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Emotional & Behavioral Problems in Children from Broken Families  

Lee Eun Gyoung (Dept. of Home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Ewha Womans Univ.)
Park Sung Yun (Dept. of Consumer Science & Human Development, Ewha Womans Univ.)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v.42, no.12, 2004 , pp. 191-204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children from broken famili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00(100girls, 100boys) 5th and 6th grade children from P city in Kyuug-gi area.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 from broken families showed some behavior problems such as aggressiveness, anxiety, developmental disorder, absences from school, bad-habits and attention-seeking behaviors. The parenting behaviors of broken families were characterized as negative, rejective, and inconsistent behaviors. Second,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children from broken families varied as a function of child sex, care giver, reason of loss and parenting.
Keywords
Broken Families; Emotional & Behavioral Problems; Parenting Behavior;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김경희, 황혜정(1998). 저소득층 아동의 정서 . 행동 문제와 부모의 자녀 양육 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 11 (1), 12-26
2 김미영(1989). 결손가정 학생과 정상가정 학생간의 합리적 신념의 차이.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수길(1970). 한국 소년범죄의 사회요인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정호(2002). 결손가정 아동의 학습활동에 대한 문화적 기술 연구.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박민선(1999). 경제 불황에 따른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적응.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보건복지부(2002). 보건복지통계연보
7 장병림(1984). 아동심리학. 서울: 법문사
8 정현숙(1997). 편모의 부모역할 수행과 관련 변인. 학생생활연구, 10, 47-61
9 조흥식, 김인숙, 김혜란, 김혜련, 신은주(1997). 가족복지학. 서울: 학지사
10 허인영(1999). 빈곤 결손 가정 아동의 부적응 행동에 대한 연구: 가출 부모를 가진 아동에 대하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Amato, P. R., & Booth, A. (1991). The consequence of divorce for attitudes toward divorce and gender role. Journal of Child Family Issue, 12(3), 306-322   DOI
12 Hurlock, E. B. (1972). Child development. N.Y : McGraw-Hill
13 Rutter, M. (1967). A children's behaviour questionnaire for completion by teachers.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8, 1-11   DOI   PUBMED
14 박수정(1998). 부모의 양육태도와 정서적 부적응 행동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Russel, G. (1978). The father role and its relation to masculinity femininity and androgyny. Child Development, 49, 1174-1181   DOI   ScienceOn
16 Wallerstein, J. S., & Kelly, J. B. (1980). Surviving the break-up: How children and parents cope with divorce. London: Grant Mclntyre
17 Perterson J. L., & Zill, N. (1986) Marital disruption, parent-child relationships and behavior problems in children.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8, 295-307   DOI   ScienceOn
18 최선애(1984). 부모의 부재가 정서 불안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Webster-Stratton, C., & Herbert, M. (1994). Troubled Families-Problem Children: Working with Parents: A collaboraive. Process. Chichester: John Wiley & Sons
20 김경중(1983). 부친 부재와 자녀의 인성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1 천성렬(2001). 결손가정 아동과 정상가정 아동의 성격 특성 비교 연구.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성정현(1998). 성역할 태도와 이혼 여성의 적응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3 유안진, 서봉연(1982). 인간발달.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4 Siomns, R., Lorenz, F., & Conger, R. (1990). Husband and wife differences in determinants of parenting: A social learning and exchange model of parental behavior.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2, 375-392   DOI   ScienceOn
25 통계청(2002). 인구동태통계연보
26 박명숙(1996). 결손가정 아동의 정서 교육에 관한 고찰: 이혼 가정을 중심으로. 강남대학교 인문과학논집, 2, 283-310
27 임영희(2002). 아동의 정서발달 프로그램을 통한 결손가정 아동의 정의적 성적 및 학업성취도의 변화.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Kitson, G, C,. & Morgan, L, A. (1990). The multiple consequences of divorc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2, 913-924   DOI   ScienceOn
29 김순애(1987). 결손가정 아동의 성격 특성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Hetherington, E, M. (1972). Effect of father absence on personality development in adolescent daughter. Developmental Psychology, 7(2), 313-326   DOI
31 Krein, S. F., & Beller, A. H. (1988). Educational of children from single-parent families: Differences by exposure, gender and race. Demography, 55, 221-224   DOI
32 Downey, D., & Powell, B. (1993). Do children in single-parent households fare better living with same-sex parents. Journal of Child Family Issue, 55, 55-71
33 황혜정(1997). 우리나라 초등학교 아동을 대상으로 한 아동행동목표(CBQ)의 사용에 관한 연구. 초등교육연구, 11, 91-113
34 김호연(1995). 결손가정과 정상가정 자녀의 성격 특성 비교 연구.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유영주(1987). 신가족관계학. 서울: 법문사
36 Bank, L., Forgatch, M. S., Patterson, G. R., & Fetrow, R. A. (1993). Parenting practices of single mother: Mediators of negative contextual factor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5(2), 137-151   DOI   ScienceOn
37 Downey, D. (1994). The school performance of children from single-mother & single father families. Journal of Child Family Issue, 15(1), 129-147   DOI
38 Hetherington, E, M. (1982). Effects of parents and children : Nontraditional families Parenting and child development In Michael, L.(Ed), Hillsdale, NY : Lawrence Erlbaum
39 정원식, 이상노, 이성진(1984). 현대교육심리학. 서울: 교육출판사
40 조명옥(2002). 정상가정 아동과 결손가정 아동의 성격 요인 및 정서 요인 비교.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McLanahan, S., & Bumpass, L. (1988). Intergenerational consequences of family disruption.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4, 130-152   DOI   ScienceOn
42 Santrock (1972). Relation of type and on set of father absence to cognitive. Development Child, 43, 455-469   DOI   ScienceOn
43 Radine, H. (1976). The role of the father cognitive, academic & intellectual development. The Role of the father in child development. In M. E. Lamb(Ed.), N.Y : Wiley & sons
44 최은정(1999). 이혼 시 모의 자녀양육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5 Siomns, R., Lorenz, F., & Wu, C. (1993). Social network and marital support as mediators and moderators of the impact of stress and depression on parental behavior. Developmental Psychology, 29(2), 368-381   DOI   ScienceOn
46 Weiss, R. S. (1979). Growing up a little faster: The experience of growing up in a single-parent household. Journal of Social Issues, 35, 97-111   DOI
47 성보옥(1998). 일반가정 자녀와 결손가정 자녀의 정서문제 비교 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