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urological Occupational therapist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7초

신경계 작업치료사의 평가도구 사용 현황 및 향후 방향 (Current Trends and Future-Oriented View of Clinical Measurement Used by Neurological Occupational Therapist)

  • 송창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5229-5237
    • /
    • 2012
  • 작업치료사의 환자중심훈련(patient-centered practice)은 치료사에게 환자와 그 가족의 관점에서 능동적으로 환자의 기능부전을 찾아야 가능하다. 본 연구는 신경계 작업치료사가 검사 및 평가를 실시하기 위하여 현재 임상에서 사용하는 평가도구의 사용빈도 및 평가도구 선택시 고려사항을 알아보고, 평가에 관한 향후 방향을 제시하기 위함이었다. 연구대상자는 신경계 질환자를 대상으로 치료하는 서울 경기지역에 근무하는 작업치료사 66명이었다. 설문지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평가관련 정보, 신경계 작업치료사가 사용하는 평가도구의 내용, 성인 평가도구 및 아동평가도구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결과분석은 설문에 응답한 66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기술적 통계량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1일 환자 수는 10인 이상 15인 미만이 가장 많았으며, 초기평가는 20분 이상 40분 미만이 가장 많았고, 환자 재평가 주기는 1개월과 기능적 차이가 보일 때가 가장 많았다. 평가도구는 신경계 관련 도구에만 국한되지 않았으며, 평가도구 선택시 고려사항은 평가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가장 높았다. 성인을 대상으로 사용한 평가도구는 '상지운동기능'은 JHFT, '인지 및 지각'은 MMSE-K, '일상생활동작'은 MBI, '작업수행'은 COPM이 가장 많았다. 또한 아동을 대상으로 한 평가도구는 '인지-지각 평가도구'는 MVPT, '일상생활동작 평가도구'는 Wee-FIM이 가장 많았다. 마지막으로 영역에 따른 평가도구 선택시 고려사항도 평가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가장 높았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서울.경기지역에 근무하는 신경계 작업치료사의 영역별 평가도구의 사용빈도와 그 평가도구를 선택할 때 고려하는 사항을 알아볼 수 있었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신경계 작업치료사가 평가를 수행할 때 환자수행중심 평가뿐만 아니라 환자와 보호자의 관점을 통합하여 치료계획을 수립할 필요성이 있다고 제언하는 바이다.

국내작업치료사들을 대상으로 한 뇌졸중 환자의 양측 상지훈련 현황 및 인식도 조사 (A Study on Korean Occupational Therapist's Perception and Current Conditions About Bilateral Upper Extremity Training for Patients With Stroke)

  • 이주현
    • 재활치료과학
    • /
    • 제6권1호
    • /
    • pp.25-33
    • /
    • 2017
  • 목적 :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들을 대상으로 현재 시행하고 있는 뇌졸중 환자의 양측 상지 활동 훈련에 대한 현황 및 인식도를 조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2016년 6월 한달동안 작업치료사 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환자의 일반적 특성, 환자가 수행하기 어려운 양측 상지 활동, 훈련에 적용하는 양측 상지 활동, 치료에 적용시켜 보고 싶은 양측 상지 활동의 총 5개 영역을 포함하는 총 17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결과 : 본 연구 결과 환자가 수행하기 어려운 양측 상지 활동은 못 박기였으며, 주로 훈련에 적용하는 양측 상지 활동은 컵 뚜껑 열기였다. 또한 치료에 적용해 보고 싶은 양측 상지 활동은 세수하기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작업치료사가 양측 상지 훈련에 적용하는 활동 목록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향후 양측 상지과제를 선정할 때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작업치료사의 언어폭력 경험이 직무 스트레스와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ccupational Therapist's Experiences of Verbal Violence on Job Stress and Job Intention)

  • 한대성;정은화
    • 재활치료과학
    • /
    • 제10권3호
    • /
    • pp.123-135
    • /
    • 2021
  • 목적 :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 언어폭력 경험이 직무 스트레스와 이직 의도에 미치는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에 이용된 분석 자료는 모바일을 통하여 연구에 참여한 작업치료사의 설문지 316부였으며 환자로부터의 언어폭력 경험, 보호자로부터의 언어폭력 경험, 직무 스트레스, 이직 의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 연구 분석 결과, 작업치료사의 언어폭력 정도는 보호자보다 환자로부터의 경험이 더 높다고 조사되었다. 작업치료사의 직무 스트레스 정도는 평균 2.79(±1.15)로 조사되었으며, 이직 의도는 3.41(±1.19)로 보통 이상으로 조사되었다. 언어폭력 정도와 직무 스트레스, 이직 의도 간 상관관계는 모든 변수에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작업치료사가 경험한 언어폭력의 정도와 직무 스트레스, 이직 의도를 알 수 있었으며, 연구의 각 변인 간 상관관계를 알 수 있었다. 추후 좀 더 광범위한 모집단의 표집을 통한 후속 연구 등이 요구된다.

작업기반 중재를 위한 작업치료사 역량지표 개발: 델파이연구 (Development of Occupational Therapist Competency Indicators for Occupation-Based Intervention: Delphi Study)

  • 신재용;김정란;이지선
    • 재활치료과학
    • /
    • 제7권1호
    • /
    • pp.37-50
    • /
    • 2018
  • 목적 : 본 연구는 작업기반 중재 전문가를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작업기반 중재를 위한 작업치료사 역량지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국내 작업치료사 역량지표관련 자료들을 종합 분석하여 2016년 10월부터 12월까지 3차에 걸쳐 델파이 조사 결과를 수집하였다.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전문가 패널을 통한 '작업기반 중재를 위한 작업치료사의 역량지표'를 개발하였다. 결과 : 역량지표는 8개 역량요소를 기반으로 1차 델파이 결과 133개, 2차 델파이 결과 135개의 역량지표가 조사되었으며 최종적인 작업기반 중재를 위한 작업치료사의 역량지표는 8개 요소를 기준으로 131개의 역량지표가 개발되었다. 3차 델파이 결과 내용타당도 .95, 안정도 .10, 수렴도 0, 합의도 1로 높은 수준의 합의를 보였다. 결론 : 개발된 작업기반 중재를 위한 작업치료사 역량지표는 실제 임상 현장에서 작업기반 중재를 실시하고, 교육훈련과 개발, 평가 등 인적관리를 위한 다양한 의사결정에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국내 작업치료사의 퇴원계획 개입에 대한 실태 조사연구 (Survey on the Discharge Planning of Occupational Therapists)

  • 황나경;유은영
    • 재활치료과학
    • /
    • 제9권2호
    • /
    • pp.55-71
    • /
    • 2020
  • 목적 : 본 연구는 환자의 퇴원계획에 대한 작업치료사 개입의 필요성과 퇴원 스크리닝과 계획을 위해 고려되어야할 영역을 조사함으로써 효과적인 퇴원계획 실행을 위한 퇴원평가도구의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 연구 참여에 동의한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작업치료사 6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내용은 일반적 특성, 퇴원계획 현황, 퇴원평가와 퇴원계획 필요성, 총 36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독립표본 티 검증, 일원배치분산분석, 사후검증은 쉐페 검증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퇴원계획과 준비에 대한 작업치료사의 역할과 퇴원평가도구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높게 나타났으나, 작업치료사의 퇴원 관련 지식 및 정보 보유에 대한 인식 정도는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퇴원계획중재 시 겪게 되는 어려움은 면담과 평가를 위한 적절한 수가의 부재, 퇴원계획을 위한 팀 접근의 부족, 퇴원계획을 위한 적절한 평가도구의 부재에 대한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퇴원 시 평가의 필요성이 높은 영역은 낙상위험과 BADL수행으로 나타났으며, 평가의 필요성이 낮은 영역은 안녕감과 발병 전 기능수준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퇴원계획에 대한 작업치료사 개입의 필요성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향후 효과적인 퇴원계획 실행을 위한 퇴원평가도구 개발의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감각처리 장애에 대한 신경생리학적 증거들 (Neurophysiological Evidence for Sensory Processing Disorder)

  • 김은영
    • 재활치료과학
    • /
    • 제1권1호
    • /
    • pp.5-16
    • /
    • 2012
  • 감각통합은 이론에서 출발하여 현재 치료사들이 아동의 문제를 찾고 중재하는데 유용한 틀을 제공한다. 이전까지 대부분의 감각통합 연구들은 감각처리 장애아동들이 나타내는 행동을 측정하는 경험적 증거들을 보고하였다. 최근에 감각처리 장애 진단에 대한 객관적 증거 마련을 위해서 신경생리학적 연구 결과가 축적되기 시작하였다. 감각처리 장애에 대한 신경생리학적 근거를 찾는 연구들은 전기피부 활동, 미주신경 톤, 뇌파를 사용하여 감각처리 장애아동과 전형적으로 발달하는 또래 아동들 간 신경생리학적 반응이 다르다는 결과를 보고하였을 뿐만 아니라 감각처리 어려움과 관련한 행동 특징이 신경생리학적 지표에서도 반영됨을 발견하였다. 앞으로 연구에서는 감각통합 치료 효과를 지지하는 신경생리학적 증거도 얻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해 본다.

뇌졸중 편마비환자의 작업치료에 적용되는 운동학습의 원칙 (Motor Learning Concepts Applied to Occupational Therapy With Adults With Hemiplegia)

  • 심선화;박지혁
    • 재활치료과학
    • /
    • 제1권2호
    • /
    • pp.14-22
    • /
    • 2012
  • 서론 : 뇌줄중 환자의 상지 운동 결손은 일상생활에서 수행하는 많은 활동에 큰 어려움을 겪게 만든다. 작업치료사들은 다양한 활동을 제공함으로써 일상생활의 참여를 돕기 위해서 노력하지만 학습자의 특성과 환경을 고려하지 않은 채 훈련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운동 학습 이론과 원칙에 대해 알아보고 작업치료 영역에 적용하기 위한 임상적 고려에 대해 제언해보고자 한다. 본론 : 운동학습의 원칙으로는 학습의 단계, 과제의 형태, 실행 또는 연습, 피드백이 있는 학습의 단계에 따라 운동학습의 원칙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초기단계에서는 학습목표와 작업환경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며 지속적이며 차단된 연습, 전체 과제 연습이 학습을 촉진시킨다. 후기단계에서는 내제적 피드백에 의존하도록 유도하여야 하며 열린과제, 무작위 연습이 수행을 증진시킨다. 결론 : 치료기전으로 제공되는 다양한 운동학습의 원칙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치료계획 수립 시에 체계적으로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작업치료사들은 환자 각각의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환자의 수준에서 수행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운동학습의 원칙을 계획하고 치료적 변화를 계속 모니터링하면서 변경시켜나가야 할 것이다.

감각통합에 기초한 임상 관찰 평가의 AI 측정 기술 적용 필요성을 위한 국내 작업치료사 인식 조사 (Domestic Occupational Therapist Awareness Survey for the Need to Apply Artificial Intelligence Measurement Technology for Clinical Observation Evaluation Based on Sensory Integration)

  • 조선영;정영진;김정란
    • 재활치료과학
    • /
    • 제12권1호
    • /
    • pp.23-35
    • /
    • 2023
  • 목적 : 본 연구는 국내 감각통합치료의 임상 관찰 평가 사용실태와 세부 항목별 결과 측정의 어려움 및 중요도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임상 관찰 측정에 있어 AI 측정 기술의 적용 유용성과 세부 항목별 적용 필요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연구 과정은 국내 작업치료사 31명에서 온라인 설문지 배포를 통해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일반적 정보, 감각통합 평가 도구 사용 실태, 임상 관찰의 세부 항목별 측정의 어려움, AI 측정 기술의 유용성, 세부 항목별 평가의 중요성 및 AI 측정 기술 개발의 필요성을 조사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조사의 결과를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조사에 참여한 작업치료사들은 Sensory Profile(96.8%)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그다음으로 임상 관찰(90.3%)을 많이 사용하였다. 임상 관찰 시 측정이 어려운 세부 항목은 Finger-to-nose Test와 Postural Control(on the 이었으며, 다음으로 Eye Movement와 Protective Extension Test(67.7%)였다. 임상 관찰 시 AI 측정 기술 적용은 83.9%의 연구 대상자들이 모두 유용할 것으로 응답하였다. AI 측정 기술 적용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가장 높은 항목은 Postural Control(on the ball)(90.3%)이었고, 다음으로 Eye Movement(83.9%), Prone Extension과 Protective Extension Test(77.4%)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 아동 작업치료 현장에서 임상 관찰이 중요한 평가도구이며 임상 관찰 평가의 측정 정확성을 향상하기 위해서 AI 기술 적용이 필요하다는 작업치료사들의 인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발달장애 아동 부모의 인지재활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워드 클라우드 분석과 현상학적 연구 방법 혼합설계 (Parents' Perceptions of Cognitive Rehabilitation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 Mixed-Method Approach of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and Word Cloud Analysis )

  • 주유미;김영근;이희령;홍승표;한대성
    • 재활치료과학
    • /
    • 제13권1호
    • /
    • pp.49-63
    • /
    • 2024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현상학적 방법론과 워드 클라우드 분석을 통해 발달장애 아동 부모의 인지재활 경험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인지재활에 대한 부모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발달장애 아동의 부모 5명을 심층 인터뷰하였다. 아울러 Python을 사용하여 워드 클라우드 분석을 하였고, 출현 빈도 수가 높은 단어를 중심으로 5명의 연구자가 의미 단위와 주제를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인지재활의 현상에 대한 의미 단위 43개 및 구성요소 9개를 도출하였고, 이로부터 총 3개의 주제를 최종 도출하였다. 도출된 중심 주제는 인지재활의 정의, 인지재활의 문제점, 인지재활 기관 선택 시 고려사항이었다. 인지재활은 발달장애 아동의 학습, 일상생활 기능, 인지기능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치료라는 인식이 있었다. 인지재활의 문제점으로는 치료방식, 치료사의 전문성, 치료비용에 관한 문제인식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인지재활 기관 선택 시 고려사항으로는 치료사의 전문성, 입소문, 비용과 시간의 적정성이 있었다. 결론 : 발달장애 아동의 부모는 인지재활을 통해 아동의 실질적인 기능 향상을 기대하고 있었고, 이와 더불어 임상에는 현실적인 문제들이 존재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부모가 인식하는 문제점들을 보완한 보다 나은 인지재활 서비스로 발전되는 데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채용공고 분석을 통한 작업치료사 구직 시장에 대한 연구 (The Study of Job Market by Analysis of the Recruitment Advertisement for Occupational Therapy)

  • 임승주;양민아;한대성;박지혁
    • 재활치료과학
    • /
    • 제9권2호
    • /
    • pp.39-53
    • /
    • 2020
  • 목적 : 본 연구는 2011년부터 2018년까지의 작업치료사 채용공고를 분석하여 작업치료사 구직 시장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국내 작업치료사 국가시험 응시 및 합격 현황과 작업치료 포털사이트(오티브레인)에 게시된 총 15,869건의 작업치료사 채용 공고를 수집하여 지역, 고용형태, 급여수준, 채용시기, 채용분야를 기준으로 작업치료사 구직 시장을 분석하였다. 결과 : 연도별 작업치료사 전체 채용공고 건수는 국가시험 합격인원보다 평균 544건 높게 나타났으며, 서울과 경기지역에 채용공고가 집중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고용형태의 경우 연도별 정규직 채용비율이 감소추세를 보였으나, 비정규직 채용비율은 증가추세로 나타났다. 급여수준은 연봉 2,000만원 이상 2,500만원 이하의 수준이 가장 높았고, 채용분야는 성인 및 노인분야 공고가 아동분야 공고보다 약 4.6배 이상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 본 연구는 작업치료사 구직시장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