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ive Region

검색결과 369건 처리시간 0.031초

경주 황성공원의 관속식물상 연구 (The Study of Vascular Plants in Hwangseong Park, Gyeongju-si)

  • 유주한;김영훈;천겅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5-49
    • /
    • 2020
  • 본 연구는 경주시 내 황성공원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을 조사·분석하여 도시림의 생태계 관리 및 보전을 위한 기초 자료 제공에 목적이 있다. 2018년 4월부터 2020년 5월까지 관속식물상을 조사한 결과는 총 78과 222속 296종 5아종 18변종 6품종 4잡종 9재배품종 등 338분류군이며, 식재종 110분류군, 자생종 23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대표적인 식재종은 맥문동이었다. 희귀식물은 7분류군, 한국특산식물은 5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총 24분류군으로, V등급은 1분류군, IV등급은 4분류군, III등급은 7분류군, II등급은 4분류군, I등급은 8분류군이었다. 귀화식물은 57분류군, 생태계교란식물은 6분류군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팝나무는 우리나라 전통 조경수목을 대표하며, 생태적 가치가 높다. 따라서 이팝나무의 노거수는 개체별로 번호를 부여하여 관리를 해야 할 것이다. 생태계교란식물은 주기적인 방제와 함께 시민단체와 연계하여 작업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Balancing Water Supply Reliability, Flood Hazard Mitigation and Environmental Resilience in Large River Systems

  • Goodwin, Peter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6년도 학술발표회
    • /
    • pp.1-1
    • /
    • 2016
  • Many of the world's large ecosystems are severely stressed due to population growth, water quality and quantity problems, vulnerability to flood and drought, and the loss of native species and cultural resources. Consequences of climate change further increase uncertainties about the future. These major societal challenges must be addressed through innovations in governance, policy, and ways of implementing management strategies. Science and engineering play a critical role in helping define possible alternative futures that could be achieved and the possible consequences to economic development, quality of life, and sustainability of ecosystem services. Science has advanced rapidly during the past decade with the emergence of science communities coalescing around 'Grand Challenges' and the maturation of how these communities function has resulted in large interdisciplinary research networks. An example is the River Experiment Center of KICT that engages researchers from throughout Korea and the world. This trend has been complemented by major advances in sensor technologies and data synthesis to accelerate knowledge discovery. These factors combine to allow scientific debate to occur in a more open and transparent manner. The availability of information and improved communication of scientific and engineering issues is raising the level of dialogue at the science-policy interface. However, severe challenges persist since scientific discovery does not occur on the same timeframe as management actions, policy decisions or at the pace sometimes expected by elected officials. Common challenges include the need to make decisions in the face of considerable uncertainty, ensuring research results are actionable and preventing science being used by special interests to delay or obsfucate decisions. These challenges are explored in the context of examples from the United States, including the California Bay-Delta system. California transfers water from the wetter northern part of the state to the drier southern part of the state through the Central Valley Project since 1940 and this was supplemented by the State Water Project in 1973. The scale of these activities is remarkable: approximately two thirds of the population of Californians rely on water from the Delta, these waters also irrigate up to 45% of the fruits & vegetables produced in the US, and about 80% of California's commercial fishery species live in or migrate through the Bay-Delta. This Delta region is a global hotspot for biodiversity that provides habitat for over 700 species, but is also a hotspot for the loss of biodiversity with more than 25 species currently listed by the Endangered Species Act. Understanding the decline of the fragile ecosystem of the Bay-Delta system and the potential consequences to economic growth if water transfers are reduced for the environment, the California State Legislature passed landmark legislation in 2009 (CA Water Code SS 85054) that established "Coequal goals of providing a more reliable water supply for California and protecting, restoring, and enhancing the Delta ecosystem". The legislation also stated that "The coequal goals shall be achieved in a manner that protects and enhances the unique cultural, recreational, natural resource, and agricultural values of the Delta as an evolving place." The challenges of integrating policy, management and scientific research will be described through this and other international examples.

  • PDF

진보된 DNA barcoding 기술을 이용한 당귀(Angelica)속 식물의 기원 판별 기술에 관한 연구 동향 (Trends in the development of discriminating between Angelica L. species using advanced DNA barcoding techniques)

  • 이신우;신용욱;김윤희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8권3호
    • /
    • pp.131-138
    • /
    • 2021
  • 본 리뷰에서는 우리나라, 중국, 일본 등에서 각각 그 기원식물을 달리하는 당귀 속 식물 계통의 기원 계통을 판별하기 위한 DNA barcoding 기술의 발전현황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약용작물들에 대한 종의 기원을 판별하기 위하여 단일염기다형성을 이용한 DNA 바코드의 개발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왔다. 그러나 가까운 근연종간에는 단일염기다형성을 보이는 염기의 수가 많지 않아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ARMS-PCR 및 HRM curve 패턴 비교 분석기술 등이 개발되었다. 이들 기술을 적용하여 국내 자생종 및 국외에서 수집된 당귀 계통들에 대하여 이들의 기원을 판별 할 수 있는 조건이 확립되었다. 특히 단하나의 단일염기다형성을 보이는 국내 자생종인 참당귀와 세발당귀의 판별이 가능하여 향후 현장에 적용이 가능한 실용화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이들 연구결과는 그 기원이 확인된 계통의 시료들을 대상으로 분리한 순수 DNA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로, 현장에서 실용화하기에는 아직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실제로 일정한 비율로 혼합한 계통들을 대상으로 분리한 DNA를 대상으로 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수확 후 가공 및 처리 방법에 따른 시료들에 대한 후속 연구도 필요하다. 당귀와 같은 약용작물은 건조한 시료, 다양한 가공제품(잼, 잴리, 쥬스 등), 약탕(탕재) 등으로 유통이 되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시료별 적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도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우에서의 주사기 오사용으로 발생한 파상풍 증례 (Tetanus occurred by misuse of syringe in Korean native cattle)

  • 이경현;김하영;정병열;김종완;이기찬;소병재;엄재구;송재찬;최은진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39-42
    • /
    • 2019
  • Tetanus is an acute, often fatal, and infectious disease of all species of domestic animals caused by the neurotoxin of Clostridium tetani (C. tetani). This disease is usually known to develop after microbial contamination in the deep or penetrating wound sites. In February 2017, a farmer who was raising 76 cows injected foot and mouth disease vaccine to three or more cows with one syringe. Their clinical symptoms were observed 2 to 16 days after the vaccination. The initial symptoms were stiffness, rigidity of the neck and limbs, pricked ears, and prolapse of the third eyelid. Subsequently, there was recumbency with extension of the limbs, convulsions and opistotonus and the affected 20 cows were all died. Two dead cows were submitted to Animal and Plant Quarantine Agency for disease diagnosis. At necropsy, a focal edematous abscess of 15 to 20 cm in diameter was grossly observed in the subcutaneous and intramuscular tissue of scapular region and filled with a large amount of greenish pus. The feed was full in oral cavity and slightly observed in the trachea and lobes of lung. Histopathologically, focal granulomatous nodules with eosinophilic materials in the tissue were observed. In the lung, aspiration pneumonia and gram (+) bacteria were seen. The C. tetani was isolated in samples anaerobically cultured using reinforced clostridial medium and identified by PCR. To our knowledge, no previous outbreak of tetanus in cattle has affected such a high number of animals; neither has it been associated with misuse of the same syringe and needle to administer multiple individuals.

선달산(경상북도 봉화군) 일대의 관속식물상 (A Flora of Vascular Plants of Seondalsan Mountain (Bonghwa-gun, Gyeongsangbuk-do))

  • 안민우;정선;김재영;조형준;허태임;이혜정;서을원;정규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289-316
    • /
    • 2022
  • 본 연구는 경상북도 봉화군에 위치하는 선달산(1,236 m)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을 밝히고 그들의 유용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2014년 4월부터 2020년 10월까지 총 20회에 걸쳐 조사된 식물은 확증표본을 기초로 할 때 총 96과 341속 562종 18아종 53변종 5품종 638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이 중 특산식물은 20분류군,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 중 멸종위기종 1분류군, 취약종 3분류군, 약관심종 9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 식물 중 V등급이 1분류군, IV등급이 11분류군, III등급이 28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분류군의 유용성에 따른 구분에 의하면 식용 440종류, 약용 505종류, 향료용 19종류, 산업용 234종류, 관상용 335종류, 생태복원용 214종류, 사료/퇴비용 269종류로 나타났고, 이 외에 용도를 알 수 없는 식물이 30종류로 확인되었으며, 귀화식물은 30분류군으로 파악되었다.

울산쇠부리소리의 전승현황과 변이양상 연구 (The Transmission and Changes Of UlsanSoeburi Song)

  • 김구한
    • 공연문화연구
    • /
    • 제39호
    • /
    • pp.133-165
    • /
    • 2019
  • 이 글은 울산지역에서 전승되는 쇠부리소리의 전승과 변이에 대한 연구이다. 먼저, 울산 쇠부리소리는 울산 한실과 도덕골, 두동, 병영 등 모두 울산지방에서 채록된 자료라는데 그 일차적 의의가 있다. 이 점은 쇠부리소리가 원형과 전형을 잘 간직하고 있는 울산 고유의 소리라는 지역적 정체성과 연결된다. 울산이 쇠부리의 도시인 동시에 쇠부리소리의 본향이 될 수 있는 근거이다. 쇠부리소리 사설의 특징은 한실쇠부리소리와 도덕골쇠부리소리가 다름을 알 수 있다. 한실의 최재만은 구비시인으로서 훌륭한 자질을 갖춘 사람이라고 보여 진다. 그는 공식적 구조 원리에 충실한 구연자이자 불매소리의 '원사설(원형)'을 가장 잘 갖춘 구연자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최재만의 쇠부리불매소리는 노동의 순수함과 신성함을 느끼게 하는 사설과 일치된 행동으로 일의 힘듦을 단합된 모습으로 승화시키는 곡조로 결합되어 노동요로서 미적 의미를 부여받고 있다. 도덕골 김달오의 불매소리는 공식구를 바탕으로 하되, 임기응변적 구연에 능한 인물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울산 쇠부리소리의 전승과 변이 양상은 '기본형' '변주형', '종합형'으로 나누었다. '기본형'은 한실 최재만의 쇠부리소리에서 출발했으며, '변주형'은 도덕골 김달오의 쇠부리소리와 울산 지방에서 전승되던 쇠부리금줄소리가 어울려 울산 쇠부리놀이가 탄생한 것이다. '종합형'은 기존의 소리에다 달천지역과 가까운 병영지역에서 불리던 아기어르는불매소리와 성냥간불매소리를 채록하여 지금의 쇠부리 소리가 탄생하게 된 것이다. 울산 쇠부리소리는 이와 같이 끝없는 전승과 변이의 과정을 거치면 울산 지역을 대표하는 민요로 그 정체성을 확보하며 지속적으로 전승되고 있다.

돼지 6번 염색체(6q28 - 6q32)의 BAC clone 염기서열 분석에 의한 Microsatellite Markers 개발 (Development of Microsatellite Markers using BAC clone Sequencing on Porcine Chromosome 6q28 - 6q32)

  • 장길원;이경태;박응우;최봉환;김태헌;정일정;오성종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3호
    • /
    • pp.301-306
    • /
    • 2004
  • 돼지 6번 염색체에서 근내지방 함량과 등지방 두께와 관련된 QTL이 탐색되어진 영역(6q28-6q32)에서 미세지도 작성을 위한 유용한 marker를 개발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대량 염기서열 분석자료를 근거로, 반복염기서열 분석을 수행한 결과 KP0290F2(TTCC), KP0248C11(AAAT), KP1231C91(TAG), KP1231C92(TTG) 그리고 KP1231C93(GA)의 5 부위에서 다형성을 나타내었다. 이 부위들에 대한 랜드레이스, 재래돼지, 듀록, 요크셔, 버크셔, 오지산돈, 향돈 그리고 민돈의 8품종에 대한 유전자형 분석 결과 평균 대립유전자의 수는 2.13, 4.63, 7.38, 2.75 그리고 6.25로 나타났다. 그리고 8품종에 대한 KP0290F2, KP0248C11, KP1231C91, KP1231C92 그리고 KP1231C93에 대한 평균 heterozygosity 값을 산출한 결과, 0.2110, 0.6865, 0.8304, 0.4057 그리고 0.7051로 나타났으며, 5markers에 대한 8 품종의 평균 heterozygosity 값은 0.6313, 0.5662, 0.5814, 0.6957, 0.4517, 0.4847, 0.5758 그리고 0.5559로 나타났다. KP0248C11, KP1231C91 그리고 KP1231C93은 적절한 대립유전자 수를 나타내었고, 또한 hetetozygosity 값이 높게 나타났을 뿐만 아니라, 표준편차도 적게 나타난 점으로 미루어 보아 앞으로 유용한 marker로서 이용이 가능할 것이라 사료된다. 본 연구의 결과 개발된 marker는 SW71(98.6cM)과 SW1881(121.1 cM) 영역내에 존재하는 유용한 유전자를 발굴하기 위한 미세지도 작성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marker로 판단되며, positional cloning에도 이용 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또한 돼지 게놈 연구가 완성되어 염기배열이 밝혀지기 전에 이용 가능한 표지인자들을 다량으로 확보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풍기지역 식문화 양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ietary culture in Poongki region)

  • 윤숙경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1-42
    • /
    • 1993
  • To understand the dietary culture in Poongki region which was established as Kamrokchon of a folk community, the transmission pattern of the traditional dietary life was investigated by questionnaire to 383 housewive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Daily diet : Among 65 traditional main dishes of 6 areas including Kyungsangdo, D’cokguk of Kyungsangdo was consumed most frequently, 87%. General consumption rate based on origin of food was 33.3% of Kyungsangdo, 21.2% of Chungchongdo, 13.1% of Kangwondo, 11.9% of Hwanghaedo, 1.1% of Pyungando and Hamkyungdo, respectively. Among 243 traditional minor dishes, Doenjangjjigye and Kochuchang of Kyungsangdo were most consumed as rates of 91.6%, 89.3%, respectively. General consumption rate based on origin was in order of 38.4% of Kyungsangdo, 19.3% of Chungchongdo, 14.9% of Kwangwondo, 10.4% of Hamkyungdo, 8.7% of Hwanghaedo and 8.3% of Pyungando. 2) Special diet : Among 66 traditional D’ocks, Injeolmi of Hamkyungd was consumed most freguently, 58%. General consumption rate based on origin was in order of 26.3% of Hwanghaedo, 17.6% of Kyungsangdo, 16.1% of Kwangwondo, 16.0% of Hamkyungdo, 13.0% of Pyungando and 11.0% of Chungchongdo. Among 27 cookies, Kangjeong of Hamkyungdo was consumed most frequently 46.7%. General consumption rates based on origin was in order of 55.7% of Hamkyungdo, 22.7% of Kyungsangdo, 2.4% of Pyungando, 5.8% of Kwangwondo, 3.0% of Chungchongdo and 0.4% of Hwanghaedo. Among 19 refresh drinks, Kamju of Kyungsangdo was consumed most frequently, 76.0%. General consumption rate based on origin was in order of 74.3% of Kyungsangdo, 7.8% of Chungchongdo, 6.9% of Hamkyungdo, 5.9% of Hwanghaedo and 5.1% of Kwangwondo. 3) Ceremonial diet : Myyeogguk and Baeksulgi for the 100-Days ceremony and Hynbab and Baeksulgi for the First Birthday were used mainly. For birthday, noodle(59.5%) for lunch besides rice as main dish and Soojeoggwa(37.9%) were served and noodle(30.8%) was used for host. Thirty percent of the varieties used traditionally for Pyehak and 40-50% of the varieties for Jesa(Memorial day) are still prepared currently. 4) Seasonal diet : For Jeolsik(major seasonal diet), the usage rates are as follows : D’ockguk(87%) for Jeongwolchoharu, Ogokbab(77.6%) for Jeongwoldaeborum, Patjuk(72.6%) for Dongji, Samsaeknamul(54.1%) for Chusuk. Relatively high usage rates of Surichi-D’ock(40.5%) for Dano and Mandu(40.5%) for Suddalgumumnal are probably due to the immigrated people from this area and the geographical effect. The consumption rates of Sisik(minor seasonal diet) for Chunghwajeol, Samjinal, Youdooil, Chungyangjeol and Muoil are about 10% and the rates for Chopail and Chilsuk are followed. Gaejang and Nangmyon for Sambok used as a rate of 32%. 5) Others : Table pattern; Table for one person(4.7%), table for two(16.7%), table for several(64.2%), table with chair(14.4%) are used. Serving pattern; All-together style(69.7%), monopoly style(24.0%), personaldish style(6.3%) are used. Cooking ware; Among 95 varieties, Doma and Jangban are used most(62.7%) and Pulmae, Poonju and Budulgori are never used. Nine sorts besides Jeongoltle are used as a rate of less than 1%. About 25% of total subjects were the immigrants from other areas. Some of them were moved in due to Chunggamrok. In conclusion, the usage of the traditional food is thought to be maintained well despite of the rapid change to incustrialized society because the native Kyungsangdo foods are combined with foods from the neighboring Kwangwondo, Chungchongdo and northern area.

  • PDF

경북지역에서 콩과 사료작물의 혼파 재배와 발효 우분의 시용이 청보리의 생산성과 유기 한우 사육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ixed Cropping with Legume and using fermented Cattle Manure on Productivity of Whole Crop Barley (Hordeum vulgare L.) and Organic Hanwoo feeding Capacity in Gyeongbuk Region of Korea)

  • 조익환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525-537
    • /
    • 2016
  • 본 연구는 유기조사료를 효율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대표적인 동계 사료작물인 청보리에 콩과 사료작물(헤어리베치와 사료용 완두)의 혼파와 발효우분을 시용하여 생산성과 사료가치를 평가하고, 토양의 지력 향상과 가축분뇨의 자원화를 위한 발효우분의 적정 시용수준을 구명하여 단위면적당 유기한우 사육능력을 추정하고자 2012~2015년에 실시하였다. 콩과 사료작물의 혼파에 따른 3년 평균 청보리의 건물, 조단백질 및 TDN 수량은 5.55~5.82, 0.49~0.52 및 3.51~3.72 톤/ha으로 단파로 재배했을 경우의 4.44, 0.36 및 2.92톤/ha 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혼파구 간에는 차이가 없었고, 발효우분의 질소시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무비구에 비해 이들 생산량이 증가하였으며 평균 ha 당 100 kg/ha 이상의 질소시용 시에 무비구보다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p<0.05). 청보리의 3년 평균 조단백질 함량, ADF 함량 및 상대 조사료가치(RFV) 등은 단파구(각각 7.89%, 29.71% 및 104.89)보다 콩과 사료작물의 혼파구(각각 8.81~9.02%, 31.71~32.69% 및 105.44~108.83)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NDF와 TDN 함량은 콩과 사료작물의 혼파구가 반대로 유의하게 낮았다(p<0.05). 콩과 사료작물의 혼파에 따른 청보리의 조단백질과 TDN 함량에 유기한우 사육능력(체중 450 kg, 400 g 일당증체 목표)은 2.15~3.66과 2.13~3.39두(평균 2.14~3.54두)로 단파구의 각각 1.93~2.79와 2.18~2.91두(평균 2.06~2.85두)보다 높은 사육능력을 보였으며 이러한 경향은 우분 질소 시용수준이 증가됨에 따라 더욱 뚜렷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청보리를 재배 시에 콩과 사료작물을 혼파함으로써 단파재배 보다 발효우분의 질소시용수준을 ha 당 50 kg 이상 줄이면서도 건물수량을 포함한 생산성과 유기한우 사육능력 증대는 물론 조단백질 함량 등 사료가치를 향상을 시켜 한우 사양시 조사료자원의 다양화뿐 아니라 저투입에 의한 양질의 유기조사료 생산으로 유기축산물 생산에도 크게 기여하리라 사료된다.

대장균의 xylA 프로모터 영역의 조절 특성 (Regulatory Characterization of xylA Promoter Region in Escherichia coli)

  • 강병태;노동현;주길재;이인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6호
    • /
    • pp.443-448
    • /
    • 1996
  • xylA 유전자의 프로모터상에서 조절양상을 조사하기 위하여 xylA 유전자의 프로모터(Pxyl)와 lacZ 유전자를 연결한 Pxyl-lacZ 융합 유전자를 제작하여 xylose에 의한 ${\beta}-galactosidase$ 생산의 조절양식을 조사하였다. xylA 프로모터 부위를 분리하여 lac 프로모터가 없는 고복제수의 lac 오페론 백터인 pMC1403에 클로닝시켜 pMCX191을 제작하여 reading frame에 변화가 없는 Pxyl-lacZ 융합 유전자를 만들었으며 이 벡터에서 Pxyl-lacZ 단편을 분리한 후 저복제수 벡터인 pLG339에 클로닝시켜 pLGX191을 제작하였다. 상기 플라스미드들을 xylA 변이주인 DH77에 형질전환시켜 Pxyl-lacZ 융합 유전자에서 ${\beta}-galactosidase$의 발현조절을 조사한 결과 xylose 농도에 따른 유도, glucose에 의한 발현억제 및 cAMP에 의한 억제해제 양상 등이 염색체상의xylA 유전자의 발현조절과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pMCX191과 pLGX191을 이용하여 유전자 투여 량 효과를 본 결과도 복제수에 따른 차이가 크지 않았다. xylA 프로모터 부위내 조절영역를 추정하기 위해 구조유전자 상류 -209 bp를 포함한 xylA 유전자를 pUC19에 클로닝시킨 pUX30에서 프로모터 부위가 부분결손된 벡터들을 제작하여 결손부위의 염기서열을 확인하였다. 이들 부분결손 xylA 프로모터를 가진 xylA 유전자에서 xylose isomerase의 발현을 조사한 결과, 번역 개시점에서 -166 bp 이상의 영역을 결손시킨 pUX31과 pUX32의 경우pUX30과 비슷한 발현 양상을 보인 반면 -120 bp 이상의 영역을 결손시킨 pUX33과 pUX34에서는 모벡터에 비해 약 30% 수준의 발현을 보였다. 또한 pUX33과 pUX34에서는 xylose 유도시 cAMP에 의한 발현 촉진효과도 볼 수 없었다. -59 bp 이상의 부위가 결손된 pUX35의 경우에는 전혀 xylA 유전자의 발현이 일어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 볼때 xylA 프로모터내의 조절부위는 -165 bp에서 -59 bp 사이에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