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ggestions for Brand Marketing Strategies through Market Opportunity Analysis of Traditional Fashion Products

전통 패션상품의 시장기회분석을 통한 브랜드 마케팅 전략 제안

  • Ko Eunju (Dept,. Of Clothing & Textiles, Yonsei University)
  • 고은주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류환경학과)
  • Published : 2005.05.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global consumer behavior with fashion products, Korean fashion products, and Korean traditional fashion products (i.e., Han-Bok). Clothing selection criteria for fashion products and Korean fashion products were included as major constructs far the comparison among global consumers based on their nationality. Other consumer behavior variables were shopping place, buying frequency, purchase experience/plan, preferred brand, purchase items, information source, purchasing usage, and the product evaluation of Hanbok. A convenience sample of 236 global consumers was selected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was pilot tested, and the revised questionnaire was used for the interview survey. Descriptive statistics and ANOVA were used for data analysis. Various nationality were existed such as Europe, North America, Japan, China, South East Asia.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ost important criteria for fashion buying were design, fit, and size in order. Fit, size, and color item from buying criteria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global consumers by nationality. Country of origin was found as less important factor among global consumers. Department store was most favorable shopping place, and once a month is the most mentioned category in buying frequency. Preferred brands were Levi's, Polo, Gucci, and Prada, etc. Secondly, regarding the evaluation of Korean fashion products, textile quality was highly evaluated. Significant difference except design/style category were existed among global consumers by nationality. Thirdly, regarding the evaluation of Hanbok, the product evaluation of Hanbok highly represented as special event clothing, unique image, beautiful details and oriental beauty in order. Significant difference in good quality of textiles, oriental beauty, coordination with good colors and fabrics, beautiful details and unique style and design were existed among global consumers by nationality. Manageri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Keywords

References

  1. 강경자. (2002). 한복배색의 조화감에 대한 한. 미 여대생의 지각반응 연구(제 2보 ) -톤 온 톤 배색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6(3/4), 443-453
  2. 강병희, 조희래, 김영인. (1998). 한국적 복식 디자인의 개발을 위한 색동의 색채분석. 한국의류학회지, 22(3), 384-395
  3. 고정민, 채금석. (1999). 생활한복에 대한 의식구조와 선호도 에 따른 디자인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3(5), 654--666
  4. 공미선, 채금석. (2004). 세계시장을 위한 한국적 패션디자인의 개발. 복식, 54(2), 1-9
  5. 권수애, 최종명, 이은경. (1998). 한복의 착용실태와 구매요 인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7(1), 129-138
  6. 국내의류기업의 중국 진출현황. (2002, 11. 1). 삼성디자인넷. 자료검색일 2003, 2. 4, 자료출처 http://www.samsung design.net
  7. 금기숙. (1996) 패션디자인을 위한 전통복식의 활용현황에 관한 연구. 복식, 43, 69-81
  8. 김민수, 김문숙. (2003). 의류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품질평가기준. 복식문화연구, 11(1), 47-65
  9. 김선경, 조효숙, 정인희. (1999). 생활한복 경험자들의 소비 실태 및 의식 연구(1)-소유 및 착용, 불만족 지각을 중 심으로-. 한복문화, 2(1), 121-143
  10. 김용주. (1999) 한국의류산업의 범세계적 조달전략 결정요 인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3(1),42-53
  11. 김인경. (1995). 한국적 패션디자인의 특성에 관한 연구1980년대 이후 한국 패션디자이너의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19(3), 536-547
  12. 김인경. (1998). 파리컬렉션에 나타난 한국적 패션 디자인의 특성 에 관한 연구. 복식, 38, 233-244
  13. 김찬주, 장인우 (1999) 한국 현대패션에서의 한국적 디자인 전개과정 분석과 세계화를 위한 제안. 복식, 48, 5-24
  14. 김찬주. (2003). 세계패션 선도 도시들의 남성 스트리트 패션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7(3/4), 298-309
  15. 김혜수, 진병호, 박연주. (2002). 한국 섬유 및 의류산업의 유망 해외 진출국으로서의 베트남: 최근 진출 현황, 향 후 전망과 제언. 한국의류학회지: 26(7), 958-969
  16. 류지효, 김용서, 배수정. (2001). 한국 전통복식이미지 제고 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학회지, 4(1), 121-133
  17. 문광희, 문명옥. (2004). 한국 전통 이미지의 호텔용가운 디 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8(1),45-53
  18. 삼성패션연구소. (2001). 2002 S/S 트렌드 설명회자료
  19. 손미영, 이은영. (2001). 한국 섬유 및 의류산업의 세계화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5(6),1131-1142
  20. 심복실, 유혜경 (2002). 중국연변지역 조선족대학생들의 라 이프 스타일과 의복구매행동에 관한 설증적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6(8) , 1141-1152
  21. 안명숙, 김은정, 양숙향. (1998). 현대 생활한복 형성의 배경과 방향. 복식, 39, 91-98
  22. 안춘순, 이승희, 양윤, 임숙자, Lemon, S. J., Parker, S. M (2001) 한국과 미국의 여성정장용 소재에 대한 한미 소비 자 선호도 비교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5(6),1131-1142
  23. 양정은, 유송옥. (2000). 생활한복의 디자인 현황과 고급화 방안 연구. 복식, 50(3), 145-159
  24. 양현주, 권영숙. (2001). 한국 여자 전통 혼례복식에 나타난 미적 감성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9(1), 19-32
  25. 오현정, 오경희, 이귀례. (2003). 문인화를 이용한 한국적 이미 지의 문화상품용 의상디자인 개발. 복식, 53(5), 13-22
  26. 이윤숙, 육심현, 최원경, 이수경, 진병호. (2002). 국내의류업 체의 글로벌소싱 현황과 경쟁력 강화방안. 한국의류학회지, 26(6), 751-762
  27. 이혜숙, 김재숙. (1998). 복식색 색조합의 이미지 지각-여자 저고리, 치마를 중심으로 한 준실험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2(5) , 597-606
  28. 이혜숙. (1999). 복식무늬가 한복착용자의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3(7) , 921-928
  29. 임영자, 류은정. (2001). 생활한복의 구매의사에 대한 영향 요인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9(6) , 123-133
  30. 장수경 (2002). 미국대학원이 인지하는 한국전통문양의 감 성이미지. 한국의류학회지, 26(3/4), 402-411
  31. 정옥임. (2001). 한복바지 원형설계의 표준화를 위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9(10), 97-109
  32. 정인희, 조효숙, 김선경. (2000). 생활한복의 이미지와 가격 평가에 관한 연구. 복식, 50(6), 33-46
  33. 정혜경. (2000). 조선시대 철릭과 남자 포류와의 상호관계. 한국의류학회지, 24(2) , 226-236
  34. 조효숙, 김선경, 이희승. (1998). 생활한복의 구매실태연구. 한복문화; 1(2), 67-81
  35. 채금석. (2000). 한국 전통복식의 정신 문화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8(11), 13-30
  36. 최경순, 김선령. (1999). 생활한복의 변천에 대한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1), 34-43
  37. 최경희, 엄준희, 김민자. (2003). 한국적 이미지의 경기용 수 영복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II) 오방색과 태극문을 중심으로. 복식, 53(4) ,49-69
  38. 최세완, 김민자. (1993). 현대패션에 표현된 한국복식의 전통미 - 1980년대 이후 한국디자이너작품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17(1), 103-117
  39. 최은영. (1999). 생활한복의 채택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위 험지각과 자기이미지를 중심으로- . 복식, 42, 43-58
  40. 황의숙. (1995). 한국여성 전통복식의 양식변화에 관한 연구. 복식, 26, 289-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