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w Media Arts

검색결과 183건 처리시간 0.031초

Development of High Cordycepin-Producing Cordyceps militaris Strains

  • Kang, Naru;Lee, Hyun-Hee;Park, Inmyoung;Seo, Young-Su
    • Mycobiology
    • /
    • 제45권1호
    • /
    • pp.31-38
    • /
    • 2017
  • Cordyceps militaris, known as Dong-Chong-Xia-Cao, produces the most cordycepin among Cordyceps species and can be cultured artificially. For these reasons, C. militaris is widely used as herb or functional food in the East Asia.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new strain of C. militaris that produces higher cordycepin content than parent strains through mating-based sexual reproduction. Twenty parent strains were collected and identified as C. militaris based on internal trasncrived spacer and rDNA sequences. Seven single spores of MAT 1-1 idiomorph and five single spores of MAT 1-2 idiomorph were isolated from 12 parent strains. When 35 combinations were mated on the brown rice medium with the isolated single spores, eight combinations formed a stroma with a normal perithecia and confirmed mated strains. High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analysis showed that mated strain KSP8 produced the most cordycepin in all the media among all the tested strains. This result showed due to genetic recombination occurring during the sexual reproduction of C. militaris. The development of C. militaris strain with increased cordycepin content by this approach can help not only to generate new C. militaris strains, but also to contribute to the health food or medicine industry.

An Evaluative Analysis of 'U-KNOU Campus' System and its Mobile Platform

  • Seol, Jinah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79-86
    • /
    • 2019
  • This paper is an overview of key elements of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s smart mobile learning system, and an attempt to evaluate its main services relative to the FRAME model and the Mobile Learning Development Model for distance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KNOU improved its system architecture to one based on xMOOC e-learning content delivery while also upgrading its PC-based online/mobile learning services to facilitate an easier and more convenient access to lectures and for better interactivity. From the users' viewpoint, the upgraded 'U-KNOU Campus' allows for a more integrated search capability coupled with better course recommendations and a customized notification service. Using the new system, the students can access not only the school- and peer-issued messages via online bulletin boards but also share information and pose questions to others including to the school faculty/officials and system administrators. Additionally, a new mobile payment method has been incorporated into the system so that the students can select and pay for additional courses from anywhere. In spite of these advances, the issue of device usability and content development remain; specifically U-KNOU Campus needs to improve its instructor-learner and learner-to-learner interactivity and mobile evaluation interface.

빅 데이터 시대 문화적 기억 보존소로서의 영상 아카이브의 역할 (The Role of Archive as cultural memory in the age of Big Data)

  • 조병철;육현승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2호
    • /
    • pp.1-10
    • /
    • 2014
  • 최근 전 세계적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빅 데이터로 인해 기억과 망각의 갈림길에서 개별적으로 구축되는 디지털 아카이브의 위상과 가치가 흔들리고 있다. 그것은 시대의 문화 예술 생활 사회 세태 등을 표현한 국민공통의 문화유산이며 잡지, 서적, 그림, 사진, 필름 등 다양한 매체들과 함께 역사의 흔적을 기록하고 보존한다. 그러나 디지털 아카이브 시스템은 최근 디지털화와 네트워크화로 인해 문화와 첨단미디어공학이 결합된 융합학문의 결정체로 문화적 자산을 대중에게 제공하는 새로운 가능성을 열 수 있는 좋은 기회를 갖게 되기도 한다. 본 고는 보존이냐 개방이냐라는 이 같은 양립성에 놓인 영상아카이브의 과도기적 위상을 조명하며 빅데이터를 맞는 그것의 역할과 미래적 상관관계를 고려하면서 문화적 기억을 보존하여 현재화하면서도 어떻게 개방적으로 응용할 수 있을지 주목하였다. 결론적으로는 그 어떤 것도 포기할 수 없고 제한할 수 없기 때문에 두 가지 방향을 모두 고려하면서 적절한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관건이며, 이를 위해서는 여러가지 장래의 노력들이 필요함을 역설하였다.

웹 2.0 환경의 새로운 디지털 콘텐츠 서비스 전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ospects of new digital contents service based on Web 2.0)

  • 김재하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452-459
    • /
    • 2007
  • 웹 2.0이 사회적인 이슈로 대두되면서 인터넷 기반의 모든 시스템과 서비스 환경은 새로운 전기를 맞고 있다. 기존 웹 서비스는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정보와 데이터를 일방적으로 사용자가 이용하거나 또는 가공하여 처리하는 형태를 취하였으나, 웹 2.0 환경에서는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플랫폼과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자신만의 경험과 노하우를 이용해 또 다른 새로운 정보를 창출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웹 2.0의 환경에서는 서비스 제공자가 만들어 놓은 플랫폼에서 새로운 콘텐츠 제공자의 역할을 하면서 디지털 콘텐츠 시장은 새로운 패러다임을 쏟아내고 있다. 그 중에서 가장 눈에 띄는 서비스는 UCC(User Created Contents)로 사용자의 적극적인 참여와 흥미를 유발하고 있다. 또한 SNS(Social Network Service)와 같은 가상의 공간에서 또 다른 자아를 실현 해 나가는 형태의 서비스가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세컨드라이프닷컴 등이 대표적인 사이트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본고에서는 웹 2.0 환경을 정의하고, 새로운 환경에서 나타난 다양한 서비스들을 UCC, SNS, VR(Virtual Reality) 환경에서의 콘텐츠 등의 형태로 분류하여 정리하였다. 또한 새로운 서비스의 미비점을 분석하여 미래에 지향해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개선점을 도출함으로써 WEB2.0 환경에서 등장하게 될 신규 서비스 성장 모델의 방향을 전망하였다.

방송콘텐츠 개념의 제도적 정립을 위한 시론 (An Essay on Constructing an Official Concept of Broadcasting Contents)

  • 조병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477-492
    • /
    • 2021
  • 이 논문은 방송콘텐츠의 개념이 제도적으로 정립되지 않음에 따라 발생한 문제를 살피고, 방송콘텐츠 개념의 범주와 의의를 제시하여 관련한 논의를 활성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콘텐츠 향유 패턴이 점차 파편화됨에 따라, 드라마·예능·다큐멘터리 등 방송콘텐츠는 전통적인 방송산업의 유통구조를 벗어나 N스크린을 통해 다양하게 향유되며 그 부가가치를 극대화한다. 그러나 법률상 방송콘텐츠의 개념은 방송산업의 전통적인 유통망에 종속되어 있거나, 심지어는 부재한 실정이다. 이 논문은 방송콘텐츠에 대한 새로운 정의를 제안하여 이와 같은 문제를 바로잡고자 하였다. 방송콘텐츠 개념 정의의 필요성을 원론적·법률적·산업적 측면에서 다각적으로 살핀 결과, 방송콘텐츠는 방송미디어로부터 독립된 새로운 개념으로 정의될 필요가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방송콘텐츠의 개념과 유형 분류에 관한 기존의 논의를 검토하여 방송콘텐츠 개념 정립을 위한 방향성을 확인하였고, 방송콘텐츠를 상위범주(교양, 오락)와 하위범주('다큐멘터리·시사교양·교육', '드라마·애니메이션·예능·음악·스포츠')로 구분하여 정의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허밍: DeepJ 구조를 이용한 이미지 기반 자동 작곡 기법 연구 (Humming: Image Based Automatic Music Composition Using DeepJ Architecture)

  • 김태헌;정기철;이인성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748-756
    • /
    • 2022
  • Thanks to the competition of AlphaGo and Sedol Lee, machine learning has received world-wide attention and huge investments.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computing devices greatly contributed to big data processing and the development of neural networks. Artificial intelligence not only imitates human beings in many fields, but also seems to be better than human capabilities. Although humans' creation is still considered to be better and higher, several artificial intelligences continue to challenge human creativity. The quality of some creative outcomes by AI is as good as the real ones produced by human beings. Sometimes they are not distinguishable, because the neural network has the competence to learn the common features contained in big data and copy them. In order to confirm whether artificial intelligence can express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arts, this paper proposes a new neural network model called Humming. It is an experimental model that combines vgg16, which extracts image features, and DeepJ's architecture, which excels in creating various genres of music. A dataset produced by our experiment shows meaningful and valid results. Different results, however, are produced when the amount of data is increased. The neural network produced a similar pattern of music even though it was a different classification of images, which was not what we were aiming for. However, these new attempts may have explicit significance as a starting point for feature transfer that will be further studied.

하회별신굿탈놀이의 연희 확장 가능성 고찰 : 초랭이 캐릭터의 정체성 전환을 통하여 (The Possibility of Expansion of Performance in Hahoebyeolsingut Talnori : By Trans-Identity of the Chorangi Character)

  • 김달호;김공숙
    • 지역과문화
    • /
    • 제7권3호
    • /
    • pp.23-48
    • /
    • 2020
  • 이 글의 목적은 현재 '관객을 위한 하나의 놀이 극'으로서 의미가 큰 하회별신굿탈놀이의 고착된 연희를 확장하기 위해 초랭이 캐릭터의 정체성 전환을 통하여 연희의 확장 가능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초랭이는 잠재적 변혁의식의 소유자, 민중의 소극적 대변자, 관객에게 지배계층에 대한 조롱을 암묵적으로 승인받는 인물이다. 초랭이를 통해 관객은 통쾌함을 느끼지만 동시에 한계도 절감한다. 이에 영리하지만 신분의 한계를 뛰어넘지 못하는 초랭이를 정체성 전환 이론의 '역전'과 '전치'를 적용해 변혁의식을 품은 인물로 성격을 전환하였다. 또한 매체전환 스토리텔링 이론의 '확장' 방식으로 관객의 욕구와 시대정신에 부합하는 새로운 '초랭이마당'을 기획하였다. 초랭이마당은 '양반선비마당' 다음에 덧붙는 신규 마당으로 하회탈놀이의 대사 기능과 구현의 원리를 적용해 창작하였으며 이를 대본으로 제시했다. 초랭이마당은 애매한 화해로 마무리되는 현재의 양반선비마당의 결말을 오늘날의 관객도 수긍할 수 있는 완결적 방식으로 구조화할 수 있다. 이 글은 전통의 새로운 창조라는 맥락에서 전통공연예술의 변형을 시도한 실험적 연구라는 의의가 있다. 하회마을이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외부방문객의 상설공연 관람이 더욱 증대될 전망이다. 현행 하회별신굿탈놀이는 시대의 구성물이지만 변화를 지속하였기에 지금까지 존속될 수 있었다. 전통공연예술은 보존과 전승도 중요하지만 시대정신과 흐름에 맞추어 미래를 향해 나아가는 여시구진(與時俱進)의 자세도 필요하다.

영상미디어 아트 공간연출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 미술 전시장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Production for Art Museums Reflex Media Art)

  • 유재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56-160
    • /
    • 2004
  • Our time is called as the era of information-oriented society and up-to-date scientific technology, but it can be also called as the era of image. It is because the image has much influence upon our everyday life. In the deluge of images, the delivery of image Is a better and faster synergic tool than the delivery of language, and this trend is consistent with the phases of the times in which the analog modality of synergy is converted into the digital one. The image is a picture that is formed by a physical process, and is all the figures reflected by electronic equipments that reproduce the image. After the discovery of photograph in 1893, the image has been appeared first with the form of movie, and then with the form of TV. However, the appearance of such unidirectional synergic tools as movies and TV. has provided artists with some creative motives with which they intercommunicate their messages via some experimental bidirectional synergic tools. Among image-media arts, the performance of installation and participation is an important example that causes many changes through conceptional conversion, such as the conception of the time in space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What satisfy this trend have been videos, lasers, holographic, and etc. Furthermore, the appearance of computer has provided a synesthesia, that is, a virtual reality, and mixed a real image with a visional one. The image-media art will realize better synergy through combining brand new machines, informational technology, and art, and have much influence upon our everyday life formatively and artistically in the future. with this study, through analyzing the meaning of relationship between image equipments and space.

  • PDF

현대 디지털 예술작품의 복제성에 대한 고찰 (Review on the Duplication of Modern Digital Art Works)

  • 송대섭;하임성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17호
    • /
    • pp.205-218
    • /
    • 2009
  • 예술작품의 복제는 오래전부터 광범위한 유포와 이익을 위해 이루어져 왔다. 최근 디지털 복제 매체의 발달에 따라 물질적 복제화와 함께 예술작품 내에 그 개념이 개입되며 의미가 더욱 확대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근래 두드러지고 있는 디지털 예술작품의 복제성이라는 개념을 현대 대중문화와 연관지어 고찰하고, 기계 매체 시대의 복제성과 비교하며, 또한 새롭게 정립할 수 있는 그것의 특성을 연구하였다.

  • PDF

e-커머스 시대 패션브랜드 홍보 방법에 관한 연구 - 패션홍보대행사 업무를 중심으로 - (Research on how to promote fashion brands in the e-commerce era - Focusing on the work of a fashion PR agency -)

  • 박송애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7-29
    • /
    • 2023
  • The digital environment, which has been rapidly developing since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has become more specific due to COVID-19, and marketing strategies are rapidly changing to suit purchasing activities of Generation MZ, whose online purchases are becoming the center of their lives. A public relations agency is generally responsible for all aspects of making a client's product or service visible to the public through various forms of media. Among them, a company that performs only fashion-related tasks is called a "fashion PR agency". Now, the fashion industry is also centered on the e-commerce environment, and various digital marketing strategies have been developed and directly related to sales.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online media and digital marketing, analyzes the aspects of fashion brand promotion strategies and methods in the e-commerce era, focusing on the work of fashion PR agencies, and suggests the direction of new online and offline promotion methods based on marketing and technological aspect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ories on strategies for online media and digital marketing were examined, and found that the amount of online promotion has recently increased and become more specialized. Second,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 of fashion PR agencies and analyzed their main tasks through interviews with fashion PR professionals. Third, based on successful online fashion promotion cases, the study analyzed fashion promotion strategies and methods that are being integrated online and offline in the e-commerce era. The main methods included SNS strategy, content strategy, performance strategy, influencer strategy, and event strategy, and it is suggested that integrated management is necessary for consistent brand image management, and an IMC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 strategy, which intensively manages all strategies, should be employ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