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1.21.09.477

An Essay on Constructing an Official Concept of Broadcasting Contents  

Cho, Byeong-Han (한양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roblems caused by the lack of institutional establishment of broadcasting contents' concept, to present the categories and significance of broadcast contents concepts, and to promote discussions on defining broadcasting contents concepts. As the pattern of enjoying contents becomes fragmented, broadcasting contents such as dramas, entertainment, and documentaries are enjoyed in various ways through N-screens, beyond the distribution structure of the traditional broadcasting industry. But, the concept of broadcasting contents is subordinate to(or even absent from) the distribution structure of the broadcasting industry. This paper seeks to correct this problem by proposing a new definition of broadcasting contents. First of all, as a result of looking at the need to define the concept of broadcasting contents in various ways in principle, legal, and industrial aspects, broadcasting contents needed to be defined as a new concept independent of broadcasting media. Based on this, the existing discussions on the concept and type of broadcasting contents were reviewed to confirm the direction for establishing broadcasting contents concepts, and to define broadcasting contents into higher categories (liberal arts, entertainment), and lower categories ('documentaries, current affairs, education', 'dramas, animation, music, variety, sports').
Keywords
Broadcasting; Contents; Media; Broadcasting Act; Copyright Act;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홍대식, 김성유, "스마트 미디어 환경에서의 방송 개념의 재정립," 방송통신연구, 제78호, p.40, 2012.
2 박상천, "'문화콘텐츠' 개념 정립을 위한 시론," 한국언어문화, 제33집, pp.189-190, 2007.
3 https://kcc.go.kr/user.do?page=A04010400&dc=K04010400, 2018. 5. 31.
4 https://www.kocca.kr/cop/businessinfo/list.do?year=2019&menuNo=200955, 2018. 5. 31.
5 문화체육관광부, 한국저작권위원회, 한국저작권보호원, 2018 저작권백서, pp.224-226, 2019.
6 임재주, 방송법 전부개정법률안 및 한국방송공사법안 검토보고서,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pp.63-64, 2019.
7 한국콘텐츠진흥원, 방송영상콘텐츠 제작산업 경쟁현황 분석, pp.143-144, 2020.
8 안정임, 송현경, 전경란, 텔레비전 프로그램 유형 분류 기준에 관한 연구, 방송위원회, 1993.
9 한국콘텐츠진흥원, 2019 방송영상 산업백서, p.245, 2020.
10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방송통신위원회, 2020년 방송산업 실태조사 보고서, p.138, 2020.
11 문화체육관광부, 2019년 콘텐츠산업 통계조사 보고서, p.167, 2020.
12 송영주, "유럽연합 회원국의 시청각미디어서비스지침 이행 사례를 통해 본 신유형 방송 서비스 규제의 한계," 미디어 경제와 문화, 제15권, 제3호, p.64, 2017.
13 고순주, "EU, 미국, 일본의 방송통신에 관한 수평적 규제 법체계 개편 비교분석," 과학기술법연구, 제13권, 제2호, pp.214-215, 2008.   DOI
14 김유정, "예능 프로그램 편성 변화의 특징과 배경," 방송트렌드&인사이트, 제19호, p.19, 2019.
15 조항주, "OTT 서비스와 협회의 발전 방안," 한국방송실연자권리협회보, 제74호, p.5, 2021.
16 박재복, 글로벌 시대의 방송콘텐츠 비즈니스, W미디어, p.69, 2015.
17 김용규, 설득의 논리학, 웅진지식하우스, p.200, 2020.
18 윤지영, 오가닉미디어, 오가닉미디어랩, p.85, 2016.
19 김일중, 손태영, 김치호, "OTT 플랫폼의 한국 드라마 서비스 확대와 드라마 제작사의 전략 변화: 동적역량 관점(Dynamic Capabilities View)을 중심으로," 인문콘텐츠, 제59호, p.186, 2020.
20 김수원, 김대원, "OTT 서비스의 유형과 주요국의 규제 정책에 대한 고찰,"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제20권, 제6호, p.145, 2019.
21 정영주, 박성순, "한국 OTT 논의 지형의 특성과 정책적 함의: 개념과 정책 방안 논의를 중심으로,"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제20권, 제3호, p.6, 2019.
22 임한솔, 정창원, "국내외 인터넷 개인방송 규제현황 및 규제 방향성 제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20권, 제2호, pp.252-257, 2020.
23 이상우, 황준호, 김성환, 정은옥, 신호철, 오수민, 송정석, 김원식, 통신방송 융합환경하의 수평적 규제 체계 정립방안에 관한 연구, 정보통신정책연구원, p.36, 2007.
24 최우정, "수평적 규제체계에서 방송콘텐츠 규제의 법적 문제점," 언론과 법, 제16권, 제3호, p.8, 2017.
25 김수원, 김대원, "OTT 서비스의 유형과 주요국의 규제 정책에 대한 고찰,"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제20권, 제6호, pp.151-152, 2019.
26 김기복, "시청각 실연자(視聽覺 實演者)의 권리보호 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12호, p.177, 2014.
27 마셜 매클루언 저, W. 테런스 고든 편, 김상호 역, 미디어의 이해, 커뮤니케이션북스, p.32, 2011.
28 주창윤, 황성연, 유승현, 방송 프로그램의 세부 분류기준 및 도입방안 연구, 방송통신위원회, 2012
29 주창윤, 텔레비전 프로그램 장르 설정 기준에 관한 연구, 방송위원회, 2004.
30 권형둔, "헌법상 방송개념과 OTT서비스의 방송법적 규제의 정당성," 언론과법, 제18권, 제1호, pp.15-16, 2019.
31 박상천, "'문화콘텐츠' 개념 정립을 위한 시론," 한국언어문화, 제33집, pp.201-202, 2007.
32 홍대식, 김성유, "스마트 미디어 환경에서의 방송 개념의 재정립," 방송통신연구, 제78호, p.20,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