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ural enemy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28초

딸기 온실에서 점박이응애의 축차표본조사법 개발 (Development of Sequential Sampling Plans for Tetranychus urticae in Strawberry Greenhouses)

  • 최호정;강주완;정효진;최시라;박정준
    • 환경생물
    • /
    • 제35권4호
    • /
    • pp.427-436
    • /
    • 2017
  • 두 개의 딸기 온실 (농약살포포장, 천적방사포장)에서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Koch)의 고정 정확도 수준에서 표본조사법 (Fixed-precision sampling plan)을 개발하였다. 표본추출은 조사구역당 3개엽으로 이루어진 복엽 1줄기를 기준으로 하여 3줄기를 채취하였다. 각 복엽은 Relative net precision (RNP) 값을 비교하기 위해 3개의 서로 다른 단위(1엽, 2엽, 3엽)로 나뉘어졌다. RNP 값 결과 1엽 단위가 다른 단위들보다 정확도와 효율적인 면에서 우수했다. 공간분포 분석은 Taylor's power law (TPL)를 이용하였으며, 각 딸기 온실별로 계산된 TPL 계수의 동질성검정에는 공분산분석(ANCOVA)을 이용하였으며, 분석결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표본추출 정시선을 구하기 위한 TPL 계수는 농약살포포장과 천적방사포장의 딸기 1엽 단위에서 점박이응애 밀도 자료를 합한 뒤 재계산하여 사용하였다. 그리고 점박이응애 발생밀도수준을 3마리와 10마리로 설정하여 방제의사를 결정하였다. 분석에 사용하지 않은 독립된 자료를 이용하여 개발된 표본추출법의 유효성을 Resampling Validation for sampling plan (RVSP)으로 확인한 결과 적합한 정확도를 보였다.

농업생태계 다양성과 과수원 응애류 해충 종합관리: 이론적 고찰과 미래 전망 (Agro-ecosystem Diversity and Integrated Mite Pest Management in Fruit Orchards: A Review and Future Prospect)

  • 김동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0권1호
    • /
    • pp.49-61
    • /
    • 2021
  • 과수에서 초기 해충종합관리(IPM) 모형은 응애류 종합관리를 기반으로 수립되었다고 할 수 있다. 근간은 기존 방제체계인 화학적 방제와 호환적인 포식성 이리응애 천적을 접목한 생물적 방제가 작동하는 것에 있었다. 이후로 생태계 종다양성과 해충 개체군 변동과의 상호작용에 대한 가설과 기작은 과수 생태계에서 응애류 중심의 해충관리에 대한 더 넓은 이해의 폭을 제공하였다. 생태계의 원리를 바탕으로 환경의 개변 또는 변경을 통한 생물적 방제와 해충관리는 농생태공학적 개념으로 발전하고 있다. 특히 응애류 해충의 관리에 있어서는 재배환경의 변화에 따라 관련된 천적의 다양성이 역동적으로 변동되어 작동하고 있으며, 식식성 응애류의 종 구성도 과원관리 환경에 따라 변화를 보이고 있다. 본 원고에서는 사과 IPM의 근간이 되었던 응애류 생물적 방제를 고찰하면서 생태공학적 측면에서 종다양성과 해충관리, 포식성 응애류 종다양성과 응애류 관리, 환경과 응애류의 종 구성 변동 원리에 대하여 기존 사례연구를 바탕으로 재조명하고, 향후 우리나라에서 사과원 응애류의 생물적 방제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복분자딸기에서 차응애의 발생소장과 천적과 살비제 교호사용의 방제효과 (Seasonal Occurrence of Tetranychus kanzawai and Control Efficacy of Alternate Use of Natural Enemy and Miticide in Rubus coreanus Field)

  • 임주락;유진;정성수;최동칠;황창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33-239
    • /
    • 2010
  • 복분자딸기에 발생하는 차응애의 발생소장과 방제적기를 조사하고, 천적과 살비제의 교호사용에 의한 방제효과를 검토하였다. 2006년부터 2008년까지 익산지역에서 차응애는 5월 하순부터 발생하기 시작하여 6~7월에 밀도가 높았다가 8월 이후에 낮아지는 경향으로 조사기간 동안에 년 2~4회 발생피크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살비제에 의한 차응애 적정 방제시기는 5월 상순부터 중순까지였으며, 방제방법으로는 차응애 발생 초기에 살비제와 천적을 교호로 처리하였을 때 차응애에 대한 밀도억제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수량도 무처리(559kg/10a)에 비하여 638kg/10a로 가장 높았다.

Orius strigicollis의 증식 최적화 조건 탐색 (Determination of Optimum Conditions for Mass Rearing of Minute Pirate Bug, Orius strigicollis)

  • 송정흡;강상훈;강애숙;이광석;한원탁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11-115
    • /
    • 2001
  • 총채벌레류의 토착천적인 Orius strigicollis Poppius의 사육에 영향을 주는 부화율, 산란수 및 산란시기, 사육용기 당 암컷 성충의 밀도와 내적자연증가율을 광주기 16L:8D, 상대습도 $55\pm$10%, 온도 $25\pm$$2^{\circ}C$의 사육조건에서 조사하였다. 부화율과 알기간은 각각 88.5%, 5.7일이었다. 사육용기 당 산란수는 50-100개일 때에 우화율이 50.8%로 가장 좋았고, 새로 얻은 성충의 회수시기는 산란 후 17일이 적당하였다. 사육용기 당 암컷 성충의 밀도와 새로 얻은 성충의 수와의 관계는 Y= -10.7971n(X)+44.659($R^2$=0.7619)와 같았다. 사육실에서 대량으로 사육하는 경우 일세대 평균기간(T), 순번식율($R_{0}$ )과 내적자연증가율($r_{m}$ )은 각각 26.5일, 6.18과 0.0687이었다.

  • PDF

미끌애꽃노린재(노린재목: 꽃노린재과)의 천적유지식물로서 국화의 효율성 분석 (Evaluation of Chrysanthemum as a Potential Banker Plant of Orius laevigatus (Fieber) (Heteroptera: Anthocoridae))

  • 신혜원;황활수;심재경;이경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1권4호
    • /
    • pp.633-638
    • /
    • 2022
  • 천적유지식물은 재배지에 천적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필요한 비작물성 식물이다. 미끌애꽃노린재는 총채벌레 등 원예작물 해충의 주요 천적이지만, 재배지의 장기적인 유지를 위해서 효율적인 천적유지식물의 개발이 필요하다. 미끌애꽃노린재의 우수한 천적유지식물을 선발하기 위하여 다양한 화밀식물 7종류(돌나물, 채송화 그리고 국화 5 품종)를 대상으로 미끌애꽃노린재의 산란율을 비교해 본 결과, 노란색 꽃을 가진 국화 품종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총채벌레 방제를 위한 미끌애꽃노린재의 효과를 증대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파밤나방의 기주 및 피해조사 (The Host Plants of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Hubner), (Lepidoptera: Noctuidae) and Its Occurrence)

  • 고현관;박종대;최용문;최귀문;박인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11-116
    • /
    • 1991
  • 파밤나방의 기주로 채소 13종, 전작물 12종, 화훼 6종, 기타 11종 등 총 42종이 확인되었고 그중 25종이 새로운 기주로 조사되었다. 파밤나방에 의한 파의 지역별 피해주율은 완도 85%, 진도 86%, 해남 78%였고 서산 1.9%, 아산 1.5%, 청양 1.4%였다. 전남지역에서 파를 제외한 기타 작물에서 파밤나방에 의한 피해주율은 감자 95%, 옥수수 94%, 양배추 82%, 녹두 83%, 콩 56%, 배추 43%, 고구마 43%였다. 충남지역에서 파밤나방의 천적으로 녹강균과 핵다각체바이러스가 동정되었고 기생율은 9.2~3.7%였다. 전남 광주의 들깨 포장에서의 녹강균에 의한 기생율은 7월 5일 13.4%, 8월 7일 28.9%, 9월 10일 18.5%였다.

  • PDF

군용 차량 탑재 캐비닛 구조물의 구조건전성 분석 (Analysis of the Structural Robustness of Cabinet Structure Equipped with Military Vehicles)

  • 손동훈;강광희;최지호;박도훈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73-276
    • /
    • 2014
  • The development of a vehicle-mounted radar to detect the location of enemy artillery is mainly mounted during operation to the mobility of the equipment and efficiency of utilization range. It is equipped with an electronic device responsible for the operation of the radar system. Electronic equipments is performed functionality imparted without an error-specific in spite of disturbances such as vibration / shock caused by vehicle movement. Therefore, vibration / shock resistance is held to prevent damaging from vibration / shock generated from the outside environment during operation. In addition, a standardized and specified cabinet structure equipped with electronic equipment is placed in shelter to ensure additional safety for vibration / shock. In this study, it is evaluated by analytical method with vibration / shock resistance of the cabinet structures for ensuring structural safety factor is applied to the aluminum. It is verified the reliability of the structure and structural dynamics to verify by calculated natural frequencies adding the weight of the cabinet structure and the structural displacement and stress results confirmed with vibration / shock caused by the vehicle movement.

  • PDF

우리나라 파프리카 수출단지 및 선과장의 병해충 조사 (The pests survey of paprika export complexes and packing house in Korea)

  • 김기돈;이시원;강은하;신용길;전재용;허노열;이흥식
    • 농업과학연구
    • /
    • 제40권2호
    • /
    • pp.93-99
    • /
    • 2013
  • The disease and insect were surveyed locally in greenhouse, fruit packing house and store house of 51 farms in 13 towns having purpose of paprika exportation. By analysis, various disease and insect were not only founded locally but more ones detected in farms having old facilities and no natural enemy. We found 15 pathogens such as Fusarium spp., Alternaria solani, Leveilluila taurica, PepMV (Pepino mosaic virus) and TMV (Tobacco mosaic virus) in greenhouse, Fusarium spp. in fruit packing house and Penicillium spp. in store house. We found 15 insects in greenhouse such as Bemisia tabaci, rialeurodes vaporariorum and Myzus persicae in greenhouse, Hylobitelus haroldi in fruit packing house. However, the problem quarantine disease and insect for importation and exportation were not detected in inspection time.

남산 지역 조류 군집의 서식 현황과 보호 및 관리방안 (Status,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Bird Community in Mt. Nam Area)

  • 이우신;조기현;임신재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1권5_3호
    • /
    • pp.665-673
    • /
    • 199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bird community and forest structure and present the counterplan for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bird community from February 1993 to July 1995 at deciduous and coniferous forest within Mt. Nam area, Seoul, Korea. DBH distribution has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each study site. Deciduous forest had more foliage coverage in all layers than coniferous forest. Total 41 species of birds, which were 16 species of resident, 14 species of summer visitor, 4 species of winter visitor, and 7 species of passage migrant were recrded in two study sites. Leaf use rate of birds was increased the increase of coverage. The number of breeding species and pairs, breeding density, and diversity index were greater in deciduous forest than coniferous forest. The number of species and pairs on bush-nesting and foraging guild were greater than other guilds. And the nuber of species and pairs on hole nesting guild were the fewest in nesting guild. Use rate of artificial nests for improvement of habitat quality was greater in coniferous forest than deciduous forest. Maintenance of bush layer, increase of coverage and leaf layer diversity, supply of artificial nests, management of large trees, and control of natural enemy were necessary for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bird community in Mt. nam area.

  • PDF

불가사리 채집 로봇 플랫폼의 개념설계 및 분석 (Starfish Capture Robotic Platform: Conceptual Design and Analysis)

  • 진상록;이석우;김종원;서태원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9권9호
    • /
    • pp.978-985
    • /
    • 2012
  • Starfish are a critical problem for fishermen since they eat every farming product including shellfish. The number of starfish is increasing dramatically because they have no natural enemy underwater. We consider the concept of capturing starfish using a semi-autonomous robot. A new underwater robot design to capture starfish is proposed using cooperation between humans and the robot. A requirements list for the robot is developed and two conceptual designs are proposed. Each robot is designed as a modular platform. The kinematic and dynamic performance of each robot is analyzed and compared. This study is a starting point for developing a starfish capture robot and designing underwater robots for other applications. In the near future, a prototype will be assembled and tested in a marine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