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egative Parenting

검색결과 292건 처리시간 0.024초

부모 양육 태도가 중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기본심리 욕구의 매개효과 (Parenting Attitude and Over Dependence on Smart Phon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Mediating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 이현이;김영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62-74
    • /
    • 2018
  • 본 연구는 중학생이 인지한 부모 양육 태도와 기본심리 욕구가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과 기본심리 욕구의 매개 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한국정보화진흥원의 2017년 인터넷 스마트폰 과의존 장기 추적 조사 데이터 901명의 설문 자료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스마트폰 과의존은 기본심리 욕구의 자율성(r=-.22, p<.001), 유능성(r=-.13, p<.001)과 부모의 긍정적 양육 태도(r=-.21, p<.001)에서 부(-)적상관을 보였으며, 부정적 양육 태도(r=.15, p<.001)에서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부모 양육 태도와 기본심리 욕구는 스마트폰 과의존에 영향을 미친다. 긍정적 양육 태도는 자율성을 매개하여 스마트폰 과의 존을 낮춰주고, 부정적 양육 태도는 자율성을 매개하여 스마트폰 과의존을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학생의 스마트폰 과의존에 대한 사회적 관심 제고를 위한 국가적 정책 방향과 함께 자녀의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의 기본심리 욕구 충족을 위한 부모교육을 통해 스마트폰 과의존을 예방할 수 있는 개입 방안과 후속 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학부모의 양육스트레스가 아동학대인식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School Parents ′ Parenting Stress on the Child Abuse Awarenes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 이병록;황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1호
    • /
    • pp.535-542
    • /
    • 2018
  • 본 연구는 학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아동학대인식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의 A시에 거주하고 있는 학부모 38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자료를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SPSS 23.0과 AMO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적용한 매개효과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학부모의 아동학대인식에 대해 양육스트레스는 부적 방향으로, 자아존중감은 정적 방향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부모의 양육스트레스가 아동학대인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근거로 하여 학부모의 아동학대인식을 향상시켜 아동학대를 예방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학부모의 양육스트레스의 감소와 자아존중감을 증진시키는 프로그램을 아동학대예방 프로그램에 포함시키는 방법 등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학부모의 아동학대인식을 분석했다는 점에서 교육학적, 심리학적, 사회복지학적인 융복학적 접근이라는 점에서 그 의의를 둘 수 있다.

헬리콥터 양육에 대한 진화론적 개념분석 (An Evolutionary Concept Analysis of Helicopter Parenting)

  • 이용화;김지현;임소연;채명옥;이혜림;오진아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0권4호
    • /
    • pp.237-246
    • /
    • 2014
  • 목적 최근 들어 청소년기 후반부터 성인기 초기 자녀를 둔 부모들이 많이 보여주고 있는 헬리콥터 양육의 개념을 명확히 파악하고자 개념분석을 실시하였다. 기존의 양육방식과 구별되는 헬리콥터 양육의 속성을 추출하고,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게 된 선행요인과 그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사회문화적 동향에 발맞춘 간호지식 개발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Rodgers (2000)의 진화론적 방법에 따른 개념분석 연구이다. 결과 본 연구의 포함기준을 충족한 연구논문 12편의 분석결과 헬리콥터 양육의 세 가지 속성은 주위를 맴돌기, 깊이 개입하기, 대신 결정하기로 밝혀졌으며, 대체용어로는 블랙호크 양육, 벌새 양육, 호버크래프트 양육이 도출되었고, 관련개념으로는 스텔스기 양육과 가미카제 양육이 확인되었다. 결론 경제 불황 및 취업난, 청소년 대상의 강력범죄율 증가, 통신기술의 발달 등으로 인하여 헬리콥터 양육이 출현하였다. 헬리콥터 양육은 청소년 및 성인기 자녀에게는 독립 실패 및 자존감 저하, 불안, 우울, 강박증을 발현시키고 부모에게는 소진과 삶의 만족도 저하라는 면에서 부정적인 면이 있다. 하지만 부모와 자녀 간의 정서적, 심리적 밀착으로 인한 안정감, 경제적 도움 등의 긍정적인 면도 있다. 따라서 부정적인 영향은 감소시키고 긍정적 효과를 유도할 수 있는 중재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걸음마기 영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영아의 어휘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Effects of Toddler's Temperament and Mother's Parenting Behavior on the Development of Vocabulary Ability)

  • 김기철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1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걸음마기 영아의 기질과 어머니 양육행동이 영아의 어휘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 I시에 위치한 47개 어린이집의 18~24개월 영아 299명과 어머니이다. 연구결과 첫째, 영아의 기질과 어휘력의 관계를 기질의 구성차원별로 살펴보면, 접근-회피와 적응성, 기분은 이해 및 표현어휘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반응강도는 이해어휘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어휘력의 관계를 어머니 양육행동의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교수적 양육행동과 긍정한계선 설정 양육행동은 이해 및 표현어휘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영아의 어휘력 발달에 대한 영아의 기질과 어머니 양육행동을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이해어휘에 대해서는 접근-회피의 설명력이 가장 높았고, 다음은 교수적 양육행동, 반응강도, 기분의 순으로 설명력이 나타났다. 표현어휘에 대해서는 교수적 양육행동의 설명력이 가장 높았고, 기분, 반응강도, 활동성 순으로 설명력이 나타났다. 영아 어휘력 발달에 있어서 이해어휘는 영아의 기질인 접근-회피가, 표현어휘는 어머니 양육행동인 교수적 양육행동의 영향력이 가장 큰 변임임이 밝혀져, 어머니는 영아의 이해어휘 발달을 위해 기질에 적합한 상호작용과 표현어휘 발달을 위해 사물과 사건의 특성에 대해 말로 표현해 주는 양육행동을 하여야겠다.

조손가족 조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 간 사회적 지지와 대처행동의 조절효과 (A Study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Stress Coping Behaviors in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of Grandparents of Grandparents and Grandchildren Family)

  • 송유미;이선자
    • 한국노년학
    • /
    • 제31권3호
    • /
    • pp.795-811
    • /
    • 2011
  • 최근 양육스트레스에 따른 조손가족 조부모의 우울이 높아지면서 조부모의 양육스트레스를 조절하기 위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조손가족 조부모의 양육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사회적 지지와 대처행동을 조절변수로 설정하여 이들의 조절효과를 파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전국 조손가족 중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조부모 369명을 대상으로 조사했고, 그 중 334명의 조사결과를 토대로 SPSS 19.0 프로그램을 활용한 위계적 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한 다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육스트레스, 우울, 사회적 지지, 그리고 대처행동 간에 양육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우울이 높고,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양육스트레스가 낮은 관계가 있었다. 또 양육스트레스가 높을수록 대처행동 중 신앙의 의지, 부정적 감정표출, 수동적 회피의 정도가 높은 관계가 있었고, 문제 재정립은 낮은 관계가 있었다. 둘째, 사회적 지지 중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는 양육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평가적 지지는 양육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데는 효과가 없었다. 셋째, 대처행동 중 신앙의지, 낮은 수동적 회피는 양육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문제 재정립은 양육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데는 효과가 없었다. 한편, 감정표출은 양육스트레스와의 상호작용에서 조절효과를 설명하는데 무의미한 결과가 나왔다. 이를 통해 조손가족 조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 간 사회적 지지와 대처행동의 조절효과를 높일 수 있는 사회복지실천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청소년의 컴퓨터 및 인터넷 이용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양육방식과 또래애착의 조절효과 (The Effect of Digital Technologies on Adolescent Mental Health: The Role of Parenting Style and Peer Attachment)

  • 박재영;한치훈;오주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8호
    • /
    • pp.1-13
    • /
    • 2019
  • 청소년의 인터넷 이용과 정신건강 간의 관계를 살펴본 연구가 다수 존재한다. 하지만, 대다수가 인터넷 사용시간에 초점을 맞춘 횡단면 분석이며, 정신건강의 단편적인 측면, 즉, 우울만 고려했다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이에 본 연구는 컴퓨터 및 인터넷 이용행태가 청소년 정신건강의 다양한 측면 (주의산만, 공격성,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또한, 이러한 영향이 양육방식과 또래애착에 따라 달라지는지 살펴보았다. 한국아동 청소년패널데이터의 중학교 1학년 패널 6차와 7차 자료를 활용하여 종단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습 목적의 컴퓨터 및 인터넷 사용은 정신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컴퓨터 게임과 소셜 미디어 이용은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학습이 우울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은 부모의 애정을 낮게 느끼는 경우 영향력이 더 강하게 나타났다. 한편, 소셜 미디어의 부정적인 영향은 부모의 애정과 또래애착에 의해 완화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컴퓨터 및 인터넷 이용의 양면성을 제시하며, 이에 따른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취업모의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요인분석 (The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in Working Mothers)

  • 박기순;박소영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185-194
    • /
    • 2019
  • 취업모의 우울감에 대한 연구목적은 사회적 지지와 양육스트레스 및 주관적 행복감 변인들이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취업모의 우울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 그들의 우울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대안점을 살펴보고자 하며, 이를 토대로 실천적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취업모의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어떤 변수들이 존재하는지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1단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인 친가 지지는 우울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단계에서 양육스트레스는 취업모의 우울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3단계에서 주관적 행복감은 취업모의 우울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취업모의 사회적 지지, 양육스트레스, 주관적 행복감과 같은 변수들의 관계를 밝히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취업모의 우울감을 낮출 수 있는 시사점을 논하였다.

양친이 안계신 가정 아동의 정서${\cdot}$행동문제에 대한 연구 -사회인구학적 변인 및 양육자의 양육태도를 중심으로 - (Emotional & Behavioral Problems in Children from Broken Families)

  • 이은경;박성연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2권12호
    • /
    • pp.191-204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children from broken famili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00(100girls, 100boys) 5th and 6th grade children from P city in Kyuug-gi area.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 from broken families showed some behavior problems such as aggressiveness, anxiety, developmental disorder, absences from school, bad-habits and attention-seeking behaviors. The parenting behaviors of broken families were characterized as negative, rejective, and inconsistent behaviors. Second,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children from broken families varied as a function of child sex, care giver, reason of loss and parenting.

아동, 가족 및 모의 특성에 따른 어머니의 귀인성향과 양육행동 (A Study on Maternal Attribution and Parenting Behaviors)

  • 박경란;장현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43-156
    • /
    • 1999
  • This study examined the role of maternal attribution in Parenting behaviors. Using an attributional model, it assessed whether maternal attributions about children's knowledge, capacity, expectation, and responsibility for behavior problems have effects on maternal behaviors of affect and authoritarian control. The sample consisted of 297 mothers who have first-and forth-grade children.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matemal attribution about children’s knowledge for misconduct had positive influence on maternal affect and negative influence on authoritarian control behaviors, and that maternal attribution of expectation negatively influenced the behaviors of authoritarian control. In addition, such background factors as child age, gender, family income, family type, maternal education, and self-esteem were significant predictors for maternal attributions. In regard of mothering behaviors, child age, maternal age, and self-esteem were related to maternal affect, while family type and maternal self-esteem were related to authoritarian control. The findings suggest the importance of matemal attributions in parenting for better child development.

  • PDF

유아의 교육기관 부적응행동에 대한 유아 및 어머니 변인간의 상호작용 효과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Maternal Variables on Children's Maladjustment Capacity)

  • 서소정;하지영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73-86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sonal traits of children's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ose of mothers' on the children's maladjustment behaviors. The study subjects were 345 preschooler-mother pairs. Results revealed that boys exhibited more maladjustment behaviors than girls, as expected. The results of a three way ANOVA analyses indicated that the multiple interactive factors of the children's temperament, cognitive outcomes, and parenting attitudes significantly affected the children's maladjustment behaviors. This trend was only representative across the sample of boys. In this study, the interaction effects of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and the children's lower levels of cognitive development on the children's maladjustment capacity were accentuated among boys with temperamental vulner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