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2.22.04.479

Characteristics and Potential on YouTube's Chinese Language Education Channel Contents  

Lee, Jee Won (가천대학교 동양어문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study divided video content of current representative YouTube channels on Chinese language education into internal and external elements for analysis. By examining these channels, this study found that they have various external and internal elements. In addition, YouTube classes also have certain distinct characteristics that are non-existent in traditional classroom or face-to-face classes, and show potential to serve as a new educational medium that can fill the gaps in existing classroom classes. However, a large number of these channels still have problems with their internal and external elements, which seem to require not only the effort and attention of the instructors creating the videos, but also considerable time and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Keywords
Youtube; Chinese; Internal Element; External Element; Youtube-based Educational and Learning Contents;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이해영, "학습자 중심 수업을 위한 교재 분석," 한국어교육, 제12권, 제1호, pp.199-232, 2001.
2 김성숙, "e-learning 강의평가 도구의 일반화 가능도와 평가활용의 최적화 조건," 교육평가연구, 제19권, 제1호, pp.305-322, 2006.
3 박영란, "대학 수업에서의 유튜브 동영상 활용: 영어신문기사의 배경지식을 중심으로," 영상영어교육, 제18권, 제1호, pp.207-231, 2017.   DOI
4 석가영, 유튜브(YouTube) 동영상을 활용한 발음학습의 효과 :초등학교 5학년을 대상으로, 인천대학교,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8.
5 김민정, 유튜브를 활용한 자율적 영어학습을 위해 학습자가 기대하는 교사 역할, 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9.
6 진준화, "'web 2.0' 플랫폼 기반 중국어 교육 및 학습용 동영상 미디어 콘텐츠 현황 분석 및 그 발전 방향탐색 - 'YouTube'를 중심으로 -," 중국어 교육과 연구, 제32권, pp.55-75, 2020.
7 김나영, "유튜브 비디오 보기 활동이 영어 독해 능력향상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7권, 제6호, pp.1-9, 2019.   D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