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n-diapause stage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1초

Analysis of Diapause-Associated Changes in Silkworm Egg Proteins

  • Go, Hyun-Jeong;Hwang, Jae-Sam;Kim, Young-Tae;Kim, Hyun-Su;Kang, Seok-Woo;Chang, Jong-Su;Lee, Sang-Mong;Lee, Bong-Hee;Seong, Su-Il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9권1호
    • /
    • pp.117-121
    • /
    • 2004
  • The patterns of diapause-associated proteins of silkworm eggs were analyzed by two-dimensional (2-D) gel electrophoresis. Among the hundreds of spots on the 2-D gels, at least two proteins were considered to be associated with diapause. A protein, spot 4, with an approximate molecular weight of 38 kDa and pI 6.1 was observed in the HCI-treated, cold-treated, and diapause eggs, respectively. Spot 4 was undetectable in unfertilized eggs and non-diapause eggs at two days after oviposition, suggesting that this protein may be associated with the entrance to diapause. A protein, spot 11, with an approximate molecular weight of 21 kDa and pI of 61 was detected in the unfertilized, HCl-treated, and cold-treated eggs, respectively, after oviposition by normal moths. In diapausing eggs, a protein corresponding to spot 11 was observed in 3-, 5-, and 30-day-old eggs, while the protein was not detected one-day-old eggs. The protein corresponding to spot 11 was not detected in unfertilized and non-diapause eggs obtained from subesophabeal ganglion (SG)-extirpated moths either. Spot 11 was also considered to be a diapause specific protein, which occurred at only early embryonic stage under the control of diapause-downregulated gene.

배추흰나비(Pieris rapae L.)의 휴면 유도 및 타파에 대한 호르몬의 조절 (Hormonal Control of Induction and Termination of Diapause in Pieris rapae L.)

  • 박기돈;김학열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8
    • /
    • 1989
  • Pieris rapae의 휴면 유도 및 타파기작을 알아보기 위하여 비휴면기 유충과 휴면중인 번데기에 20-HE과 JH을 처리하여 변화를 관찰하는 한편, 체내의 각 호르몬의 농도도 측정하여 보았다. 비휴면기의 종령유충초기에 20-HE과 JH을 주입한 결과 어느 경우에도 휴면이 유도되지 않았다. Pre-diapausing 종령 유충에서는 20-HE 농도가 매우 낮았으며, 비휴면기용 2일의 20-HE peak가 휴면기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JH-I의 농도는 두 시기에 있어 뚜려한 차이가 없었다. 휴면중인 번데기의 초기와 말기에 20-HE, JH-I, JH-III을 주입한 결과 0.1-0.5 $\mu$g의 20-HE에 의해 휴면이 타파되었으나, JH-I과 JH-III에 의한 휴면 타파는 일어나지 않았다. 위의 결과로 배추흰나비의 휴면은 20-HE 농도가 저하됨으로 인해 유도되며, 휴면이 진행되는 동안 20-HE 농도가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휴면이 타파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수원 지방에서 조명나방 휴면과 발생 세대수 및 휴면유도에 대한 유충의 민감성 (Diapause and Voltinism in Ostrinia furnacalis (Lepidoptera: Crambidae) in Suwon, and Larval Instar Sensitivity to Diapause Induction)

  • 김은영;김이현;서보윤;김용균;박창규;정진교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9권3호
    • /
    • pp.185-202
    • /
    • 2020
  • 수원 지방에서 조명나방(Ostrinia furnacalis)(나비목: 포충나방과) 성충 발생횟수와 유충 휴면이 유도되는 시기를 분석하였다. 성충은 일년에 3회 발생 하였는데, 1화기는 5월 초부터 7월 초까지, 2화기는 7월 초중순부터 8월 초중순까지, 3화기는 8월 중순부터 10월까지이었다. 7월말부터 8월 중순 사이에 갓부화 유충을 야외에서 사육하기 시작하였을 때, 그 해와 이듬해 용화한 개체들이 같이 발생하였다. 이후 사육된 집단에서는 모두 월동 유충들만 출현하였다. 야외에서 7월과 8월 중 채집된 유충들에서는 월동하거나 월동하지 않는 개체들이 같이 발생하였고, 이후 채집된 개체들에서는 모두 월동하는 개체들만 나타났다. 이 결과들은 수원에서 조명나방은 연중 2세대와 3세대를 경과하는 개체들이 같이 발생하는 복합 생활사를 갖는 것을 보였다. 실험실에서, 조명나방 유충을 영기별로 탈피 직후(9시간 이내)에 휴면유도 조건(11:13 시간 = 명:암 광주기, 20℃)에 처음 처리하였을 때, 거의 모든 유충들에서 휴면이 유도되었다. 유사한 처리를 5령으로 탈피한 유충 나이별로 적용하였을 때, 5령 3일과 4일 나이의 유충에 대한 처리에서는 휴면유도율이 감소하였다. 한편 알에서 갓 부화했을 때부터 휴면유도 조건에서 사육하던 유충들을 3령, 4령, 5령 탈피 직후에 비휴면 조건으로 옮겼을 때, 거의 대부분의 유충들은 휴면에 유도되지 않았다. 그 결과로부터 5령 초기 나이의 유충들이 휴면유도 자극에 반응하는 최종 단계라고 추정되었다. 비휴면 유충들에 비해, 휴면이 유도된 유충들에서는 혈림프 내 트레할로스 함량이 증가하였고, 몸체 과냉각점이 낮아졌다.

저온 저장한 누에 비휴면란의 배발육기에 있어서 유리당류의 양적 변동 (Quantitative Changes of Free Sugars and Glycogen during Embryonic Devdlopment of Non-diapause Eggs of the Silkworm, Bombyx mori L. which were Stored at Low Temperature)

  • 양원진;손홍대
    • 생명과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71-177
    • /
    • 1996
  • It was carried out to find the carbohydrate metabolism for the glycogen utilization and the effects of low temperature(1$\circ$C, 5$\circ$C)on embryonic development of the silkworm, Bombyx mori L. The content of sorbitol and glycerol in the chillihg eggs stored at 5$\circ$C or 1$\circ$C on 24 hours after oviposition showed the highest level on the 50th day. After that, the corresponding value in the eggs stored at 5$\circ$C were decreased, and the value in the eggs stored at 1$\circ$C maintained the similar level. The trehalose level was rapidly increased on 50$\sim$60th day or thereabouts, and then, it was accumulated. When the eggs stored at low temperature were tranaferred and developed the embryo at 25$\circ$C, sorbitol and glycerol were respectively changed to glycogen. Futhemore, the content of trehalose and glucose showed specific of patterns with each embryonic stage at low temperature. With the aforementioned results, the intemediary metabolism of carbohydrate was discussed with regard to embryonic development of non-diapause eggs of silkworms.

  • PDF

조명나방(나비목: 포충나방과) 비휴면태의 생존과 발육, 생식에 미치는 온도의 영향 (Effects of Temperature on Survival, Development, and Reproduction of the Non-diapause Asian Corn Borer, Ostrinia furnacalis (Lepidoptera: Crambidae))

  • 정진교;서보윤;김은영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0권4호
    • /
    • pp.449-462
    • /
    • 2021
  • 옥수수 주 해충인 조명나방(Ostrinia furnacalis)(나비목: 포충나방과)의 비휴면태 단계의 생존과 발육, 생식에 미치는 온도 영향을 분석하였다. 비휴면태 단계는 16:8 h (명:암)의 광주기 조건에서 유지하였다. 미성숙태를 15~35℃ 범위의 7개 항온조건에서, 성충을 13~33℃ 범위의 8개 항온조건에서 인공사료로 사육하였다. 알은 적용된 모든 온도에서 생존율이 70% 이상이었으나, 유충은 15℃에서 7.4%의 낮은 생존율을 보였다.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미성숙태의 발육기간은 짧아졌으나, 유충기간은 35℃에서 더 짧아지지 않았다. 번데기 몸무게는 온도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는데, 암컷의 무게는 35℃에서 다시 감소하였다. 25℃를 제외한 다른 6개 온도 각각에서 마지막 영기가 다른 개체변이가 관찰되었다. 성충은 적용된 모든 온도에서 자손을 생산하였다. 성충 수명과 산란전 기간, 산란기간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산란전 기간은 33℃에서 다시 길어졌다. 총산란수는 22℃와 31℃에서 400개 이상이었다. 산란기간 중 일산란수와 산란일당 일산란수는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많아졌는데, 33℃에서 다시 감소하였다. 성충 나이에 따른 일일 산란수는 우화 초기 급격히 증가하였고 이후 완만히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산란횟수는 22℃에서 가장 많았다고 모의 추정되었다. 선형방정식으로 추정된 최저발육온도는 1령 유충이 9.7℃로 가장 낮았고, 5령~말령 단계가 14.7℃로 가장 높았다.

Rate of Oxygen Uptake in Antheraea mylitta in Various Stages of Development and during Diapause

  • Rath S. S.;Negi B. B. S.;Singh B. M. K.;Thangavelu K.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10권1호
    • /
    • pp.45-49
    • /
    • 2005
  • Respiration in Antheraea mylitta was studied using constant pressure respirometer. Oxygen uptake in different stages of life showed that moth has highest rate of oxygen uptake as compared to larva and pupa. At each stage significant sexual differentiation was observed. Depression in the rate of oxygen uptake in diapausing pupa was found to be higher in male ($65.75\%$) than female ($60.65\%$) as compared to non-diapausing counterparts. During diapause lowest oxygen uptake was recorded in the month of February, and were in the order of February < January < December < March < November < April < May < June in male, and, February < January < December < March < April < November < May < June in female. Significant sexual differentiation in oxygen uptake was recorded throughout the period of diapause (November to June) where female pupae registered lower rate of oxygen uptake than that of male. Oxygen uptake in female pupae declined upto $28.89\%$ in non-diapausing and $18.29\%$ in diapausing broods over male. Highest respiratory quotient value was recorded in the moth of November (0.68 in male and 0.70 in female) and, the lowest in the month of March in male (0.54) and May in female (0.55). Percentage loss in pupa weight always remained at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in male (except in February and March). The lowest oxygen uptake rate and weight loss in the month of February shows that the pupae were at peak of their dormancy during this month.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집합페로몬 트랩에 의한 가로줄노린재의 유인과 발생양상 (Attraction and Seasonal Occurrence of Piezodorus hybneri monitored with Aggregation Pheromone Traps of Riptortus clavatus)

  • 허완;허혜순;박정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265-270
    • /
    • 2005
  • 톱다리개미허리노린계의 집합페로몬을 이용하여 적절한 기주가 없는 경상대학교 캠퍼스(경남 진주시)와 기주인 콩이 재배되고 있는 포장에서 가로줄노린재의 발생양상을 비교하였다. 콩포장에서는 개화기 이전(6월 28일)부터 꾸준히 유인되었으며, 10월 11일 이후에 유인수가 급증하였다. 그러나 대학 캠퍼스에서는 3월 21일부터 10월 5일까지 전혀 유인되지 않다가 10월 11일 이후부터 유인수가 급증하였다. 가로줄노린재의 암수가 비슷한 시기에 비슷한 밀도로 콩 포장에서 유인된다는 것은 이 해충이 기주인 콩을 찾아 적극적으로 이동한 결과로 생각된다. 콩 포장과 대학 캠퍼스에서 10월 이후에 유인되는 성충은 월동처를 찾아 이동하는 성충으로 판단되었다. 콩 포장과 대학 캠퍼스에서 총 유인된 암수의 수는 차이가 없었다. 가로줄노린재는 콩 포장에서 6월부터 11월 하순까지 트랩에 유인되었기 때문에,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집합페로몬은 가로줄노린재의 비휴면성충과 휴면성충 모두에 유인력이 있다고 생각된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집합페로몬의 세 성분인 (E)-2-hexenyl (Z)-3-hexenoate, (E)-2-hexenyl (E)-2-hexenoate, 및 myristyl isobutyrate를 16.7+16.7+16.7 mg 또는 7+36+7 mg으로 배합했을 때, 가로줄노린재의 유인수는 무처리나 생충트랩보다 많았고, 두 배합성분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