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mad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3초

공유경제 서비스 사례분석을 통한 협력적 라이프스타일 연구 -코워킹과 코리빙 스페이스를 중심으로- (A Study on Collective Lifestyle by Analyzing Case of Sharing Economy Service -Focusing on Co-working & Co-living Space-)

  • 안효진;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0호
    • /
    • pp.405-410
    • /
    • 2017
  • 본 연구는 유럽 지역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는 코워킹&코리빙 스페이스 15곳을 유형별로 분류, 사례조사를 통해 국내 코워킹&코리빙 스페이스가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1차로 문헌 연구를 통해 공유경제서비스의 유형과 코워킹&코리빙 스페이스의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였다. 2차로 3차 산업혁명 공유경제의 연결 선상에서 더욱 진화된 과정으로 간주하는 4차 산업혁명의 공유경제의 3대 키워드를 유추하고, 코워킹&코리빙 스페이스 15곳을 유형별로 분류하여 사례 조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3가지 유형별 특성에 따라 각기 다른 목적성 중심의 특성이 나타났다. 또한, 공통으로 공동체적 특성이 두드러지며 플랫폼 자체의 커뮤니티를 통해 다양한 협업 루트를 제공한다는 특징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앞으로 국내의 코워킹&코리빙 스페이스의 활성화 방안을 위한 참고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을 기대하며, 이후 진행될 후속 연구에도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카자흐스탄 아파트 단위세대 평면변경 사례를 통해 살펴본 주거요구의 경향 (Understanding the Living Demands of Kazakh Apartments through Plan Alteration Cases)

  • 최재필;이재훈;손동화;김영우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81-90
    • /
    • 2014
  • As an emerging market in central Asia, Kazakhstan's housing market is witnessing increasing demands. Though Korean construction industries have attempted to take advantage of this opportunity, inadequate understanding of the local living demands have kept the industries from successfully establishing themselves in the foreign context.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derive architectural planning implications regarding the living demands by investigating changes being made to the housing structure. By analyzing 11 apartment unit plans, it was found that Kazakhs had a living demand for more spacious living rooms and functional spaces. In the effort to improve the livingroom environment and usability such as enlarging the livingroom, removing the living room wall for open space or expanding the inner space facing outside is understood that the living room is considered as an important space. The fact that spaces such as dress rooms and utility rooms are being added in the housing market, reflects the demand of functional spaces. These demands are considered as the reflection of the traditional life style of nomad culture and the cold local climate.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apartment unit plans distributed in the Korean housing market are quite compatible with the Kazakh housing market since they offer spatious living rooms, while the latter founding implies the changes that ought to be made for a successful establishment in the foreign market.

몽골 울란바타르시 토지정보 통합관리시스템 개발 (Building Mongolian ULIIMS(Ulaanbaatar Land Information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

  • 조명희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64-179
    • /
    • 2013
  • 몽골의 수도이자 경제의 중심지인 울란바타르시는 급격한 도시성장에 따라 국토의 난개발과 유목민들의 도시 인구유입이 증가되면서 장기적인 도시계획수립과 토지에 대한 과세를 효율적으로 수행 할 수 있는 기반체계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몽골정부의 효율적인 도시개발을 위해 토지 및 주요 시설물 등에 대한 디지털 자료의 통합, 토지관련 부서간의 자료 상호공유를 통한 업무의 효율성과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인프라를 제공할 수 있는 토지정보 통합관리시스템의 개발이 매우 절실하다. 본 연구는 기존 토지관련 시스템의 운영환경과 관련부서의 업무환경을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재설계하여 시스템을 통합하고 서비스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몽골 울란바타르시의 토지등록관리, 토지허가관리, 토지지불관리 업무환경이 통합적 유기적인 환경에서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이를 통하여 장기적인 도시계획 수립, 투명한 부동산 세금행정 근거마련, 도시 인프라 투자의 효율성 제고를 통한 국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였다.

현장시험을 이용한 제주지역의 지질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eotechnical Characteristics of Jeju Area Using Field Tests)

  • 윤병조;박성윤;이승준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769-777
    • /
    • 2022
  •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제주 지역 지반의 특성을 분석하여 연구함으로써 향후 개발사업 진행시 공법설계등의 기초자료로 활용한다. 연구방법: 제주 지역에서 진행된 공사의 지반조사 데이터를 기반으로 심도, 상대밀도, N치, 함수상태, 색조, 지하수위, 압축강도를 분석하고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로 부터 제주지역이 고대부터 진행된 화산활동과 인근의 해수에 의한 급속한 냉각으로 이루어진 주상절리와 해안부에서 두텁게 발견된 모래층, 그리고 수성화산활동에 의해 형성된 클링커층 및 서귀포층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제주지역의 특수한 지반 형태를 이해하고 공사 설계시 그 특성을 잘 반영하여 기초 설계 및 기초 공법 선정의 자료로 쓰여지길 기대한다.

뒤샹의 레디메이드에 함의된 노마드적 사유 (Nomad Thinking Implied in Duchamp's Readymades)

  • 송하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3호
    • /
    • pp.215-222
    • /
    • 2021
  • 뒤샹이 레디메이드를 선택한 주요 요인은 망막적 회화의 부정, 그리고 그의 내면에 자리하고 있는 변화에 대한 욕망과 유동적 사유 때문이었다. 뒤샹의 그러한 사유는 레디메이드 작품에서 잘 드러난다. 그의 레디메이드 초기 작품 <자전거 바퀴> 는 존재자들과 자본과의 상관관계를 표현한 것으로 그 본질은 자본과 존재자들의 욕망을 염두에 둔 것이다. 이것은 질 들뢰즈와 펠릭스 가타리가 사회의 변혁과 창조적 모델로 제시하였던 욕망 또는 욕망기계와도 연관된다. 그런데 <자전거 바퀴> 가 단순하게 자본과 존재자들의 욕망 관계로 끝나는 것은 아니다. 존재자들이 지닌 욕망이 긍정적 욕망으로 전환했을 때는 그것이 끊임없이 반복적이고 유동적이며 새로운 것을 창안·창조한다. 뒤샹은 이러한 긍정적 욕망을 레디메이드 <샘> 을 통해 전달하고자 했다. 뒤샹이 변기라는 기성품을 <샘> 이라는 개념으로 창조시켰던 것은 그에게 유동하는 욕망 자리하고 있기 때문이며, 이것은 정착하지 않고 끊임없이 유동하면서 새로운 풍경을 찾아다니는 노마드의 속성과 연관된다. 이러한 그의 사유는<여행 가방 속 상자>라는 작품에서 확연하게 드러난다. 뒤샹이 <여행 가방 속 상자> 작품을 제작하게 된 동기는 그의 유동적 사유가 주요했다. 그런데 이 작품은 장소와 배치라는 두 가지 요소의 향방에 따라 다양한 상황이 수시로 전개될 수 있다. 여기서 장소는 유동성, 배치는 가변성 또는 욕망을 담보하고 있다. 유동성은 질 들뢰즈와 펠릭스 가타리에 의하면 흐름과 변주(變奏)의 특성을 지닌 노마드인 것이며, 욕망은 생산성 즉 생성 또는 창조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여행 가방 속 상자> 는 노마드 그 자체라 할 수 있다. 질 들뢰즈와 펠릭스 가타리의 노마드는 끊임없이 유동하면서 새로운 세계를 창조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한곳에 정착하기를 거부했었던 그리고 기존 질서로부터 탈주하여 새로운 예술세계를 창조했었던 뒤샹의 사유와 부합한다. 이 노마드는 혁명가, 차이를 긍정하고 생성을 만들어 내는 창조자라는 할 수 있다. 노마드는 기존 질서에 대한 저항의 개념도 담고 있다. 들뢰즈와 가타리는 이 저항의 모델로 전쟁기계라는 것을 제시하였다. 그러므로 뒤샹과 그의 레이메드 작품 등은 모두 전쟁기계로 볼 수 있다.

인공위성 광학 스펙트럼 기반 이어도 해양과학기지 주변 해수의 수형 분류 (Sea Water Type Classification Around the Ieodo Ocean Research Station Based On Satellite Optical Spectrum)

  • 이지현;박경애;박재진;이기택;변도성;정광영;오현주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591-603
    • /
    • 2022
  • 해수 속의 용존 유기·무기물과 플랑크톤 등의 상호 작용은 해수의 색과 광학적 특성을 결정한다. 동중국해에 위치한 이어도 해양과학기지(I-ORS) 주변의 해역은 서쪽으로 양자강 저염수, 남쪽으로 대마 난류에 영향을 받아 한반도 주변의 해수 순환과 광특성 변동 연구에 적합하다. 본 연구에서는 MODIS/Aqua로 관측한 위성 원격 반사도와 NOMAD 실측 원격 반사도를 이용하여 2016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I-ORS 주변의 해수의 원격반사도를 스펙트럼 특성에 따라 23가지의 유형으로 분류하였으며, 이어도 해양 과학기지 주변 해역(d ≤ 10 km)의 위성 일치점 자료 59,532개를 이용하여 연구 해역 수형의 계절 변동 특성을 제시하였다. 각 관측 지점에서의 원격 반사도 스펙트럼은 분광 각도법을 이용하여 기준 스펙트럼과의 유사도를 비교함으로써 가장 근접한 기준 수형으로 분류 하였으며 분광 유사도가 10° 이내일 때만 유의미하다고 판단하였다. 연구 기간내 I-ORS 주변 해역에서는 상대적으로 맑은 해역에서 잘 나타나는 수형이 50% 이상으로 가장 빈번하게 관측되었다. 계절별 수형의 도수분포에서 여름과 겨울의 분포 양상이 다르게 나타났고, 특히 여름에는 맑은 해수에서 주로 나타나는 7 이하의 수형이 주로 출현한 반면에 겨울에는 전체 4% 미만으로 존재하였다. I-ORS 주변을 비롯한 동중국해의 수형의 공간 분포 특성을 고려할 때 I-ORS는 해수 수형의 전이 대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한반도 연안에서의 수형 변동을 분석함으로써 해수의 광학 특성 이해을 이해하고 인공위성 해색 변수의 정확도 향상을 위한 토대 마련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X-방사선($^{60}Co$)에 조사된 새앙쥐의 상해에 대한 "아답태겐"$^{\textregistered}$의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ADAPTAGEN"$^{\textregistered}$ Korean Ginseng Components, for the Injured Mouse by X-ray($^{60}Co$) Irradiation)

  • 공태훈;유성렬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5권3호
    • /
    • pp.171-178
    • /
    • 1991
  • The results ok feeding experiments to the mice with ginseng extract, ginseng Powder, and ADAPTAGEN, for 30 days before X-ray irradiation and for 40 days after the X-ray irradiation at 750 rads were as follow: 1. The 50% lethals days (LD50, ) by the X-ray irradiation were 9 days at 1, 000 rads. 10 days at 900 rads, 11 days at 800 rads, 14 days at 760 rads, and 19 darts at 750 rads. Therefore, the standard radiation dose was set at 750 radb/8 min. 2. The 80% of the control group mice exposed to the X-ray radiation without ginseng feeding died in periods ranging from 14 to 24 days and the 20~30% of the ginseng extract and ginseng powder feeding groups died. But the 100% of the mice fed with ADAPTAGEN survived. 3. Testicles of the control group became smaller in weight than the nomad group by 26.5 to 29.0% and those of the ginseng extract and ginseng powder feeding group reduced by 44.6 to 60.4%. However, testicles of the ADAPTiIGEN feeding group increased in size by 77.4% to 87.1% and in weight by 61%, showing a recovery phenomenon approarhing to those of the ordinary mice. The ADAPTAGEN feeding group mice were also as active in color as the ordinary ones. 4. An electron micrograph(X8, 000X2.2) of the liver cells of the mice which had been 40 days after X-ray irradiation showed as follows; The control group appeared that is physiological action stopped due to the frequent occurrence of morphological change of the nucleus and diffusion of chromosome, reduction in microspores and expansion of microsomts, and endoplasmic change of mitochondria. The liver cells or the ADAPTAGEN feeding group were in a state similar to those of the ordinary mice restoring to normalcy In contrast, the liver cells of the ginseng extract and ginseng powder feeding groups were still far from being normal. 5. A serological analysis showed that the control group sharply decreased in albumin, Y-g1obu1in, and IgG so far as to cause dystrophy and to weaken antibody resistance but that ginseng extract and ginseng powder feeding groups, though in a little more restoring state than the control group, were still far from the normal group. The ADAPTAGEN feeding group restored to a state as comparable to the normal group in the contents of albumin ${\gamma}$-globulin, IgG and serum protein. In order words, it is noteworthy that ADAPTAGEN feeding was effective in revitalizing the destroyed cells of a living body and that it has the function of normalizing antibody components.

  • PDF

IPA를 통한 몽골관광산업의 발전 전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Strategies of the Mongolia Tourism based on IPA)

  • 이승구;간후
    • 산학경영연구
    • /
    • 제21권2호
    • /
    • pp.43-56
    • /
    • 2008
  • 1990년 사회주의체제 붕괴 후 새롭게 인식되고 있는 몽골의 관광산업은 역사 문화적 관광자원이 풍부함에도 불구하고 관광사업, 관광산업 발전영역이나 관광정책 그리고 관광자원개발 등이 관한 연구가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외래 관광자의 몽골에 대한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을 찾아내어 관광자가 몽골에서 느끼는 여행과정의 만족도를 조사하고, 여러 분석을 통하여 현재의 몽골관광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함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몽골관광 활성화를 위해서는 관광개발의지와 적절한 사업운영 및 개발절차상 제도적인 문제점 해결 등의 종합적인 정책인 요구된다. 먼저, 몽골관광선택요인 IP분석 결과에서와 같이 전반적으로 모든 요인에 대한 중요성 인식은 차이가 없으나, 관광자의 국적에 따라 중요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래관광객들은 전반적으로 모든 요인에 대해 만족도는 같으나, 국적별 만족 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몽골관광선택요인의 중요도는 전반적인 만족수준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몽골여행상품의 단순함 보완을 위해 다변화된 관광자원을 이용하여 시장세분화에 적합한 여행상품 제공이 요구되며, 자연자원, 사적지 관람 등의 기존의 확인적인 여행코스를 주 내용으로 하는 상품개발에서 벗어나 변화하는 여행형태와 각 국가별 성향에 맞춘 상품개발이 주된 대안이 된다.

  • PDF

몽골 유목민의 겔(gel)과 음식문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ngolia's Ger and Food in Pastoral Nomadic Way of Life)

  • 장보웅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55-163
    • /
    • 1997
  • 몽골의 건조한 자연환경에서 몽골인들은 유목이라고 하는 문화를 만들어냈다. 또한 유목민들은 초원에서 유목 생활에 필요한 가옥으로 이동식의 겔을 창조해 냈다. 겔의 주요 재료는 버드나무 줄기와 휄트인데, 전자는 하천에서 쉽게 구할 수 있으며 겔의 골조로 사용되고, 후자는 양모를 원료로 만들어졌는데 지붕을 덮고 벽을 두르는데 사용한다. 겔은 건축하기 쉽고, 해체하기 쉬우며, 운반하기에 가벼운 특성을 갖는 이동식 가옥이다. 겔의 형태는 원형 평면에 낮은 원추형의 지붕으로 되어 있어서 바람에 대한 저항이 적고, 휄트는 단열의 효과가 좋은 재료이다. 즉 겔은 바람이 강하고 혹한의 겨울을 대비한 유목민의 가옥이다. 유목민의 음식은 가축예서 얻을 수 있는 젖과 고기로 만들어진다. 그들은 우유 양유 야크유 등을 많이 마시며, 가공하여 치즈 버터 마유주 등을 만들고, 육류는 삶아서 먹고, 일부는 건조시켜 장기간 저장해 놓고 먹는다. 내장은 순대로 만들어 먹기도 한다. 유목민들이 식물성 식품을 섭취하지 않아도 건강하게 생활할 수 있는 것은, 풀을 사료로 하는 양에서 짠 젖에 필요한 식물성 영양소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 PDF

들뢰즈와 가타리의 리좀적 탈주 표현 연구 -송하영 회화·오브제작품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xpressions of Rhizomatic Escape by Deleuze and Guattari - Song Hayoung With a focus on paintings and objet works -)

  • 송하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325-330
    • /
    • 2021
  • 연구자의 작품에 투영되어 있는 탈주체의 형상과 속성, 그리고 탈주 방식 등을 들뢰즈와 가타리가 사회 변혁의 방식으로 제시한 리좀적 사유에 연결시켜 살펴보고, 그것이 사회적으로 어떠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지 밝혀보았다. 연구자의 작품에 투영된 탈주체는 어떤 완성체가 아니며 언제나 변화와 생성을 전제하고 있는 질료와 같은 것이다. 이 탈주체는 유·무의식적 욕망이 존재한다. 이 욕망은 들뢰즈와 가타리가 모순된 사회 변화를 추구하는 등의 긍정적 속성을 지닌 생성의 욕망이다. 탈주체에 이 욕망을 배치하게 되면 탈주을 감행한다. 이 탈주 방식은 들뢰즈와 가타리가 제시한 리좀적이다. 이것은 모순된 것을 해체하고, 외부와의 연결·접속과 단절을 반복하면서 새로운 질서를 생성한다. 작품에 등장하는 리좀적 탈주체는 반복적 붓질을 한 색면과 결합된 오브제를 가변 설치하여 탈주하는 과정과 방식을 추상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이 작품에서 탈주하는 탈주체들의 목표는 존재자들의 가치와 자유롭고 창조적인 삶을 인정하는 공간으로 안전하게 착륙하는 것이다. 이 탈주체들은 드넓은 초원을 유동하면서 끊임없이 새로운 풍경을 생성하는 노마드이며, 모순된 사회에 저항하는 예술가, 문학가, 즉 들뢰즈와 가타리가 사회 변혁의 개념으로 제시한 전쟁기계와 거리의 열정을 만들며 새로운 가치와 정치를 창안·창조하는 니체의 아곤 개념과 연결된다. 이들이 추구하는 것은 기존 질서를 완전 해체하는 것이 아니며, 타자성을 인정하는 가운데 공존할 수 있는 공간을 희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