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ionality

검색결과 456건 처리시간 0.027초

프랑스 이중국적자의 국적박탈 논쟁과 안보화 (securitization) (Nationality Deprivation of Double Nationals in France and Securitization)

  • 박선희
    • 국제지역연구
    • /
    • 제22권1호
    • /
    • pp.67-90
    • /
    • 2018
  • 프랑스에서 테러범의 국적박탈을 가능하게 한 것은 1996년 법부터로 이후 두 차례(1998년 법, 2006년 법)의 관련 법 개정이 있었다. 이어 2010년 이민 법안에 국적박탈 구문 수정안이 발의된 바 있고 2015-2016년에 국적박탈 대상 확장을 가능하게 하는 헌법개정안이 논의되었지만 채택되지 않았다. 하지만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이중국적자와 테러범과의 관계가 쟁점으로 떠오르고 이민자와 안보문제는 더 밀접한 상관관계를 갖게 되었다. 특히 2016년에는 올랑드의 헌법 개정안이 포기되었지만 비상사태는 계속 연장되고 이중국적자 국적박탈 문제는 뜨거운 논쟁으로 남겨졌다. 4개월 넘게 지속된 논의 끝에 국가비상사태 조항 삽입과 함께 국적박탈 확장 계획을 담은 헌법개정안이 철회되었지만 그 동안 비정치적인 사안(non-politicized)이었던 이중국적자 문제는 정치적 쟁점(politicized)이 되어 안보문제로 규정되는 안보화(securitized)의 경로를 거치게 된다. 이는 부잔(Buzan)을 위시한 코펜하겐 학파가 주장하는 안보화의 '두 단계 과정(Two-stage process of securitization)'을 거쳤음을 보여준다. 코펜하겐 학파의 안보화 개념이 중요한 것은 안보화 과정의 구성적 요소에 주목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안보화의 경로를 프랑스에서 이중국적자의 국적박탈 논쟁에 적용해보면 쟁점이 되지 않았던 비정치적인 이중국적자 문제가 화행(speech-act) 또는 공표효과(announcement effect)를 통해 어떻게 정치화되어 사회적 어젠다로 규정되는 지를 고찰할 수 있다.

문화대혁명(文化大革命)과 소수민족지구(少數民族地區)의 정치지도(政治地圖) : 내몽고자치구와 어룬춘자치기의 사례 (The Cultural Revolution and the Political Map of the Minority Nationality Region : A Case Study on the Inner Mongolia Autonomous District and the Oroqen Autonomous Banner)

  • 이강원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19
    • /
    • 2002
  • 문화대혁명은 현대 중국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 정치운동이다. 그간 문화대혁명에 대한 연구는 정치적 음모 내지는 노선투쟁에 집중하고 있었기 때문에, 그것이 지닌 정치지리학적인 측면에 대해서는 주목하지 않았다. 이 글은 적어도 소수민족지구에서 진행된 문화대혁명에 대한 연구는 정치지리학적인 견지에서 보다 실체에 접근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내몽고자치구와 어룬춘자치기에서의 문화대혁명의 전개과정을 살펴본 결과 중국 지도부에게 변강 혹은 민족자치지방은 '지역' 내지 '공간'으로서 중요한 것이지, '민족'이 중요한 것은 아니라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특히 문화대혁명 기간 중 혁명지도부는 '민족'을 이용하여 '공간'을 조작하거나, '공간'을 이용하여 '민족'을 조작하는 경향이 있었다. 따라서 민족자치구역에서 문화대혁명은 '민족'을 '계급'으로 해체하고, '자치구역'이라는 '공간'을 일반적인 의미에서의 '지방'으로 분해시키면서, '인민'과 국토'로 통합시키는 과정의 일부였다고 할 수 있다.

  • PDF

취업역량이 기업가정신과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국적의 조절효과로- (Effects of Employment Competence on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Focused on Moderating Effect of Nationality)

  • 최주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223-232
    • /
    • 2018
  • 최근 각 대학교에서는 극심한 취업난 해소를 위해 학문 간 융합 교육을 통한 취업과 창업지원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 대학생들의 취업역량이 기업가정신과 창업 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국적 조절 효과를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실증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취업역량이 취업뿐만 아니라 기업가정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취업역량만으로는 창업 의지에 직접 어떠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기업가정신을 매개로 창업 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국적에 따라 기업가정신과 창업 의지가 부분적으로 달라지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취업과 창업에 효과적인 융합기술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향후보다 많은 국가를 대상으로 연구하여 확대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몽골 방문 외국인 관광객의 캐시미어 제품 구매와 관련 변인 (Factors Related to Cashmere Products Purchases by Foreign Tourists Visiting Mongolia)

  • 스왜틀라나;유혜경;고선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557-571
    • /
    • 2014
  • This study examined the evaluation of Mongolian cashmere products by foreign tourists visiting Mongolia, purchase motivation, and purchase intention by nationality as well as analyzed factors that affected purchase intentions.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in Ulaanbaatar from July $25^{th}$ to September $3^{rd}$, 2012. We collected 626 questionnaires and used 616 copies in the final analysis (149 from Koreans, 128 from Japanese, 119 from Russians and 220 from English-speaking countries). Awareness about Mongolian cashmere products and purchase intentions differed significantly by nationality. Purchase motivations were divided into 3 factors-usefulness, mood shift, gifts and souvenir. Evaluation of cashmere products consisted of 5 factors-product excellence, uniqueness, ostentation, economic value and fashionableness. Purchase motivation and evaluation differed significantly by nationality. Purchase intention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awareness prior to visit, product excellence, usefulness, gift/souvenir motivation factors, and nationality.

아트 콜라보레이션의 협력 작가 선택 요인 (How to Select Art Collaboration Artists?)

  • 이은애;신형덕;유건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374-381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기업이 아트 콜라보레이션을 진행할 때에 있어서 협력 작가의 국적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연구하였다. 국내에 보도된 2005-2013년에 발생한 137개의 아트 콜라보레이션 사례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국내 기업은 일반적으로 동일한 국적인 국내 작가와의 아트 콜라보레이션을 선호하며, 그 중 내구재 제품에 대한 아트 콜라보레이션은 외국 작가의 비율이 유의하게 높은 것을 발견하였다. 즉 내구재일 경우 제품의 명성이 중요해지기 때문에 협업 과정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통상적으로 높은 명성을 가질 확률이 높은 외국 작가와의 아트 콜라보레이션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행태에 있어 국민성의 의미 - 한국과 일본의 대학생에 대한 비교 분석 - (Nationality and Information Behavior: Comparing Korean and Japanese Students)

  • 이제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185-203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정보행태에 있어 국민성이 갖는 의미에 주목하면서, 정보행태에 대한 집단적 요인과 개인적 요인의 비중을 상대적으로 가늠해 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국민성을 대변하는 요소로 국적과 성격(의존성)을 선정하였으며, 정보행태를 대변하는 10개의 지표를 개발하였다. 논의에 필요한 데이터는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였는데, 158명의 한국인 대학생과 183명의 일본인 대학생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수집한 데이터에 근거하여 변인들 사이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국적과 의존성의 상대적 비중을 가늠하기 위한 ANOVA 검증을 실시하였다. 통계적 분석의 결과, 상대적 비중에 있어 국적의 영향력이 의존성의 영향력보다 크며, 집단적 요인의 비중이 개인적 요인의 비중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국내 한식당의 서비스 품질에 대한 고찰 I : 한식당의 서비스 품질에 대한 국가별 인식 차이 연구 (Comprehensive Study of Customers' Perceived Service Quality of Korean Restaurants I : Cross-Cultural Perception on Service Quality of Korean Restaurants by Nationality)

  • 정효선;윤혜현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987-996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customers' perception of the service quality of Korean restaurants and then compare differences in perceived service quality according to customer nationalit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by 2812 subjects, an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chi-square, t-test, one-way ANOVA, factor, reliability, cluster, and discriminant analysis.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factor analysis of perceived service quality produced four factors, employee service (5 variables), menu quality (4 variables), price & value (4 variables), and physical environment (4 variables). Cronbach's alpha values for reliability were over 0.8 for all factors. Further,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service quality, which was perceived according to customer nationality. A higher mean value of perceived service quality was held by foreigners when compared to Koreans. Especially, the mean value of perceived service quality was significantly low for all items for Japanese compared to foreigners. Cluster analysis divided subjects into two groups based on attitude toward service quality of Korean restaurants: an unfavorable group and favorable group. These two groups differed from each other in general characteristics as well.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also discussed.

외국인근로자와 유학생의 안전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Safety Awareness of Foreign Workers & International Students)

  • 박선아;이재영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87-96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ich factors affect safety awareness of foreign workers and international students. In the correlation analysis, individu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the safety awareness of foreign workers were nationality, status of stay(visa types), place of work, educational background, and Korean proficiency while international students were relevant with only the types of residenc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afety awareness of foreign workers in nationality, status of stay(visa types), region of residence, educational background, place of work, and Korean proficiency.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the types of residence for the international students. In the regressio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safety awarenes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nationality, status of stay(visa types), place of work, and Korean proficiency in the case of foreign workers. It was analyzed that nationality and status of stay had a negative (-) effect, and the place of work and Korean proficiency had a positive (+) effect. In the case of international students, it was analyzed that only the types of residence had a negative (-) effect on safety awareness.

전통 패션상품의 시장기회분석을 통한 브랜드 마케팅 전략 제안 (Suggestions for Brand Marketing Strategies through Market Opportunity Analysis of Traditional Fashion Products)

  • 고은주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692-702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global consumer behavior with fashion products, Korean fashion products, and Korean traditional fashion products (i.e., Han-Bok). Clothing selection criteria for fashion products and Korean fashion products were included as major constructs far the comparison among global consumers based on their nationality. Other consumer behavior variables were shopping place, buying frequency, purchase experience/plan, preferred brand, purchase items, information source, purchasing usage, and the product evaluation of Hanbok. A convenience sample of 236 global consumers was selected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was pilot tested, and the revised questionnaire was used for the interview survey. Descriptive statistics and ANOVA were used for data analysis. Various nationality were existed such as Europe, North America, Japan, China, South East Asia.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ost important criteria for fashion buying were design, fit, and size in order. Fit, size, and color item from buying criteria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global consumers by nationality. Country of origin was found as less important factor among global consumers. Department store was most favorable shopping place, and once a month is the most mentioned category in buying frequency. Preferred brands were Levi's, Polo, Gucci, and Prada, etc. Secondly, regarding the evaluation of Korean fashion products, textile quality was highly evaluated. Significant difference except design/style category were existed among global consumers by nationality. Thirdly, regarding the evaluation of Hanbok, the product evaluation of Hanbok highly represented as special event clothing, unique image, beautiful details and oriental beauty in order. Significant difference in good quality of textiles, oriental beauty, coordination with good colors and fabrics, beautiful details and unique style and design were existed among global consumers by nationality. Manageri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친환경 행동에 대한 국가, 성별, 연령 차이분석 (A Difference Analysis Among Nationality, Gender and Age Regarding Environmentally Conscious Behavior)

  • 윤성욱;양연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5089-5095
    • /
    • 2015
  • 본 연구는 이중성의 양면을 지닌 친환경 행동을 보다 폭 넓게 이해하기 위해 국가, 성별, 연령별로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서로 다른 문화를 가진 한국과 미국 소비자는 친환경 행동과의 관계에서 서로 다를 것이라 기대된다. 또한 남 여 성별과 세대 간 연령의 하위 집단 간 상호작용효과도 있을 것이라 여겨진다. 더불어 개인 가치의 조절효과도 존재하는지도 보고자 한다. 연구결과, 한국 소비자 보다 미국 소비자의 친환경 행동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더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남 여 성별 간 차이에서는 여성보다 남성이 보다 긍정적으로 친환경 행동을 하였다. 한편, 국가와 성별 그리고 국가와 연령 간에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음을 밝혔으며, 연령과 친환경 행동 간에 개인 가치의 조절효과가 존재하였음을 살펴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