • 이 연구의 목표는 1990년대말 이래 비정규직 확대와 함께 '위기후 한국노동시장'에서 심화되어 온 불평등의 조직적 메카니즘을 설명하는데 있다. 현재 한국사회에서 확산, 심화되고 있는 불평등은 개인이 아니라 젠더, 고용지위 등 개인이 속한 범주의 위치에 좌우되는 경향이 농후하다. 정규-비정규로 구분되는 고용형태는 단순히 특정 고용계약관계에 대한 지시어가 아니라 불평등 담론의 지형내에서 지위범주로 제도화되었으며, 젠더 등 오랜 기간 노동시장 격차에 작용해 온 여타 사회 범주와 결합해 노동시장 불평등을 고착하는데 기능하고 있다. 이 연구는 희소한 조직자원에 대한 접근능력을 기초로 자원접근과 보상의 배타성을 주장(claims making)하는 기존 내부자집단과 주변적 지위로 분류되고 배제된 외부자 집단간 관계적 불평등(relational inequality)에 주목하고, 한국의 맥락에서 관계적 불평등을 재생산하는 실질적 조직 관행(practices)으로서 연공성 임금의 역할을 분석하였다. 조직이 연공성 임금에 의존할수록 해당 조직의 비정규, 특히 여성비정규직의 비중이 체계적으로 증가하며,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임금 격차 역시 의미있게 증가한다는 점을 분석적으로 제시함으로써, 내부자가 이익 재생산을 위해 명시적 혹은 암묵적으로 요구하는 연공 임금체계가 노동시장 분절에 관계한다는 점을 입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