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niority Based Pay System and the Relational basis of Workplace Inequality

연공성임금을 매개로 한 조직내 관계적 불평등: 내부자-외부자 격차에 대한 분석

  • 권현지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
  • 함선유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7.06.05
  • Accepted : 2017.06.18
  • Published : 2017.06.30

Abstract

This study aims at explaining organizational mechanisms of inequality that has been rising rapidly alongside the proliferation of irregular employment in the post-crisis Korean labor market. It argues that inequality is not sufficiently explained by individual gap in human capital or widespread marketization as such. Social categories into which each individual worker falls seems more important as a source of labor market inequality. Employment types that are composed of regular and irregular employment do not simply indicate the different economic meanings of employment contracts but have rather been institutionalized as a social category of status in the context of inequality over the past two decades. They are also often matched with other social categories such as gender that have created and reproduced greater labor market inequality. We pay attention to the organizational practice of dominant incumbents who make claims for advantages of return based on their exclusive accessibility to limited organizational resources and explain how that particular practice plays a role to increase relational inequality between those insiders who achieve advantageous returns and outsiders mostly irregular workers who are excluded from those resources because of the social categories that they belong to. In this study, we identify seniority based pay as the key organizational practice that justifies categorical differences within the workplace and examine how that particular practice contributes to organizational level segmentation and income ineqaulity.

이 연구의 목표는 1990년대말 이래 비정규직 확대와 함께 '위기후 한국노동시장'에서 심화되어 온 불평등의 조직적 메카니즘을 설명하는데 있다. 현재 한국사회에서 확산, 심화되고 있는 불평등은 개인이 아니라 젠더, 고용지위 등 개인이 속한 범주의 위치에 좌우되는 경향이 농후하다. 정규-비정규로 구분되는 고용형태는 단순히 특정 고용계약관계에 대한 지시어가 아니라 불평등 담론의 지형내에서 지위범주로 제도화되었으며, 젠더 등 오랜 기간 노동시장 격차에 작용해 온 여타 사회 범주와 결합해 노동시장 불평등을 고착하는데 기능하고 있다. 이 연구는 희소한 조직자원에 대한 접근능력을 기초로 자원접근과 보상의 배타성을 주장(claims making)하는 기존 내부자집단과 주변적 지위로 분류되고 배제된 외부자 집단간 관계적 불평등(relational inequality)에 주목하고, 한국의 맥락에서 관계적 불평등을 재생산하는 실질적 조직 관행(practices)으로서 연공성 임금의 역할을 분석하였다. 조직이 연공성 임금에 의존할수록 해당 조직의 비정규, 특히 여성비정규직의 비중이 체계적으로 증가하며,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임금 격차 역시 의미있게 증가한다는 점을 분석적으로 제시함으로써, 내부자가 이익 재생산을 위해 명시적 혹은 암묵적으로 요구하는 연공 임금체계가 노동시장 분절에 관계한다는 점을 입증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