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twork Game

검색결과 684건 처리시간 0.028초

Exploring the Meaning of College Students' Leisure Activity: Means-end Chain Analysis of Social Network Game Playing

  • Han, Ju Hyo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0권4호
    • /
    • pp.18-22
    • /
    • 2014
  • Social network games (SNGs), a rapidly growing online game genre, are built and played on social network sites. SNGs provide an online world for enjoying leisure time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and an increasing numbers of college students are involved in such game-playing as a leisure time activity. Despite the popularity, relatively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nature of game players, especially the meaning of such leisure time behavior by college students. This paper's aim was to explore a subjective meaning structure of online social network game play. The means-end chain model was used to link attributes of SNGs to the underlying values of game playing as a leisure activity. The results revealed two emerging end-values: the need for bridging and a sense of belonging.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meaning of college students' leisure activities when playing social network games.

소셜커머스에 기반한 SNG 비즈니스 모델에 관한 연구 -개발게임(Tour City)사례를 중심으로 (Study on SNG Business Model based on Social Commerce - In the Case of Developing Games(Tour City))

  • 김태규;유석호;이완복;이동열;경병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0호
    • /
    • pp.457-463
    • /
    • 2012
  • 소셜네트워크게임(SNG)은 말 그대로 사회적인 연결망이나 관계에 기반한 게임이다. 사람들과의 관계가 게임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가 되어 이를 잘 활용해야 원활한 진행을 할 수 있다는 점이다.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에 바탕을 둔 소셜네트워크 게임의 활동은 실제 기업상품과 연결시켜 구매를 유도할 수도 있고 또 소셜네트워크 게임 상의 가게를 기업의 웹사이트나 쇼핑몰과 연결하여 게임 속에서 광고를 통한 마케팅도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게임을 사례를 들어 소셜커머스에 기반한 새로운 SNG 비즈니스 모델을 제안하고 차후 SNG 수익모델 연계방식을 제시하였다.

네트워크 게임 트래픽 분석 및 모델링 (Traffic Analysis and Modeling for Network Games)

  • 박효주;김태용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635-648
    • /
    • 2006
  • 초고속 인터넷의 보급이 대중화되고 콘솔 게임기와 모바일이 네트워크 게임을 지원하면서 온라인 게임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온라인 게임으로 인한 인터넷 트래픽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게임 네트워크의 설계나 시뮬레이션을 위해서는 온라인 게임 트래픽의 분석이 선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온라인 게임의 트래픽에 관련된 연구가 국내 외에서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은 온라인 게임의 트래픽 측정과 분석을 위하여 게임 전용 트래픽 측정 및 분석 툴인 GameNet Analyzer를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서로 다른 장르의 게임인 Quake 3, Starcraft, WoW(World of Warcraft)의 트래픽을 측정하여 플레이어의 수와 게임 플레이 방식에 따른 패킷 크기, 패킷 IAT(inter-arrival time), 데이터 전송률과 패킷 전송률을 분석하고, 측정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트래픽을 모델링한다. 이러한 게임 트래픽의 분석이나 트래픽 모델은 효율적인 네트워크 시뮬레이션, 게임 네트워크의 성능 평가, 온라인 게임의 설계 등에 활용될 수 있다.

  • PDF

국내 온라인 게임 산업 생태계 분석 : 개발사-퍼블리셔 관계를 중심으로 (Analyzing the Ecosystem of the Domestic Online Game Industry : Focusing on the Linkage between Developers and Publishers)

  • 전훈;이학연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38-150
    • /
    • 2016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domestic online game industry using network analysis. In particular, two-mode network analysis is employed to measure the network structure, centrality, and cluster for two types of online game platforms, online games and mobile games, from 1996 to 2014. We also conduct a dynamic analysis to capture the structural changes in the ecosystem by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al changes before and after turning point for each online game platform. It is revealed that the online game econsystem has the higher number of clusters and higher concentration ratio than those of mobile game ecosystem. In dynamic analysis, both platforms exhibit similar trends over time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clusters, enlargement of largest cluster's size, and decreasing concentration ratio.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fruitful implications for strategic decision making of online game companies and policy making for the online game industry.

Network Security Situation Assessment Method Based on Markov Game Model

  • Li, Xi;Lu, Yu;Liu, Sen;Nie, Wei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2권5호
    • /
    • pp.2414-2428
    • /
    • 2018
  •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current network security situation assessment methods just focus on the attack behaviors, this paper proposes a kind of network security situation assessment method based on Markov Decision Process and Game theory. The method takes the Markov Game model as the core, and uses the 4 levels data fusion to realize the evaluation of the network security situation. In this process, the Nash equilibrium point of the game is used to determine the impact on the network security. Experiments show that the results of this method are basically consistent with the expert evaluation data. As the method takes full account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attackers and defenders, it is closer to reality, and can accurately assess network security situation.

유.무선 환경에서의 게임명령 히스토리 재전송 기법 기반 실시간 네트워크 게임 시스템 (A Real Time Network Game System Based on Retransmission Mechanism of Game Command History on Wire/Wireless Environments)

  • 김성후;권영도;박규석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143-155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다중 플랫폼 기반 비디오 게임을 지원하기 위한 네트워크 게임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 시스템은 다수 사용자 게임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설계 하였으며, 실시간 네트워크 게임 진행시 발생되는 네트워크의 부하변동과 지연을 극복할 수 있도록 클라이언트의 초기지연 버퍼링 기법을 이용하여 안정적인 게임진행이 유지되도록 하였다. 또한, 게임 명령의 히스토리 기반 재전송 기법으로 UDP 통신 수단의 패킷 손실 또는 패킷 에러에 대한 단점을 보완하였다.

  • PDF

Virtools 엔진을 이용한 P2P 네트워크 접속 모듈 개발에 관한 사례 고찰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for P2P Network Connection Module by using Virtools Engine)

  • 채헌주;경병표;유석호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11-20
    • /
    • 2006
  • 네트워크 게임이나 온라인 게임을 개발하는 데 있어서 네트워크 관련 프로그래밍 기술은 필수적이다. 그러나 필요한 네트워크에 관련 전문적인 지식을 포함하여 네트워크 통신 관련 고급 프로그래밍 기술들을 습득하고 또 이를 구현해 내는 데에는 적지 않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노력과 시간을 줄일 수 있는 기술적 방법에 대한 것이다. 특히 Virtools 엔진의 서버 기술을 이용하여 P2P 방식의 네트워크 연결 모듈을개발해 봄으로써 개선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모바일게임의 상생형 네트워크 운영 플랫폼 구축에 관한 연구 (Establishment of Win-Win Network Operational Platform for Mobile Game)

  • 김성동;조데레샤;이승학;전기형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27-36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게임의 상생형 네트워크 운영 플랫폼을 제안한다. 논문에서 제안하는 서비스 구조의 특성은 모바일게임 산업에 접목하여 모바일 게임시장에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마케팅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산업 단지 내 모바일 게임개발사의 우수 게임 콘텐츠들이 사장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시장에 진입 할 수 있도록 지원 하는 우수한 기능을 지닌 G-크로스 네트워크 운영플랫폼을 제작하였다. 제안된 플랫폼 기술을 이용하면 상생형 네트워크를 통해 빠르게 배포되는 특성 구조와 아울러 새로운 게임이 상용화되어질 때 마다 다양한 데이터 지표 분석을 통하여 지속적인 타겟 마케팅을 지원할 수 있게 된다. 특히 G-Cross 마케팅전략은 주어진 게임 인프라를 활용해 사용자에게 새로운 게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각 게임사가 보유한 사용자층을 활용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저비용, 고효율 마케팅방법이라 판단된다.

클라이언트/서버 기반의 네트워크 게임 연구 (A Study on Network Game Based on Client/Server)

  • 변영기;이한권;김종겸;조태경
    • 전기학회논문지P
    • /
    • 제55권2호
    • /
    • pp.73-77
    • /
    • 2006
  • A server is simply a computer that is running software that enables it to serve specific requests from other computers, called 'clients.' Distributed systems are considered by some to be the 'next wave' of computing. A collection of probably heterogeneous distribution systems is transparent to the user so that the system appears as one local machine. This paper is going to search about whole of Client/Server distributed systems environment through network game. This paper presents game by one example of network game. The ladder game uses JAVA and embody to do random every time using Random function and remainder operation repeatedly. Analyze execution principle of network game through this tame and investigate about Client/Server's distributed environment through this.

액션 스크립트 기반의 소셜 네트워크 게임엔진의 개발 (Development of Social Network Game Engine based on ActionScript)

  • 우종우;김대령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125-134
    • /
    • 2012
  • 페이스북, 싸이월드 등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가 발전하면서, 이를 기반으로 하는 소셜 네트워크 게임, 소셜 커머스 등의 서비스도 활성화되고 있다. 특히, 소셜 네트워크 게임(Social Network Game: NG)은 기존 온라인 게임보다는 규모가 가볍고, 친구들끼리 쉽게 즐길 수 있다는 점에서 사람들에게 많은 호응을 얻고 있다. 이러한 소셜 네트워크 게임 시장 규모는 해가 지날수록 점점 커지고 있지만 게임 개발 측면에서는 아직 미흡한 부분이 많다. 특히, 현재 나온 대부분의 개발엔진들이 온라인 게임이나 콘솔 게임에 초점이 맞춰져 있고, 소셜 네트워크 게임의 특징에 적합한 전용 엔진이 거의 없는 상황이어서 소셜 네트워크 게임을 개발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엔진은 기존의 게임 엔진이 가지는 요소 및 특징뿐만 아니라 소셜 네트워크 게임의 특징을 고려하여 소셜 네트워크 게임 개발에 최적화하여 설계하였다. 또한 소셜 게임 장르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시뮬레이션 게임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맵과 캐릭터 애니메이션을 쉽게 구현할 수 있는 모듈과 툴을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 구현된 엔진은 이미지, 텍스트 및 캐릭터 출력 속도를 기준으로 성능을 평가하였고, 실험 결과 이미지, 텍스트 및 캐릭터 모두 게임을 구현하기에 충분히 빠른 출력 속도를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