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손가족 조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 간 사회적 지지와 대처행동의 조절효과

A Study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Stress Coping Behaviors in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of Grandparents of Grandparents and Grandchildren Family

  • 송유미 (대구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이선자 (한국복지사이버대학 청소년보호학과)
  • 투고 : 2011.04.30
  • 심사 : 2011.08.26
  • 발행 : 2011.08.30

초록

최근 양육스트레스에 따른 조손가족 조부모의 우울이 높아지면서 조부모의 양육스트레스를 조절하기 위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조손가족 조부모의 양육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사회적 지지와 대처행동을 조절변수로 설정하여 이들의 조절효과를 파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전국 조손가족 중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조부모 369명을 대상으로 조사했고, 그 중 334명의 조사결과를 토대로 SPSS 19.0 프로그램을 활용한 위계적 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한 다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육스트레스, 우울, 사회적 지지, 그리고 대처행동 간에 양육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우울이 높고,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양육스트레스가 낮은 관계가 있었다. 또 양육스트레스가 높을수록 대처행동 중 신앙의 의지, 부정적 감정표출, 수동적 회피의 정도가 높은 관계가 있었고, 문제 재정립은 낮은 관계가 있었다. 둘째, 사회적 지지 중 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는 양육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평가적 지지는 양육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데는 효과가 없었다. 셋째, 대처행동 중 신앙의지, 낮은 수동적 회피는 양육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문제 재정립은 양육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데는 효과가 없었다. 한편, 감정표출은 양육스트레스와의 상호작용에서 조절효과를 설명하는데 무의미한 결과가 나왔다. 이를 통해 조손가족 조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 간 사회적 지지와 대처행동의 조절효과를 높일 수 있는 사회복지실천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Recently, an interest on how to moderate parenting stress of grandparents is rising according to rising depression of grandparents of grandparents and grandchildren family(GGF) because of parenting stress So, this study tried to analyze moderating effects by setting social support and stress coping behaviors as moderator variable in order to know how much parenting stress of grandparents would influence their depression. For this purpose, we selected 369 cases of grandparents who were being provided social welfare service and to 334 cases out of them, did multigroup analysis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under spss Vor. 19.0 program. Followings are the results. First, the more parenting stress was high, the more depression high. But when social support was high, parenting stress low. And the more parenting stress was high, faith dependence,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and passive evasion as stress coping behaviors also high while problem reestablishment low. Second, emotional support, information support, and material support as social support had moderating effects in which parenting stress influenced depression while appraisal support had not. Third, faith dependence and low passive evasion as stress coping behaviors had moderating effects in influence of parenting stress to depression while problem reestablishment has not. On the one hand, emotional expression was meaningless in explaining moderating effects in connection with parenting stress. Through these, we draw a social welfare practical implication that could lift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stress coping behavior in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depression of grandparents of grandparents and grandchildren Famil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