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twork IDS

검색결과 309건 처리시간 0.034초

IDS가 있는 MANET에서 이동패턴에 기반한 VoIP 트래픽의 종단간 전송성능 (End-to-end Transmission Performance of VoIP Traffics based on Mobility Pattern over MANET with IDS)

  • 김영동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7호
    • /
    • pp.773-778
    • /
    • 2014
  • 라우팅 정보에 대하여 악성침해를 일으켜 네트워크의 전송성능을 저하시키는 블랙홀 공격에 대한 대응수단으로 IDS(Intrusion Detection System)가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IDS가 전송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MANET(Mobile Ad-hoc Network)에서 노드의 이동패턴에 기반하여 분석하고, 블랙홀 공격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방안을 살펴본다. 성능분석에는 NS-2를 기반으로 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사용하며, 응용 서비스로 사용되는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서비스를 대상으로 성능을 측정한다. MOS(Mean Opinion Score)와 호연결율, 종단간 지연을 성능측정 및 분석 파라미터로 사용한다.

네트워크 침입탐지를 위한 세션관리 기반의 LSTM 모델 (LSTM Model based on Session Management for Network Intrusion Detection)

  • 이민욱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1-7
    • /
    • 2020
  • 증가하는 사이버공격에 대응하기 위하여 머신러닝을 적용한 자동화된 침입탐지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최근 연구결과에 따르면, 순환형 학습모델을 적용한 침입탐지기술이 높은 탐지성능을 보여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단순한 순환형 모델을 적용하는 것은 통신이 중첩된 환경일수록 연관된 통신의 특성을 반영하기 어려워 탐지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세션관리모듈을 설계하여 LSTM(Long Short-Term Memory) 순환형 모델에 적용하였다. 실험을 위하여 CSE-CIC-IDS 2018 데이터 셋을 사용하였으며, 정상통신비율을 증가시켜 악성통신의 연관성을 낮추었다. 실험결과 통신연관성을 파악하기 힘든 환경에서도 제안하는 모델은 높은 탐지성능을 유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네트워크 포트스캔의 위험에 대한 정량화 방법 (A Method for Quantifying the Risk of Network Port Scan)

  • 박성철;김준태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91-102
    • /
    • 2012
  • 네트워크 포트스캔 공격은 내부 네트워크에 있는 시스템에서 열려 있는 포트를 알아내기 위한 방법이다. 기존 대부분의 침입탐지시스템(Intrusion Detection System; IDS)들은 단위 시간당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에 몇 번의 패킷을 보냈는지의 횟수를 기록하여 전송한 패킷의 횟수가 임계치보다 높은 소스 인터넷 주소(source IP address)에 대해서 포트스캔 공격이 수행되었다고 간주하였다. 즉, 네트워크 포트스캔 공격을 수행한 소스 인터넷 주소에 대한 위험 정도는 IDS들이 기록한 포트스캔 공격횟수에 의존하였다. 그러나 단순히 포트스캔 공격 횟수에 기반을 둔 위험성의 측정은 느린 포트스캔 공격에 대해 거짓 부정(false negative)이 높아져 포트스캔 탐지율이 낮아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네트워크 포트스캔 공격에 대해 좀 더 정확하고 포괄적인 구분을 하기 위해 4가지 형태의 정보를 요약한다. 포트스캔 공격에 대한 위험성을 집약적으로 나타내기 위하여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에 의해 이러한 정보들을 정량화한 위험지수를 제안한다. 실험을 통해 제안한 위험지수를 이용한 탐지가 포트스캔 탐지율에 있어서 Snort보다 우수하다는 것을 보인다.

안전한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정책기반 보안 프레임워크 (A Policy-based Secure Framework for Constructing Secure Networking)

  • 박상길;장종수;손승원;노봉남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7권8C호
    • /
    • pp.748-757
    • /
    • 2002
  • 인터넷의 지속적인 보급/발전과 인터넷을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의 증대를 통해 네트워크를 통한 보안취약점 공격과 정보획득을 위한 사이버테러 시도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는 침입탐지시스템의 적용환경에도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일반적인 네트워크 기반 침입탐지 시스템은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해 유입되는 패킷에 대하여 시그너춰 기반 침입 탐지 모듈을 통하여 침입을 탐지하게 된다. 현재까지의 네트워크상의 정보보호는 주로 보안 호스트, 특정 보안 시스템에 대한 지역적인 정보보호였으나 전세계에 연결된 인터넷 시스템들의 침해에 대한 방어능력이 취약한 상태이다. 특정 도메인에 국한하여 서브 네트워크 상에 적용되었던 보안을 네트워크 전체에 확장시킬 수 있는 보안 메커니즘이 제공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DARPA의 과제를 분석하고, 그 분석을 통한 침입탐지관련 기술을 살펴본다. 또한, 상기에 지적한 보안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Policy 기반으로 보안집행이 수행되는 정보보호 서비스 구조를 설계하고, 각 모듈별 제공 기능에 대하여 살펴본다. 보안정책의 집행은 AS내의 네트워크 유입지점인 게이트웨이 장치에 설치된 침입탐지시스템을 통해 수행되며, 추가되는 정책정보가 중앙의 보안제어서버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반영되어 처리된다. 이를 통하여 관리도메인에 대한 집중적인 보안정책의 설계 및 집행이 수행된다.

연관법칙 마이닝(Association Rule Mining)을 이용한 ANIDS (Advanced Network Based IDS) 설계 (ANIDS(Advanced Network Based Intrusion Detection System) Design Using Association Rule Mining)

  • 정은희;이병관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2287-2297
    • /
    • 2007
  • 제안한 ANIDS(Advanced Network based IDS)는 네트워크 패킷을 수집하여 연관규칙 마이닝 기법을 이용하여 패킷의 연관성을 분석하고, 연관성이 높은 패킷을 이용해 패턴 그래프를 생성한 후, 생성된 패턴 그래프를 이용해 침입인지를 판단하는 네트워크 기반 침입 탐지 시스템이다. ANIDS는 패킷 수집 및 관리하는 PMM(Packet Management Module), 연관성 있는 패킷들만을 이용해 패턴 그래프를 생성하는 PGGM (Pattern Graph Generate Module), 침입을 탐지하는 IDM(Intrusion Detection Module)으로 구성된다. 특히, PGGM은 Apriori 알고리즘을 이용해 $Sup_{min}$보다 큰 연관규칙의 후보 패킷을 찾은 후, 연관규칙의 신뢰도를 측정하여 최소 신뢰도 $Conf_{min}$보다 큰 연관규칙의 패턴 그래프를 생성한다. ANIDS는 패킷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침입인지를 탐지 할 수 있는 패턴 그래프를 사용함으로써, 침입 탐지의 긍정적 결함 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완벽한 패턴 그래프 패턴이 생성되기 전에, 이미 침입으로 판정된 패턴 그래프 패턴과 비교하여 유사한 패턴 형태를 침입으로 간주하므로 기존의 침입 탐지 시스템에 비해 침입 탐지속도를 감소시키고 침입 탐지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블랙보드구조를 활용한 보안 모델의 연동 (Coordination among the Security Systems using the Blackboard Architecture)

  • 서희석;조대호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310-319
    • /
    • 2003
  • As the importance and the need for network security are increased, many organizations use the various security systems. They enable to construct the consistent integrated security environment by sharing the network vulnerable information among IDS (Intrusion Detection System), firewall and vulnerable scanner. The multiple IDSes coordinate by sharing attacker's information for the effective detection of the intrusion is the effective method for improving the intrusion detection performance. The system which uses BBA (Blackboard Architecture) for the information sharing can be easily expanded by adding new agents and increasing the number of BB (Blackboard) levels. Moreover the subdivided levels of blackboard enhance the sensitivity of the intrusion detection. For the simulation, security models are constructed based on the DEVS (Discrete Event system Specification) formalism. The intrusion detection agent uses the ES (Expert System). The intrusion detection system detects the intrusions using the blackboard and the firewall responses to these detection information.

Mobile Ad - hoc Network에서 CP - SVM을 이용한 침입탐지 (Intrusion Detection Algorithm in Mobile Ad-hoc Network using CP-SVM)

  • 양환석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41-47
    • /
    • 2012
  • MANET has vulnerable structure on security owing to structural characteristics as follows. MANET consisted of moving nodes is that every nodes have to perform function of router. Every node has to provide reliable routing service in cooperation each other. These properties are caused by expose to various attacks. But, it is difficult that position of environment intrusion detection system is established, information is collected, and particularly attack is detected because of moving of nodes in MANET environment. It is not easy that important profile is constructed also. In this paper, conformal predictor - support vector machine(CP-SVM) based intrusion detection technique was proposed in order to do more accurate and efficient intrusion detection. In this study, IDS-agents calculate p value from collected packet and transmit to cluster head, and then other all cluster head have same value and detect abnormal behavior using the value. Cluster form of hierarchical structure was used to reduce consumption of nodes also. Effectiveness of proposed method was confirmed through experiment.

Design of Security Management System

  • Kim Seok-Soo;Soh Woo-Yo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권2호
    • /
    • pp.22-25
    • /
    • 2005
  • Enterprise security management system: Enterprise Security Management (EMS) is centralized integrated management of other kind of security solutions such as intrusion cutoff system, intrusion detection system and virtual private network. With the system, it is possible to establish security policies for entire IT system through interlocking of solutions. A security system of company network is progressing as a ESM(Enterprise Security Management) in existing security solution foundation. The establishment of the security policy is occupying very important area in ESM of the security system. We tried to analyze existing ESM system for this and designed security solution structure for enhancing the inside security. We applied implementing directly IDS system and tested. This test set the focus about inside security

  • PDF

A Distributed Communication Model of Intrusion Detection System in Active Network

  • Park, Soo-Young;Park, Sang-Gug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5년도 ICCAS
    • /
    • pp.1577-1580
    • /
    • 2005
  • With remarkable growth of using Internet, attempts to try intrusions on network are now increasing. Intrusion Detection System is a security system which detects and copes illegal intrusions. Especially with increasing dispersive attacks through network, concerns for this Distributed Intrusion Detection are also rising. The previous Intrusion Detection System has difficulty in coping cause it detects intrusions only on particular network and only same segment. About same attacks, system lacks capacity of combining information and related data. Also it lacks cooperations against intrusions. Systematic and general security controls can make it possible to detect intrusions and deal with intrusions and predict. This paper considers Distributed Intrusion Detection preventing attacks and suggests the way sending active packets between nodes safely and performing in corresponding active node certainly. This study suggested improved E-IDS system which prevents service attacks and also studied sending messages safely by encoding. Encoding decreases security attacks in active network. Also described effective ways of dealing intrusions when misuses happens thorough case study. Previous network nodes can't deal with hacking and misuses happened in the middle nodes at all, cause it just encodes ends. With above suggested ideas, problems caused by security services can be improved.

  • PDF

실시간 네트워크 침입탐지 시스템을 위한 아웃라이어 클러스터 검출 기법 (An Outlier Cluster Detection Technique for Real-time Network Intrusion Detection Systems)

  • 장재영;박종명;김한준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43-53
    • /
    • 2007
  • 최근의 네트워크 침입탐지 시스템은 기존의 시그너처(또는 패턴) 기반 탐지 기법에 비정상행위 탐지 기법이 새롭게 결합되면서 더욱 발전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시그너처 기반 침입 탐지 시스템들은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활용함에도 불구하고 사전에 이미 알려진 침입 패턴만을 탐지할 수 있었다. 이상적인 네트워크 침입탐지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침입 패턴이 저장된 시그너처 데이터베이스를 항상 최신의 정보로 유지해야 한다. 따라서 시스템은 유입되는 네트워크 데이터를 모니터링하고 분석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공격에 대한 시그너처를 생성할 수 있는 기능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위해 밀도(또는 영향력) 함수를 이용한 새로운 아웃라이어 클러스터 검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에서는 네트워크 침입 패턴을 하나의 객체가 아닌 유사 인스턴스들의 집합 형태인 아웃라이어 클러스터로 가정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KDD 1999 Cup 침입탐지 데이터 집합을 이용한 실험을 수행하여, 침입이 자주 발생하는 상황에서 본 논문의 방법이 유클리디언 거리를 이용한 기존의 아웃라이어 탐지 기법에 비해서 좋은 성능을 보임을 증명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