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n-face-to-face era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27초

비대면 시대 미술관 학교 연계 온라인 교육프로그램 사용자 경험 연구 (A Study on User Experience of Online Education Programs with Elementary Schools and Art Museums in Non-Face-to-Face Era)

  • 김나연;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8호
    • /
    • pp.311-317
    • /
    • 2021
  • 본 연구는 비대면 시대에 따른 미술관과 초등학교 연계 온라인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디지털 기술기반의 더 나은 교육 환경 조성을 위한 사용자 경험 유도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에 국내외 실시하고 있는 미술관 온라인 교육프로그램 현황을 분석하고 사용자 경험을 측정하기 위해 참여한 어린이와 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1차 온라인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2차로는 전문가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학교 연계 교육프로그램의 장단점이 존재했다. 이에 부정적인 의견을 토대로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이려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디지털 기술기반의 온라인 교육을 활성화하는 데 의의가 있다. 이 연구가 향후 초등학교에서 진행되는 비대면 온라인 미술 교육프로그램 사용자 경험에 대한 자료로 활용되고 나아가 실질적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 비대면 강의 체계 구축 연구: 포스트 코로나19 대비 델파이 기법 분석 적용 사례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Non-face-to-face Lecture of KAOMPT: Delphi Survey Research to Post COVID-19 Untact Era)

  • 김진영;신영일;양성화
    •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11
    • /
    • 2021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lement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Korean academy of orthopedic manipulative physical therapy's (KAOMPT's) non-face-to-face lecture system using the Delphi method. Methods: The Delphi method was applied to 50 expert panel members of the Central Committee and the Provincial Branch of the KAOMPT. The Delphi survey was conducted in two rounds, and the first Delphi survey collected opinions on 40 questions on 12 topics. The second Delphi survey was collected into 25 questions on 4 topics. As a result of the survey, the content validity ratio (CVR), consensus and convergence were measured. Referring to the number of expert panels and previous studies were determine a CVR of at least 2.29, a consensus of at least .75 and a convergence of 0 to .5. Result: In the first Delphi result, out of the total 40 items, 20 items with high content validity ratio were found, and 10 items found double agreement. In the second Delphi result, 13 out of the total 25 items had a content validity ratio higher than 2.29, and 5 items found a double agreement. Conclusion: This study derived items on the role of central and municipal councils, lecture support and lecture room construction, non-face regular course and special lecture operation and personnel for the establishment of non-face-to-face lecture system. Based on this content, it is expected that it will help establish a non-face-to-face lecture system in 2021 through a pilot non-face-to-face lecture that will be implemented in the future.

Sasang Constitution Analysis and Wine Recommendation App suggestion through Mobile Face Recognition

  • Sung, Ki-hyuk;Ryu, Gi-hwan;Yun, Dai-yeol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3권3호
    • /
    • pp.155-162
    • /
    • 2021
  • With the global COVID-19 pandemic, the tourism sector and all consumption have contracted with the untact era. Wine will also be sold and developed in various ways non-face-to-face in the futur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pps and web servers that focus on health in the era of single-person households and non-face-to-face. This study used facial recognition data based on photos of adult men and women in their 40s and 50s to analyze the Sasang constitution through a mobile app and web server, and suggested wine recommendations suitable for their constitution. First, the user's body information is entered. And through the facial recognition mobile app, recommend the right wine after analyzing the body type. if it's not like the first recommended wine, it is configured to receive another wine recommendation. In the future, the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will increase further, and in the age of well-being, wine recommendations that fit my body will be useful. Wine recommendation suitable for Sasang constitution will be a useful mobile application to manage personal healt

온라인 수업과 비대면 혼합수업의 성과와 만족도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of Online and Non-face-to-face Mixed Classes)

  • 박선영
    • 산업과 과학
    • /
    • 제2권1호
    • /
    • pp.39-44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팬데믹 시기 대학의 온라인 수업과 비대면 혼합수업의 성과와 만족도를 비교하기 위함이다. 연구는 일 대학 간호학과에서 성인간호학 강의를 수강하는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전면 비대면 수업에 참여한 113명과 비대면 혼합수업에 참여한 134명의 학습 성과와 수업 만족도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비대면 혼합수업의 성과와 만족도가 전면 비대면 수업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코로나 팬데믹 시기를 지나오면서 대학 구성원은 수업의 질을 결정하는 요인은 대면이냐 비대면이냐 형식의 문제라기보다는 가르치는 사람의 성의와 배우는 사람의 열의가 더욱 중요함을 모두 경험했다. 따라서 교육과 학습에 대한 성의와 열의를 기본으로 하여 앞으로의 교육환경 변화에 대비한 새로운 교육방법 개발 운영, 이에 따른 효과연구는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비대면 온라인 공예 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사례 연구 (A Study on the Necessity and Cases of Non-Face-to-Face Online Craft Education Programs)

  • 장지수;정진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9호
    • /
    • pp.277-282
    • /
    • 2021
  • 본 논문은 비대면 온라인 공예 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사례를 연구하여, 앞으로 개발될 다양한 온라인 교육 매체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현재 국내에서 운영하는 온라인 클래스 플랫폼 중, 공예 교육 프로그램이 포함된 네 곳을 선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클래스101, 하비풀, 커넥츠-취미클래스, 에어클래스가 그 사례이다. 연구 결과, 콘텐츠의 접근에 대한 편의성과 클래스 구성의 다양성이라는 공통적인 특징이자 장점을 볼 수 있었다. 하지만 대부분의 온라인 클래스 플랫폼에서 실시간 질의 및 응답 시스템이 체계적으로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는 한계점이 있었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한 언택트 시대를 맞아 점차 온라인 클래스 플랫폼의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는 만큼, 대면의 가장 중요한 특성인 상호작용이 온라인 플랫폼에서도 잘 이루어지도록 지속적인 연구와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SW영재학급 교육과정 운영 비교 : 대면 및 비대면 수업방식 중심으로 (Comparison of the operation of SW gifted curriculum: Focusing on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classes)

  • 이재호;송용준;가민욱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21년도 학술논문집
    • /
    • pp.45-50
    • /
    • 2021
  • 코로나19가 초래한 비대면 시대에 SW교육이 자리 잡기 위해서는, 대면 및 비대면 수업방식에 따른 SW교육의 효율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2020년 전국 30개 SW 영재학급의 교육과정 운영현황을 수업 방식(대면, 비대면, 혼용)에 따라 구분하였다. 그후 계획 대비 수업시수 및 1인당 산출물 제작 결과를 양적 분석을 통해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계획한 시수 대비 가장 많은 수업을 소화한 수업의 종류는 비대면 수업(90.9%)이었으며, 다음은 대면 수업(84.2%)이었고, 가장 적은 것은 혼용 수업(80.5%)이었다. 학생 1인당 산출물 평균 개수는 대면수업(0.504개) 그룹이 가장 많았으며 혼용수업(0.421개) 그룹과 비대면수업(0.42개) 그룹은 이에 미치지 못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비대면 중심의 수업을 진행한 영재학급은 가장 많은 수업시수를 확보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비대면 수업방식에서는 영재학급의 1인당 산출물 개수가 부족했다. 즉 비대면 방식은 시수 확보에는 유리하나, 산출물을 지도하는 것을 교사나 학생들이 어려워하기 때문에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줌(Zoom)을 활용한 온라인 비대면 영어 수업의 방향 탐색 (Exploiting Directions in On-line Non-face-to-face English Class Using Zoom)

  • 김혜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1호
    • /
    • pp.284-290
    • /
    • 2021
  • 본 연구는 온라인 비대면 영어 수업의 효율성을 파악하여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도 지속 가능한 온라인 비대면 수업의 확장 가능성과 온라인 비대면 영어 수업이 한 단계 더 발전해서 나가야 할 방향에 대해 교육학적 제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줌을 활용한 온라인 비대면 영어 독해 수업 사례를 소개하고 이것이 학습자들의 독해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고, 이에 대한 학습자들의 만족도와 그 이유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온라인 비대면 영어 수업은 학습자들의 독해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자들은 온라인 비대면 독해 수업에 대체로 만족한다는 반응을 보여 주었고 만족하는 이유로는 체계적인 수업 진행 및 수업의 질, 학습의 효율성 등을 제시하였다. 교수자들은 온라인 비대면 독해 수업의 확장 가능성을 인지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효율적인 온라인 수업 방안을 미리 대비하고 철저히 준비해야 할 것이다. 또한 교수자들은 효율적인 온라인 수업 활동을 제시하고 세세한 내용 설명과 빠르면서도 적절한 피드백을 통해 체계적으로 수업을 구성해야 할 것이다.

COVID-19로 인한 장애 아동의 가정운동 프로그램에 관한 부모들의 인식 조사 (A Survey of Parents Perceptions of Home Exercise Program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Caused by COVID-19)

  • 박철만;김명철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225-235
    • /
    • 2021
  • Purpose: Since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spread around the world, non-face-to-face services have emerged as the new normal. The functioning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cerebral palsy improves when parents, therapists, and institutions cooperate. We aimed to investigate the difficult environment of pediatric physical therapy caused by COVID-19, and grasp parents' perceptions of home exercise programs. We intend to design home exercise programs for pediatric treatment in the future and create a non-face-to-face pediatric rehabilitation service system based on our findings. Methods: The first survey was conducted on 30 parents who had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It was produced after consultation with relevant experts and discussion with the research team, based on a survey conducted in a previous study. The second survey was produced by revising and supplementing the opinions of parents who completed the first survey and consulting experts. Thereafter,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118 parents who had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sults: 61.01 % of the parents reported that they were anxious or afraid for their children to be treated for infectious diseases. 83.90 % of the parents reported that the role of parents had increased. 50.00 % of the parents complained of a lack of skill. 85.59 % of the parents reported that they needed a home exercise program provided by the organization. As a non-face-to-face exercise management method, 35.59 % of the parents wanted a real-time video recording electronically mailed to them, and 34.75 % wanted real-time education using video conferencing programs such as zoom. Conclusion: The threat of COVID-19 has further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social cooperation and management, leading organizations to enter a new era of non-face-to-face rehabilitation services. It is necessary to collect and systematize related studies to reflect more diverse opinions and improve the perceptions of therapists and parents.

위드 코로나(With COVID-19)시대 사회복지 현장실습에 대한 연구: 대학, 실습생, 실습기관, 실습성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Social Welfare Field Practice in With COVID-19 Era: Focusing on Universities, Trainees, Training Institutions, and Practical Performance)

  • 손희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7호
    • /
    • pp.405-419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위드 코로나(With COVID-19)시대 서울, 경기지역 사회복지과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생, 대학, 실습기관의 사회복지 현장실습 진행상황을 알아보고, 효과적인 사회복지 현장실습 운영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현장실습 교과목을 이수한 18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최종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위드 코로나 시대 실습기관 운영상황은 '대면, 비대면' 같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가장 높았으며, 부분적 비대면 실습교육이 이루어졌을때 학생들 만족도가 긍정적이었다. 기관에서 코로나로 반복적인 셧다운 임에도 불구하고 대면 서비스 참여 정도는 9회 이상, 수퍼비전 횟수는 6회 이상이 가장 많았으며, 사회복지 현장실습기관 수퍼비전의 질수준의 경우는 '대체로 높다'는 응답이 많았다. 둘째, 위드 코로나 시대 실습성과, 실습생, 실습기관의 각각 수준을 알아본 결과, 실습기관요인과 실습성과는 유의한 관계를 보였으며, 셋째, 위드 코로나 시대 대학, 실습생, 실습기관요인이, 실습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 결과 실습기관이 실습 성과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드 코로나 시대 사회복지현장실습 성과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비대면과 대면 실습지도를 겸하는 교육시스템과 실습 수행 역량을 갖출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가 있다. 한국사회복지사협회에서는 학생들이 현장실습이 원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사회복지기관에 적극적인 협조요청과 실습기관 및 지도자 DB구축이 마련이 되어야 한다. 위드 코로나 시대에 맞는 실습기관 수퍼바이저의 교육과 지원프로그램들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앞으로 사회복지 학생들이 효과적인 실습을 위해 대학과 실습기관을 비롯한 정부부처 및 관련 기관들의 실습체계에 대한 다각적 지원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직업훈련 패러다임의 전환을 위한 지원체제 개선 방안 연구 (Improving the Support System for the Paradigm Shift in Vocational Training)

  • 이수경;김봄이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299-309
    • /
    • 2023
  • 본 연구는 코로나19 위기 상황에 대처하기 위하여 직업훈련 사업별로 단선적으로 이루어져 왔던 원격훈련 도입 관련 제도 운영 실태에 대하여 심사에서부터 비용집행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주체별, 단계별, 절차별로 구분하여 문제점과 한계점을 분석하였다. 이후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다각적으로 수렴하여, 디지털·비대면 시대의 직업훈련 패러다임 전환에 부응할 수 있는 직업훈련 지원체제의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특히 기존 전통적인 집체훈련 중심의 프레임에서 벗어나 디지털·비대면 시대의 직업훈련 방향성을 수용할 수 있는 방향으로 훈련기관, 훈련과정의 심사·평가 제도가 혁신되어야 한다는 기본 전제하에, 사전 승인 심사 제도와 훈련기관 인증평가 제도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