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xt Smart Device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7초

스마트 모빌리티 상태 알림 시스템 설계 (Design of smart mobility status notification system)

  • 박세일;장종욱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2128-2132
    • /
    • 2017
  • 스마트 모빌리티는 차세대 친환경 이동수단으로 각광 받고 있어 시장이 매해 급성장 하고 있다. 그러나 전기를 동력으로 사용하는 기기 특성상 사용자의 몸무게나 주행 환경에 따라 모터 및 배터리는 제조사에서 표기하는 성능과 실제 성능과는 큰 차이를 보여 사용자에 따라 기기 이용 시 권장되는 주행 기준점이 없어 본래의 동작에 과부하 발생 빈도가 높아져 기기의 고장 및 파손이 늘어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주행 상태를 측정 후 제조사 측에서 제공하는 권장 주행과는 별도로 실제 주행 시의 맞춤 권장 주행 안내 및 과부하 주행 상황 알림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계하여 스마트 모빌리티 기기의 고장 및 파손은 물론 사용자의 안전까지 확보하고자 한다.

적외선 영상센서를 이용한 스마트 터치 프로젝터 시스템 기술 연구 (A Study on Smart Touch Projector System Technology Using Infrared (IR) Imaging Sensor)

  • 이국선;오상헌;전국휘;강성수;유동희;김병규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870-878
    • /
    • 2012
  • 최근의 많은 컴퓨터 기술의 발전과 센서 기술의 발전의 결합으로 매우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경험에 기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기술들이 출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적외선 영상을 이용한 스마트 터치 프로젝터 시스템 기술에 관한 연구와 그 결과를 소개한다. 제안된 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빔 프로젝터를 사용할 때 적외선 펜을 이용하여 이벤트를 발생시키면 적외선 영상센서를 통하여 그 이벤트를 인식하여 마우스 이벤트를 발생시키는 기법을 제안한다. 입력되는 펜의 움직임 추출과 추적을 기반으로 움직임 이벤트 패턴을 설계하였으며, 입력 영상 화면과 실제 사용하는 하드웨어의 해상도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이 오차를 최소화 하기 위해서 화면 좌표보정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러한 기술은 빔 프로젝터에 간단한 프로세서만 장착이 된다면 다른 이동식 노트북 등이 필요 없이 언제든지 회의나 발표 등을 진행할 수 있는 차세대 휴먼-컴퓨터 상호작용(Human-Computer Interaction) 기술이다.

IoF-Cloud 기반 분산된 IoT 장비들을 위한 Download Over-the-Air 기능의 개념 설계 (Concept Design of Download Over-the-Air functions for IoF-Cloud based distributed IoT device)

  • 차병래;최명수;박선;김형균;김용일;김종원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5권4호
    • /
    • pp.9-17
    • /
    • 2016
  • 앞으로 20여 년 동안은 인터넷과 스마트폰에서 사물인터넷으로 대이동이 시작될 것이다. 사물인터넷의 핵심은 인간을 둘러싼 사물들이 서로 연결되면서 인간에게 새로운 편익 혹은 가치를 부여하는 것이다. 미래의 산업 환경은 제품 생산 과정에 있는 모든 기계와 기계, 공장과 공장을 포함한 모든 공정이 긴밀하게 연결되며, 가상 세계와 실세계의 결합인, 전체 제품과 생산주기의 디지털화를 통해 마침내 디지털 공장은 현실로 구현될 것이다. 제안한 IoT 또는 IIoT 기반의 다운로드 OTA(Over-the-Air)는 네트워크를 통한 임의의 형식과 크기의 미디어 객체(Media Object)를 다운로딩하기 위한 유연성 있는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더불어 제안한 DLOTA는 경량 암호화, OTP, 그리고 CapBAC 기술에 의한 일부분의 보안 기능을 제공한다.

Real-time Intelligent Exit Path Indicator Using BLE Beacon Enabled Emergency Exit Sign Controller

  • Jung, Joonseok;Kwon, Jongman;Jung, Soonho;Lee, Minwoo;Mariappan, Vinayagam;Cha, Jaesa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6권1호
    • /
    • pp.82-88
    • /
    • 2017
  • Emergency lights and exit signs are an indispensable part of safety precautions for effective evacuation in case of emergency in public buildings. These emergency sign indicates safe escape routes and emergency doors, using an internationally recognizable sign. However visibility of those signs drops drastically in case of emergency situations like fire smoke, etc. and loss of visibility causes serious problems for safety evacuation. This paper propose a novel emergency light and exit sign built-in with Bluetooth Low Energy (BLE) Beacon to assist the emergency self-guiding evacuation using devices for crisis and emergency management to avoid panic condition inside the buildings. In this approach, the emergency light and exit sign with the BLE beacons deployed in the indoor environments and the smart devices detect their indoor positions, direction to move, and next exit sign position from beacon messages and interact with map server in the Internet / Intranet over the available LTE and/or Wi-Fi network connectivity. The map server generate an optimal emergency exit path according to the nearest emergency exit based on a novel graph generation method for less route computation for each smart device. All emergency exit path data interfaces among three system components, the emergency exit signs, map server, and smart devices, have been defined for modular implementation of our emergency evacuation system. The proposed exit sign experimental system has been deployed and evaluated in real-time building environment thoroughly and gives a good evidence that the modular design of the proposed exit sign system and a novel approach to compute emergency exit path route based on the BLE beacon message, map server, and smart devices is competitive and viable.

Review of Active Rotor Control Research in Canada

  • Feszty, Daniel;Nitzsche, Fred
    • International Journal of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
    • /
    • 제12권2호
    • /
    • pp.93-114
    • /
    • 2011
  • The current status of Canadian research on rotor-based actively controlled technologies for helicopters is reviewed in this paper. First, worldwide research in this field is overviewed to put Canadian research into context. Then, the unique hybrid control concept of Carleton University is described, along with its key element, the "stiffness control" concept. Next, the smart hybrid active rotor control system (SHARCS) projected's history and organization is presented, which aims to demonstrate the hybrid control concept in a wind tunnel test campaign. To support the activities of SHARCS, unique computational tools, novel experimental facilities and new know-how had to be developed in Canada, among them the state-of-the-art Carleton Whirl Tower facility or the ability to design and manufacture aeroelastically scaled helicopter rotors for wind tunnel testing. In the second half of the paper, details are provided on the current status of development on the three subsystems of SHARCS, i.e. that of the actively controlled tip, the actively controlled flap and the unique stiffness-control device, the active pitch link.

스마트 개인 인식기반 비접촉 체열측정기 융합 출입통제시스템의 글로벌 시장 진출전략 (Global Market Entry Strategy for Smart Personal Recognition-based Non-contact Thermometer Convergence access Control System)

  • 정재승;김형오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73-675
    • /
    • 2021
  • 생체인식 기술은 신뢰성과 편의성을 제공하는 차세대 정보보안기술이며, 글로벌 시장 규모의 상승추세와 비접촉 방식의 수요도 증대되고 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핵심기술로 비접촉방식의 생체인식 출입통제 시스템이 비대면과 자동화 기술까지 가능하여, 국내 뿐만 아니라 미국, 유럽, 중동 등 해외시장에서 크레 활약하고 있다. IoT 기반 스마트 디바이스 맞춤형 센서 개발과 H/W 시스템 확보에 기업간 협조와 미국 식약청의 허가 등 요구사항을 반영하여야 하는 주의사항이 있다.

  • PDF

Novel Hybrid Content Synchronization Scheme for Augmented Broadcasting Services

  • Kim, Soonchoul;Choi, Bumsuk;Jeong, Youngho;Hong, Jinwoo;Kim, Kyuheon
    • ETRI Journal
    • /
    • 제36권5호
    • /
    • pp.791-798
    • /
    • 2014
  • As a new hybrid broadcasting service, augmented broadcasting shows enhanced broadcasting content on a large TV screen, while augmented reality (AR) on a mobile device augments additional graphical content onto an input image from the device's own camera to provide useful and convenient information for users. A one-sided broadcasting service using AR has already been attempted in virtual advertisements during sport broadcasts. However, because its augmentation is preprocessed before the video image is transmitted, the viewer at home may have no influence on this formation; and no interaction for the user is possible unless the viewer has a direct connection to the content provider. Augmented broadcasting technology enables viewers to watch mixed broadcasting content only when they want such service and to watch original broadcasting content when they do not. To realize an augmented broadcasting service, the most important issue is to resolve the hybrid content synchronization over heterogeneous broadcast and broadband networks. This paper proposes a novel hybrid content synchronization scheme for an augmented broadcasting service and presents its implementation and results in a terrestrial DTV environment.

Developing Measures for Empirical Research on Economic Activities of the Convergence Generation: Exploratory Approach

  • Park, Ki-Ho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9권1호
    • /
    • pp.61-70
    • /
    • 2011
  • Ultimately, this research will focus on the activity traits of future customers in the convergence age. To accomplish that, firstly, researcher develop measures for assessing the convergence level of digital devices and digital services. Next, this will investigate the behavioral traits of people who use specific devices or services on the internet or mobile networks. This study proposed five convergence measures each for devices and services. For digital devices, measures such as converged functions, accessibility to network, portability, immediate communicability, and expandibility of functions were utilized. For digital measures such as scope of users, newness, social network level, ease-of use on mobile networks, and expandibility of information were used. We believe that the research results can provide insights for those wishing to explore the convergence level of devices and services and those developing high-level converged devices and digital services.

전기가변 고분자 소재를 이용한 응용소자 (Electro-active Polymer and Dielectric Elastomer Technology for Haptic Interface, Muscular Enhancement, and Tunable Optical Components)

  • 윤재웅;박승구;문성철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4권4호
    • /
    • pp.108-116
    • /
    • 2019
  • Electro-active polymers and dielectric elastomers have many intriguing properties that enable smart interfaces and electrically tunable optical systems, such as haptic feedback devices, artificial muscles, and expansion-tunable optical elements. These device classes are of great interest owing to their promising roles in next-generation technologies including virtual or augmented reality, human sensing and muscular enhancement, and artificial skins. In this report, we review basic principles, current state-of-the-art techniques, and future prospects of electro-active and dielectric elastomer technology. We describe chemical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most promising polymer substances, essential elementary architectures for artificial muscle-like functionalities, and their applications to haptic interfaces, muscular enhancement, and focus-tunable optical elements.

영상장치를 이용한 차세대 스마트 LED 전광판의 불량픽셀 검출을 위한 딥러닝 구조 개발 (Development of Deep Learning Structure for Defective Pixel Detection of Next-Generation Smart LED Display Board using Imaging Device)

  • 이선구;이태윤;이승호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7권3호
    • /
    • pp.345-349
    • /
    • 2023
  • 본 논문은 영상장치를 이용한 차세대 스마트 LED 전광판의 불량픽셀 검출을 위한 딥러닝 구조 개발에 관한 연구를 제안한다. 이 연구에서는 영상장치를 활용하여 딥러닝을 통해 실외 LED 전광판의 결함을 자동으로 검출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LED 전광판의 효율적인 관리와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오류와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연구 과정은 3단계를 거쳐 이루어진다. 첫 번째로, 평면화된 전광판 이미지 데이터를 calibration을 통해 배경을 완전히 제거하고 필요한 전처리 과정을 거쳐 학습 데이터셋을 생성한다. 두 번째로, 생성된 데이터셋은 객체 인식 네트워크를 학습을 시키는 데 활용된다. 네트워크는 Backbone과 Head로 구성된다. Backbone에서는 CSP-Darknet을 활용하여 특징 맵을 추출하고, Head에서는 추출된 Feature Map을 기반으로 물체를 검출한다. 이 과정에서 네트워크는 Confidence score와 IoU가 일치하도록 오차를 수정하며 지속적으로 학습된다. 세 번째에서는 생성된 모델을 활용하여 실제 실외 LED 전광판에서 불량픽셀을 자동으로 검출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을 적용하여 LED 전광판의 불량픽셀 검출에 대한 공인 측정 실험 결과로는 실제 LED 전광판에서 불량픽셀을 100% 검출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를 통해 LED 전광판의 불량 관리와 유지보수의 효율성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LED 전광판 관리의 획기적인 개선을 이룰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