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vigation and Communication Equipment

검색결과 136건 처리시간 0.023초

Digital-HF를 이용한 선박 안전 시스템 (Ship safety system using Digital-HF)

  • 최성철;소지은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5-28
    • /
    • 2019
  •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해상통신 시스템 또한 안전성, 효율성, 정확성 그리고 보안을 목적으로 하는 항해 및 통신 장비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100km 초과 원거리 조업 어선에 대해서 위치파악 및 선박상태 등 어선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Digital-HF 통신 시스템을 통한 원거리 선박 안전을 위하여 최적주파수를 선택하고 이 주파수를 이용하여 선박 위치 확인이 가능하도록 한다.

  • PDF

범용 선박신호연동장치의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Multipurpose Ship's Interface Unit)

  • 정태권;박수한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463-470
    • /
    • 2007
  • 항해 기관정보를 제공하는 각 장비들의 출력신호의 형태는 각기 달라 "선박종합정보시스템" 상에서 정보들을 읽고 기록하기 위해서는 각 장비들로부터의 선호와 데이터 프로토콜을 분석하여 표준 디지털 신호로 변환 처리한 후 이미 설계 개발한 "선박종합통신망"을 통하여 각 클라이언트로 전송해 주어야 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선박의 각종 항해 기관장비와 선박종합정보시스템 사이에 필요한 시리얼 통신기술을 이용하고 이들 장비의 신호를 분석하여 선박신호 연동장치를 개발하고 이를 실선에 탑재하여 그 활용 여부를 실험하였다.

여객선 센서 및 장비 정보 전송을 위한 ASM 설계 (Design of the protocol for reporting sensor data on passenger ship)

  • 김길용;조기정;이서정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2-63
    • /
    • 2016
  • 여객선에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와 장비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센서와 장비로부터 수집되는 데이터는 여객선의 안전운항 분석을 위해 육상 시스템과 연계가 필요하지만 선박이 LTE 통신을 이용하지 못하는 지역을 운항할 경우 AIS, 위성, MF/HF 등과 같이 다른 대체 통신망을 이용한 정보 전송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AIS 통신을 이용한 센서정보 전송을 위해 여객선에서 수집되는 센서 데이터의 프로토콜과 종류를 조사하고 선박 센서보고용 ASM 메시지를 설계하였다.

  • PDF

유비쿼터스 환경을 위한 SCORM 기반의 학습지원 프레임워크 (The SCORM Based Learning Support Framework for Ubiquitous Environment)

  • 정화영;홍봉화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661-667
    • /
    • 2010
  • 많은 기존의 E-러닝은 SCORM과 LMS를 연동하고 있다. 또한 U-러닝은 E-러닝의 하나의 트랜드로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U-러닝에서 기존의 SCORM과 LMS를 연동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매우 미흡하게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SCORM과 LMS를 연동한 U-러닝 프레임워크를 제안하고자 한다. U-러닝에서 사용하는 각기 다른 모바일 기기의 특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모바일 기기 변환모듈과 학습객체 재구성 모듈을 이용하였다. 특히 모바일 기기 정보는 모바일 기기 메타데이터를 사용하여 저장하고 관리하였다.

406MHz 위성 EPIRB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406MHz Satellite Emergency Position-Idicating Radio Beacons(EPIRBs))

  • 배정철;홍창희
    • 한국항해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85-95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reserch is the development of 406MHz satellite EPIRB terminals which is used on Cospas/Sarsat system. This equipment is essencial facility in all vessel due to should be equipped according to GMDSS. This 406MHz satellite EPIRB needs high technology of complicated. Because, this is designed to operate stably with ultra-stability oscillator and with the low power consumption so that can operate continually for 48 hours by the contained battery. The development of this equipment is significant in the sides of acquirement of new technology on satellite communication fields. In this research, we investigated the international and domestic regulations of needed. Because this equipment is international system concerned with life of man. So, we designed the adequate hardwares and softwares from this research. From this research, we developed the equipment with appopriate capability for productions, and much more research is needed to develop the more small size more chip one for production.

  • PDF

상용차 자율협력주행 플랫폼 평가를 위한 V2X 기반 평가환경 개발 (Evaluation Environment based on V2X Communication for Commercial Vehicle Cooperative Autonomous Driving)

  • 정한균;진성근;곽재민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450-455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V2X 통신 기반의 상용차 자율협력주행 플랫폼 평가환경 구축 연구의 내용을 소개한다. V2X 통신 기반의 자율협력주행 플랫폼 평가를 위해서는 다양한 주행 시나리오를 적용할 수 있는 도로 및 V2X 인프라 등의 테스트베드 구축과 함께 시험평가를 위한 각종 제반 규격 및 표준, 지침 등이 개발되어 피시험자에게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이를 기반으로 실제 시험평가를 진행할 수 있는 각종 레퍼런스 장비와 시험장비 등이 개발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V2X 통신 기반 상용차 자율협력주행 플랫폼 평가환경을 구성하기 위해 개발된 다양한 기술과 규격, 장비 그리고 구축 인프라를 소개한다.

E-Navigation의 국제동향과 구현방향 (An International Trend for an E-Navigation and Its Implementation Plan)

  • 서기열;오세웅;조득재;박상현;서상현;정중식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2126-2131
    • /
    • 2006
  • 국제해사기구((IMO)는 새로운 기술의 사용과 다양한 전자항해통신기술 및 서비스를 안전하게 활용하기 위한 폭넓은 전략적 비전을 개발하고 있다. 또한 정확성, 보안, 비용 효율성 등을 위하여 모든 선박을 대상으로 하는 국제적 커버리지 제공이 가능한 시스템을 개발하려고 한다. 그러나 이 새로운 전략적 비전의 수행을 위해서는 기존의 해도, 선교 디스플레이, 전자 항해기기, 통신시스템과 연안 인프라 등의 운영 방식과 항해수단에 대한 수정 및 보완이 절실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E-Navigation의 국제적 동향을 살펴보고, E-Navigation 개발을 위한 환경 분석을 기초로 하여 향후 E-Navigation을 구현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한다.

항공용 인터콤의 백업 모드 운용을 위한 디지털 방식의 이중화 설계 (The Digital Redundancy Design for Back-up Mode Operation of Aviation Intercom)

  • 정성재;조경학;김동혁;이성우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6권5호
    • /
    • pp.358-364
    • /
    • 2022
  • 항공용 인터콤 시스템은 정/부조종사 간 내부 통화 및 조종사와 승무원 간 내부 통화, 초고주파 무전기(U/VHF)와 같은 통신 장비를 통한 외부 통화, 초단파전방향거리탐지기/계기착륙장치(VOR/ILS), 전술 항법 장치(TACAN)와 같은 항법 및 임무 장비 오디오 신호 모니터링, 비행 데이터기록장치(FDR) 및 자료전송 시스템(DTS)으로의 음성 녹음용 오디오 신호 출력, 항공기의 상태와 위협 등에 대한 오디오 경고음/경고 음성 발생 등 항공기 내의 모든 음성 신호에 대한 처리를 담당하는 장비이다. 이러한 항공용 인터콤은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경우 노이즈에 민감하기 때문에 조종사 및 승무원의 임무 수행을 위해 항공기 내/외부의 전자파 노이즈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보호할 수 있는 이중화 설계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항공용 디지털 인터콤의 이중화를 위한 정상/백업 운용모드 및 디지털 방식의 이중화 설계 방안과 제작 및 검증 결과에 대하여 기술한다.

공장자동화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의 무선화를 위한 IEEE 802.15.4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EEE 802.15.4 for wireless Communication of Data in the Factory Automation System)

  • 이혜림;문일영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238-243
    • /
    • 2009
  • 현재 공장의 생산 시스템의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데이터 송수신은 대부분 유선 통신망을 이용한 자동화 시스템으로 이루어져있다. 유선 통신망을 이용한 시스템인 생산 설비 기기 및 검사 장비는 교체시 많은 시간적, 경제적 비용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공정 과정에서 상이한 장비의 관리 및 제어를 위한 유지, 보수비용이 발생하고 있으며, 장비의 노후 및 신기술이 적용된 장비로의 교체 시 이 기종 간의 통신망 혼재로 생산 라인의 일시적 중단 및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산업용 장비들 간의 무선 통신을 통하여 해결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저비용의 신뢰성 있는 통신 방식인 IEEE 802.15.4 기술을 적용하여 공간적 복잡도를 해결하고, 서로 다른 장비간의 유선 통신망을 무선으로 전환하였을 때, 얼마나 좋은 성능을 나타내는지 분석하였다.

  • PDF

디지털 해상통신시스템 환경에서 자율운항선박 운용 지원을 위한 네트워크 보안장비 개발 기초연구 (A Basic Study on the Development of Network Security Equipment to Support MASS Operation in Digital Maritime-Communication System Environment)

  • 유윤자;박상원;정진혁;곽권구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72-73
    • /
    • 2021
  • 자율운항선박(MASS, Maritime Autonomous Surface Ship) 도입을 위한 국제해사기구의 논의가 본격화됨에 따라 국제항로표지협회 제27차 이네비게이션(ENAV) 위원회 워킹그룹(WG2)에서 MASS 운영지원을 위한 시스템 개발시 사이버보안(사이버 위험관리) 측면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도록 하는 논의가 진행되었다. 우리나라는 2020년 자율운항선박 기술개발사업을 착수하였으며, 2021년부터 사이버보안 기술개발을 위한 세부과제를 추진 중에 있다. 디지털 해상통신시스템 환경에서의 MASS 운용은 기존 해상통신환경에서는 고려되지 않았던 다양한 디지털 장비들의 네트워크 보안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보안 기술개발 세부과제에서 수행중인 MASS 운용 지원을 위한 네트워크 보안장비 기본 개념을 소개하고, 기초단계에서의 MASS 선박 적용을 위한 네트워크 보안장비 인터페이스를 정의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