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Naturalized plant species

검색결과 466건 처리시간 0.024초

한국 미기록 귀화식물: 민털비름(비름과) (A newly naturalized species in Korea: Amaranthus powellii S. Watson (Amaranthaceae))

  • 박용호;박수현;유기억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32-135
    • /
    • 2014
  • 한반도 미기록 귀화식물인 민털비름(Amaranthus powellii S. Watson)을 경기도 의정부시 자일동에서 발견하였다. 본 종은 미국 남서부와 멕시코 북부 원산으로 현재 전세계 온대지역에 널리 귀화된 상태이다. 본 종은 근연분류군인 가는털비름(A. patulus Bertol.)과 긴털비름(A. hybridus L.)에 비해 잎은 넓은 침형, 능형 또는 피침형으로 화피편의 길이가 서로 다르고 뚜렷한 녹색의 중앙맥이 없으며 열매가 주두쪽으로 올라가면서 서서히 좁아지는 특징으로 구별된다. 국명은 가는털비름, 긴털비름, 털비름(A. retroflexus L.)과 유사하나 줄기와 잎에 털이 현저히 적은 특징을 바탕으로 '민털비름'이라 하였다. 본 분류군의 외부형태적 특징에 대한 기재, 사진, 도해 그리고 근연분류군과의 검색표 등을 제시하였다.

한국 미기록 귀화식물: 가는끈끈이장구채(석죽과) (Newly Recorded Naturalized Species in Korea, Silene antirrhina L. (Caryophyllaceae))

  • 박규진;고재기;박재홍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71-174
    • /
    • 2011
  • 대구광역시에 위치한 금호강 강변에서 발견된 석죽과의 Silene antirrhina L.를 한반도 미기록종으로 확인하여 보고한다. 본 종은 속 내의 근연종인 끈끈이장구채(S. koreana Kom.) 및 끈끈이대나물(S. armeria L.)과 같이 선점이 있으나 개화시 수술이 꽃받침 밖으로 외출하지 않고, 종자의 표면이 유두상 돌기인 점에서 근연종과 뚜렷이 구분된다. 국명은 식물체가 소형이고 전체적으로 가는 점을 고려하여 '가는끈끈이장구채'로 명명하였으며, 생태사진과 주요 형질에 대한 기재 및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남한강 비내늪의 공사전후 관속식물상과 생태적 특성 (Flora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Before and After Construction of the Binae Marsh, Namhan River)

  • 유주한;안영섭;이철희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61-80
    • /
    • 2012
  • This study is to offer the basic data for restoration and conservation of wetland ecosystem by surveying and analysing the flora distributed in the Binae marsh, Namhan River, Chungju-si. The flora in the Binae marsh were verified 204 taxa including 48 families, 152 genera, 179 species, 23 varieties and 2 forms. In flora, pteridophyta were 2 taxa including 1 family, 1 genus and 2 species, among angiospermae, dicotyledonae were 153 taxa including 37 families, 110 genera, 138 species, 13 varieties and 2 forms and monocotyledonae were 49 taxa including 10 families, 41 genera, 39 species and 10 varieties. In the result of classifying the life form of flora, megaphanerophytes (M), nanophanerophytes (N) and chamaiphytes (Ch) were each 9 taxa (4.4%), 37 taxa (18.1%) of hemicryptophytes (H), 19 taxa (9.3%) of geophytes (G), 97 taxa (47.6%) of therophytes (Th) and 24 taxa (11.8%) of hydrophytes (HH). The rare plant designated by Korea Forest Service was 1 taxa (Aristolochia contorta), and the endemic plant was 1 taxa (Salix koriyanagi) too.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6 taxa. From among these, the species of degree I were 5 taxa including Salix chaenomeloides, Aristolochia contorta, Artemisia selengensis, Cirsium pendulum and Vallisneria natans, and degree III was 1 taxa including Alisma orientale. The naturalized plants were 45 taxa and the invasive alien plants were 3 taxa including Sicyos angulatus, Ambrosia artemisiifolia and Ambrosia trifida. The naturalized index (NI) was about 22.1%, 16.1% of urbanized index (UI) and 27.3% of disturbed index (DI). The extinct species by construction were 17 taxa including Persicaria sagittata, Typha orientalis, Zizania latifolia and so forth. The new-occured species were 14 taxa including Brassica juncea, Thlaspi arvense, Carduus crispus and so forth. The important species among the extinct species were Aristolochia contorta, Alisma orientale and Vallisneria natans.

경주국립공원 문화재지정구역의 귀화식물 현황 및 관리방안 (Status and Management Proposal of Naturalized Plant Species within the Cultural Treasury Area in Gyeongju National Park, Korea)

  • 윤정원;신현탁;이명훈;김기송;성정원;박기환;이창현;김용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550-558
    • /
    • 2012
  • 경주국립공원 문화재지정구역에 분포하는 귀화식물은 총 14과 40속 45종 1변종 등 총 46분류군을 확인하였다. 귀화식물을 유형별로 구별해보면, 생활형은 1년생 초본이 17분류군(37%)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년생 초본이 16분류군(34.8%), 2년생 초본이 11분류군(23.9%), 목본이 2분류군(4.3%)로 나타났다. 원산지별로는 유럽이 17분류군(37%)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북아메리카에서 이입된 종이 16분류군(34.8%)으로 나타났다. 또한 귀화도는 3등급이 18분류군(40.9%)으로 가장 높다. 귀화식물 321분류군에 대한 본 연구대상지의 도시화지수는 14.3%이며, 지구별 도시화 지수는 남산지구가 8.1%로 가장 높다. 경주국립공원은 사적형 공원으로 문화재가 매우 중요하나, 문화재 주변의 식재 및 관리 또한 중요하다. 따라서 귀화식물의 경우 장기적인 모니터링과 생태적인 특성을 파악하여 체계적인 관리방안이 요구된다.

공원녹지내 사화직물 출현실태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ccurrance real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urban green space)

  • 노재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66-77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on identifying real condi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urban green space. For this, Chollabak-do region was selected for case study. The occurring frequency and distribution status was investigated by field survey. The area of green open space, level of management and passed years after construction etc, were analized to identify the influence on occurrence of naturalized plants. The result is as follows: 1. In 18 sites, 145 taxa as weed species including naturalized plants were occurred. Average No. of occurring taxa is 22.7. Two families of plants, Graminae and compositae charged the most part. Also the rate of naturalized plant among them is 29.7%. 2. Naturalized species showing high occurring rate are 14 taxa of compositae, 5 taxa of Gramineae, Leguminosae and 4 taxa of cruciferae. These plants of previous four somatic polymorphism among all the naturalized plants. 3. The taxa number of naturalized plants were reducedby intensive management. But the rate of naturalized plants in extensively managed area was relatively lower than intensively managed one. Naturalizd plants were widely distributed in most of urban green space with being cognitioned as whole weed. 4. In origin of naturalized plants, the taxa from north America were 16 and the taxa from Europe were 16. Therefore the rate originated from north America and Europe charged high part as 68.2%. The rate of Annual, Biennial and Perennial were each 78.7%, 21.3%. The alternative of management for control aganist disturbance by Annual & Biennial required. 5. Multi-relations analysis shows 0.81 which is the relatively high interralation between the number of emerged axa and that of naturalized ones. 6. The number of naturalized species has no relation to the lapse of years after construction of open-space. Especially it was identified that weed control in the beginning of construction is very important. On the other hand the relation between Ys and Xp was Ys=1.784Xp+4.646.

  • PDF

전라도 귀화식물의 현황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 in Jeolla-do)

  • 김덕기;류태복;이창우;최동희;김남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99-409
    • /
    • 2017
  • 귀화식물의 급속한 증가는 지역 생태계 교란의 원인이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전라도 지역에 분포하는 귀화식물상을 밝히는 것이다. 2016년 현장조사를 통해 830개 지점이 조사되었다. 조사결과 38과 116속 6변종 2품종 181종 총 189분류군의 귀화식물이 확인되었다. 생태특성 분석결과 국화과가 47분류군으로 높은 수를 차지하며 벼과 32분류군, 콩과 19분류군 순으로 밝혀졌다. 원산지별 분석결과 유럽원산 75분류군, 북아메리카 59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전라도 지역에서 나주시가 77분류군으로 가장 많은 귀화식물이 생육하며, 목포시 영광군 순으로 밝혀졌다. 선행문헌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37분류군(전라남도), 30분류군(전라북도)이 본 연구를 통해 새롭게 확인되었다. 선행문헌분석결과 귀화식물 정의에 부합되지 못하는 문제종들이 포함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농경지 유형에 따른 경기, 충청지역 귀화식물의 출현 양상 (Occurrence Patterns of Naturalized Plants by Agricultural Types in the Gyeonggi and Chungcheong Provinces, South Korea)

  • 양동우;이은정;정선아;우아영;남기정;한동욱;김명현;박상규
    • 생태와환경
    • /
    • 제50권2호
    • /
    • pp.254-265
    • /
    • 2017
  • 본 연구는 중부지역 (경기도, 충청도) 농업생태계에 출현하는 귀화식물의 출현 양상을 파악하고자 2013년부터 2015년까지 농경지 유형별(밭, 과수원, 논)로 연 2회 식물상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중부지역 농경지에 출현하는 식물은 77과 251속 420종이었으며, 그중 귀화식물은 18.3%인 20과 54속 77종이었다. 농경지 유형별로 자생식물과 귀화식물의 종 분포 양상은 모두 차이를 보였다. 귀화식물의 분포지역은 점점 넓어지고 있으며 확산 가능성이 높은 유럽점나도나물, 미국가막사리, 봄망초 등에 대한 주의가 요망된다. 농경지 유형별 평균 귀화율은 밭 (25.1%), 과수원(23.0%), 논(16.1%) 순이었으며 귀화식물 종수는 과수원(21.8종), 밭(16.6종), 논(10.3종) 순으로 나타났다. 귀화식물의 출현은 농경지의 환경요인과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농경지 유형별로 차이를 나타냈다. 귀화식물 종수는 과수원의 면적이 넓을수록 증가하며, 생태면적률이 높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밭에서 자생식물 종수가 증가하면 귀화식물 종수도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국내 농업생태계에 출현하는 귀화식물의 분포 및 확산 관리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마이산도립공원의 관속식물 분포 및 관리방안 (Distribution and Management plan of Vascular Plants in Maisan Provincial Park)

  • 서주현;박준모;이창헌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5-66
    • /
    • 2024
  • This study aims to examine and analyze the diverse vascular plants in Maisan Provincial Park, with the objective of establishing fundamental data for the systematic preservation and efficient management of plant resources. A total of 23 field surveys were conducted from February 2022 to March 2023, and a total of 733 taxa were identified, including 120 families, 410 genera, 644 species, 17 subspecies, 52 varieties, 13 formas, 2 cultivars, and 5 hybrids. Among the surveyed taxa, 20 taxa were identified as rare plants designated by the Korea Forest Service. Additionally, one taxa of Cyrtosia septentrionalis, a grade II endangered species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was recognized. There were 26 taxa categorized as Korean endemic plants, and a total of 101 taxa represented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Moreover, a total of 53 taxa were identified as naturalized plants and 5 taxa were classified as ecosystem-disturbing plants. The urbanization index and naturalized plant index were calculated to be 16.5% and 7.2%, respectively.

영흥도의 식물상 (Floristic Study of Yeongheungdo Island)

  • 임용석;나혜련;한병우;서원복;현진오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56-474
    • /
    • 2015
  • We have investigated the flora of Yeongheungdo Island in Ongjin-gun, Incheon. A total of 13 separate field trips were carried out from March 2012 to October 2013. As a result, 302 taxa including 80 families, 211 genera, 261 species, 6 subspecies, 31 varieties and 4 forms were identified. These include the following: 1 taxon protected under the Act on the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Wildlife, 3 Korean endemic taxa, 8 floristic indicator species including 2 taxa of grade V, 3 of grade II and 3 of grade I, 33 naturalized taxa with the naturalization rate of 10.9% and 1 northern taxon vulnerable to climate change.

한국 미기록 귀화식물: 산방백운풀 (New record of Hedyotis corymbosa, a naturalized species in Korea)

  • 이혜정;이유미;김종환;조양훈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04-308
    • /
    • 2009
  • 전라남도 영암과 대구광역시, 대전광역시에 분포하고 있는 미기록 귀화식물 Hedyotis corymbosa (L.) Lam.을 발견, 보고하고자 한다. 본 종은 주로 개울이나 계곡 주변, 또는 밭 가장자리에 햇빛의 양이 충분하면서도 습한 모래가 섞인 땅에서 비교적 큰 군락을 이루고 자란다. 동일한 속 중 유사한 형태를 보이는 백운풀이나 긴두잎갈퀴에 비해 화경이 발달하고, 꽃의 수가 1-7개로 많이 달리는 특징이 있다. 국명은 종소명이 'corymbosa (산방화서의)'이므로 산방백운풀로 신칭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