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n-face-to-face classes

검색결과 181건 처리시간 0.034초

온라인 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능력이 학습몰입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igital Literacy Skills on Learning Flow and Academic Self-efficacy of Online Learners )

  • 한미희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6권3_spc호
    • /
    • pp.401-407
    • /
    • 2024
  • 본 연구는 대학의 온라인 수업을 수강하는 학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능력이 학습몰입과 학업적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충남에 위치한 4년제 N 대학교의 사이버 강의를 수강한 228명이며, 분석방법으로는 SPSS 29.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량,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로는 사이버 강의를 수강하는 대학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능력은 온라인 수업에 대한 학습몰입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비대면 수업의 문제점이 갖고 있는 학습몰입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며, 온라인 수업의 질적 확보를 위하여 디지털 리터러시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다양한 연구 및 프로그램 등의 교육기회가 확대되기를 기대하고자 한다.

실시간 온라인 수업 및 시험 태도 데이터 세트 설계 및 구현 (Real-time Online Study and Exam Attitude Dataset Design and Implementation)

  • 김준식;이찬휘;송혁;권순철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7권1호
    • /
    • pp.124-132
    • /
    • 2022
  • 최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로 인해 온라인 원격 수업과 비대면 시험으로 인해 수업 태도 및 시험 부정행위에 대한 관리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온라인으로 학생들의 행동을 자동으로 인식하고 검출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사람의 행동을 인식하는 행동 인식의 경우 컴퓨터 비전에서 많이 연구되는 기술 중 하나이다. 이러한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온라인 수업 및 시험에서 주요 정보가 될 수 있는 사람의 팔 움직임 정보와 주변 물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가 필요하다. 기존 데이터 세트는 여러 분야에 대해 분류를 하거나 일상생활 행동으로 구성되어 있어 본 시스템에 적용시키기에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으로 진행되는 온라인 시험 및 수업에서 태도를 분류할 수 있는 데이터 세트를 제시한다. 또한, 기존의 행동 인식 데이터 세트와의 비교를 통해 제안된 데이터 세트가 올바르게 구성되었는지를 보여준다.

유튜브 중국어 교육 채널 콘텐츠에서 나타나는 특징과 발전 가능성 (Characteristics and Potential on YouTube's Chinese Language Education Channel Contents)

  • 이지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479-487
    • /
    • 2022
  • 본 연구는 국내 대표적인 중국어 교육 관련 유튜브 채널들을 중심으로 유튜브 중국어 교육 채널에 속한 동영상 콘텐츠를 내적 구성요소와 외적 구성요소와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유튜브 중국어 교육 채널 콘텐츠 들에서는 상호작용, 기타 이용의 편의성, 멀티미디어 자료 활용 등 외적 구성요소와 학습 목표 및 내용, 강의 방식, 강의 분량, 학습 자료, 학습 평가 및 연습, 교육과정의 연계 및 체계성 등 내적 구성요소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었다. 유튜브 중국어 교육 채널 콘텐츠들에서는 전통적인 교실 수업이나 면대면 수업에서 나타나지 않는 웹 기반 교육 자료의 특징들을 보여 주었으며 이를 통하여 기존 교실 수업의 부족함을 채울 수 있는 새로운 교육 매체로써 역할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당수의 유튜브 중국어 교육 채널 콘텐츠들의 내적 구성요소와 외적 구성요소에서는 여전히 개선해야 할 문제점이 나타났으며 이러한 문제점들은 동영상 콘텐츠를 제작하는 교수자 개인의 노력과 관심뿐만 아니라 인적, 물적 자원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교육용 가상실험 라인 트레이서 모델링 (Line Tracer Modeling for Educational Virtual Experiment)

  • 기장근;권기영
    • 한국소프트웨어감정평가학회 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109-116
    • /
    • 2021
  • 전통적으로 공학분야는 실험 실습 위주의 대면 교육이 주를 이루어 왔으나, IT 기술 및 인터넷 통신망의 급속한 발전과 최근 COVID-19 등의 사회적 환경 변화로 인해 온라인 학습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다른 분야에 비해 실험 실습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공학 분야에서 효율적인 온라인 교육이 이루어지려면 실제 실험 실습을 대체할 수 있는 가상 실험실습 콘텐츠가 매우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기전자 분야 뿐만 아니라 IT 융합이 이루어지고 있는 전반적인 공학 분야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의 효율적인 온라인 응용 학습을 위해 라인 트레이서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가상실험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라인 트레이서 모델에서 사용자는 원하는 형태로 하드웨어 파라미터 값들을 다양하게 설정하고, 이에 따른 소프트웨어를 어셈블리 언어나 C 언어 등으로 작성하여 컴퓨터 상에서 동작을 시험해 볼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개발된 라인 트레이서 가상 실험 소프트웨어는 실제 수업에 활용하여 동작을 검증하였으며, 앞으로 온라인 상에서 이루어지는 비대면 수업에서 효율적인 가상 실험 실습 도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Effect of the Self-reflection Promotion Program in Non-face-to-face Video Classes due to COVID-19

  • Park, Jung-Ha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9권4호
    • /
    • pp.188-193
    • /
    • 2021
  • This is a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study that aim to evaluate the effect of self-reflection promotion program of nursing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2 first-year nursing student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October 5 to November 2, 2020. A questionnaire was used to measure self-reflection and self-efficacy. The self-reflection promotion program was operated for a total of 8 hours in 4 sessions over 4 weeks. Online lectures were conducted using books, movies, and art recommended by expert. The subjects could take lectures using their smartphones, laptops, desktops, and tablet PC. As a result of the study, self-reflection was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intervention than before intervention (t=-2.594, p=.013). In the sub-items, self-exploration and self-understanding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mproved (t=-2.527, p=.015; t=-2.471, p=.018). However, other-exploration and other-understanding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1.226, p=.227; t=-.758, p=.453). The self-efficacy of the subject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170, p=.866). In future research, it will be necessary to develop and verify specific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utilizing various contents that can improve self-reflection for nursing students.

인공지능 도구 활용 초등 저학년 놀이 중심 한글교육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Play-Centered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for Low-E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Tools)

  • 송정범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301-308
    • /
    • 2020
  • 근래 다문화가족의 급증 및 코로나-19로 인한 원격수업 등 비대면교육의 지속으로 초등 저학년의 교육격차가 발생하고 있다는 우려가 있다. 특히, 초등 저학년에서는 우리 말을 읽고, 쓰고, 듣고, 말하는 능력이 정착이 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최근 관심도가 높은 인공지능 도구를 활용함으로써 이해도를 높이고, 놀이를 통하여 흥미롭게 한글교육을 할 수 있는 콘텐츠를 개발하였다. 앞으로 인공지능 도구들이 초등 저학년 교과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시도가 필요하다.

전망과 은신처 이론을 적용한 치유적 커뮤니티 공간 연구 - 코로나 팬데믹 시대의 심리치유를 위한 건축적 방안 - (A Study on Healing Community Space Applied Prospect and Refuge Theory - Architectural Suggestions for Psychological Healing amid the COVID-19 Pandemic Era -)

  • 김순웅;조선희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3권1호
    • /
    • pp.19-26
    • /
    • 2021
  • We have lived in a highly dense environment since the rapid urbanization of the industrial age. The COVID-19 pandemic has increased the need for individual spaces for telecommuting or non-face-to-face classes in residential spaces. In metropolitan cities in Korea, where there are many housing types for one-person, the sense of social isolation is increasing more than ever due to COVID-19. This study explored problems in residential spaces and the solutions to relieve the sense of social isolation in this pandemic era.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courtyard housing in France was examined as an example. Based on the case study, the meaning of threshold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was reinterpret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healing community space in this pandemic era were proposed by applying prospect and refuge theory.

An Analysis of Information Security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 practical arts, Secondary School Informatics Teaching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 Kim, Choungba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5권10호
    • /
    • pp.69-75
    • /
    • 2020
  •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당면하며 다양한 정보통신기술이 일상생활에 자리를 차지하고 있으나, 초, 중등 교육과정에서의 정보보안에 관련된 내용은 개인정보보호와 관련된 내용이 주를 이루며, 급변하는 보안위협에 대한 내용과 대응방안에 대해서는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비중이 낮으며, 변화에 많이 뒤쳐져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개선하기 위해 초등학교 실과 및 중학교 정보 교과서에 정보보안과 관련된 교육 콘텐츠 수록하고, 사물인터넷 시대, 비대면 수업 등으로 발생할 수 있는 급변하는 보안위협을 대응하기 위해 무선 네트워크, PC보안과 관련된 교육 콘텐츠를 수록하며, 사례 중심형 정보 윤리교육을 구성하여 해킹에 대한 호기심을 근절할 수 있도록 제안한다. 본 논문을 통해 정보화 시대에서 기본적인 보안 대책을 스스로 세우고 보안 인식을 강화하여 정보보안 사고를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가상현실세계 메타버스를 활용한 보건의료행정 전공교육 플랫폼 변화에 대한 고찰 (A Study on Changes in the Healthcare and Medical Administration Major Education Platform Using the Virtual Reality World Metaverse)

  • 양옥렬;이연희
    • 보건의료생명과학 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275-284
    • /
    • 2021
  • 본 연구는 보건의료행정전문가를 양성하는 전문대학 교육 방법론에 대한 고찰이다. 팬데믹에 의한 비대면수업의 증가와 함께 다양한 온라인수업이 진행되면서 가상교육에 대한 거부감이 감소되고 있다. 1992년 처음 사용된 메타버스의 개념은 2021년 현재 메타버스1.0을 거쳐 메타버스2.0이라는 패러다임으로까지 변화되고 있다. 메타버스는 크게 가상현실, 증강현실, 라이브로깅, 거울세계라는 4가지 방법론을 통해 온라인 교육의 교육적인 효과를 긍정적으로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가상현실세계 메타버스 속에 거울세계나 가상현실의 형태로 동일한 대학을 설립하고, 보건의료행정 전공학과를 개설하여 시공간을 초월한 전문적인 교육을 실현하는 교육 플랫폼을 설계하고자 한다. 또한, 각 대학별로 메타버스 가상대학과 가상학과가 생성되면 대학별 개설강좌를 교차 수강할 수 있고, 개설강좌를 구매하거나 공유하여 공통과목에 대한 새로운 교육주제를 수강할 수 있도록 설계하고자 하는 방법론에 대한 연구이다.

스마트 원격강의 운영에 관한 연구 -시스코 웹엑스 미팅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operation of smart remote lecture - Focusing on Cisco Webex meeting-)

  • 김승인;이가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9호
    • /
    • pp.317-322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에서 원격강의를 올바르게 운영하기 위한 운영방안의 토대를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COVID-19'로 인해 비대면 수업을 시작한 학교 중, 시스코사의 웹엑스 미팅으로 원격강의를 진행한 일부 대학의 대학생,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원격 강의 플랫폼 운영방안을 연구하였다. 먼저 문헌조사로 원격강의의 강의 요건을 정립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효과적인 운영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 방법은 대학생, 대학원생 총 45명을 대상으로 2020년 4월 21일부터 5월 15일까지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크게 기본요소, 충족 요소에 대한 운영 방안을 제시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기점으로 COVID-19 이후에 발생할 수 있는 재난 상황 혹은 평상시 수업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추후 원격 강의 플랫폼에 대한 사용성 평가와 국내 원격강의 플랫폼이 나아가야할 방향성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