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ional trail

검색결과 331건 처리시간 0.033초

경주국립공원 남산 지구의 탐방로 훼손 유형 및 환경피해도 평가 (Assessment of Impact Rating Class and Deterioration Type on the Trails in Mt. Namsan District, Gyeongju National Park)

  • 허상현;유주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4권11호
    • /
    • pp.1431-1442
    • /
    • 201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ystematically maintain and manage the trails by assessi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the types of deterioration and impact rating class of trails located in Mt. Nam District of the Gyeongju National Park. The major trails followed 6 routes including Sambulsa-Geumobong(A), Yongjangsaji-Geumobong(B), Yongjanggol-Yiyoungjae-Gowibong(C), Cheonusa-Gowibong(D), Sangseojang-Forest road(E) and Tongiljeon-Forest road(F). The routes length of A was 2.2 km, 2.7 km of B, 3.4 km of C, 1.3 km of D, 2.0 km of E and 1.0 km of F. I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A was the widest and F was the narrowest in the width and bared width of trail. In depth of erosion, B was the deepest and E was the shallowest. D was the steepest and E was the gentlest in the slope. In the results of analysing the types of deterioration, A were 13 types, 11 types of B, C and D, 10 types of E and 6 types of F. The times of appearance of deterioration types in A were 86 times, 75 times of B, 105 times of C, 48 times of D, 47 times of E and 13 times of F. In case of the impact rating class, trail erosion was II degree, I degree of trail expansion, root exposure, trail divergence and rock exposure.

한라산국립공원 탐방로 보행시설에 대한 탐방객 태도 - 어리목 구간을 중심으로 - (Users' Attitudes for the Trail Structures in Hallasan National Park, Korea - In the Case Study of Eorimok -)

  • 유기준;권태호;조근식;조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68-175
    • /
    • 2007
  • 탐방로의 효용 극대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탐방로 이용과 이용객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국립공원 탐방로의 효율적 유지관리를 위한 관리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한라산국립공원 어리목 탐방로를 이용한 탐방객을 대상으로 이용행태와 보행시설물에 대한 이용자 인식을 파악할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대상지를 방문하고 귀가하는 탐방객 138명을 대상으로 응답자 직접기 입방식을 적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어리목에 설치된 7개의 보행 시설의 양적 질적 상태에 대한 응답은 대체적으로 보통 이상의 응답을 보여 시설 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각 보행시설별 경관조화성, 자원보전성, 탐방편의성 평가에서는 목재데크 시설과 목재지주의 PP로프난간 시설과 같은 친자연적 소재를 사용한 시설물들이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반면에 철재와 같은 인공적 시설의 자연환경 지역에의 도입은 주변경관과의 조화를 저해하고 있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어 향후 기존 철제 시설물에 대한 친자연적 소재로의 대체가 필요하다.

보행기호잇기검사: 새로운 신체 및 인지 기능에 대한 이중 과제 평가도구로서의 효용성에 대한 예비연구 (Stepping Trail Making Test: Preliminary Study for the Effectiveness of the Novel Dual Task Assessment Tool for Physical and Cognitive Functions in Elderly )

  • 엄주리;이병주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41-48
    • /
    • 2023
  • PURPOSE: Falls are caused by a decline in physical and cognitive function. A quantitative evaluation tool that can comprehensively evaluate motor and cognitive functions for elderly people with an impaired physical function. This study assessed the clinical application potential by confirm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hysical function tests, cognitive and the stepping trail-making test (S-TMT). METHODS: Fourteen community-dwelling older patients (65-75 years) were recruited. The study conducted cognitive function tests with the trail-making test (TMT-A, B), and physical function tests (6-minute walking test (6MWT), short physical performance battery (SPPB), and timed up and go (TUG)). The results of were analyzed using SPSS version 21.0.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and the correlations between S-TMT, other functional tests were examined through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et to .05. RESULTS: S-TMT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TUG (r = .588*) and trail-making test-B (TMT-B) (r = .689*, p < .05). Furthermore, S-TMT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PPB (r = -.397) and 6MWT (r = -.422),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S-TMT is a cognitive-gait dual-task performance evaluation tool that can be performed safely.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confirmed between the TUG test and the TMT-B. S-TMT is a dual-task screening tool that can evaluate both physical and cognitive functions simultaneously.

도보여행길과 연계한 농촌마을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제주 올레길 주변 농촌마을 현장실태 조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Rural Village Related with the Trail - Focused on the Analysis of Field Investigation on the Rural Villages are Located Near the Jeju Olle Trail -)

  • 임창수;홍광우;김은자;김혜란;최진아
    • 농촌계획
    • /
    • 제19권1호
    • /
    • pp.91-107
    • /
    • 2013
  • In recent years, the number of walking-tourists who visit Jeju olle trail are increasing every year and the ripple effect is a rapid change on the roles and leadership of local people in rural villages. The reason for the change is that most Jeju Olle Trails cuts through the rural village in Jeju island. However, most of travelers just walked along the trails, no one was interested about villages along the Olle roads. For these reasons, many rural villages would not get any benefits such as non-farm income, sales profit and also can not activate the facility of village and infrastructure. Therefore, we study on Revitalization Method for rural villages through th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tourist in Jeju Olle Trails and a field survey research too. In this process, we investigated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the rural villages of Jeju island in the first step. Then, we considered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and factors for improving of the 10 places with site investigation where were recommended by Jeju Olle Corporation and Jeju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 in second step. Lastly, we arranged the resident's requirement and result of survey and interview with leaders of rural village. As a result, we suggest the activation methods for residents and leaders of rural area and this study is also expected to help management of rural villages and also is an important study to improve importance of utilizing of more people visiting in Jeju Olle Trails.

문화콘텐츠로서의 당산숲 인식 증진을 위한 방법론 고찰 -당(堂)과 연계시킨 제주도 저지오름 대안 탐방로 모색을 사례로- (Perspectives of methodology for Heighten Public Awareness of Dangsan Forest as Cultural Contents -Case of Alternative Trail of Jeoji Oreum Connected with Dang in Jeju Island-)

  • 최재웅;김동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924-934
    • /
    • 2013
  • 전통마을숲은 한국을 대표하는 전통 문화경관으로서 국가적 문화자산이다. 한라산 자락에 있는 기생화산 오름의 수는 총 368개이고, 제주도 전역에 총 391개의 신당(神堂)이 있는데, 근래에 관광객을 위한 올레길, 도로 개설 등으로 인해 제주 신당이 급속히 훼손되는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제 문화콘텐츠는 로컬리티(지역성)와 글로벌리티(세계성)를 같이 갖추어야 하며, 우리의 고유한 콘텐츠로서의 글로컬문화콘텐츠 생산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당(堂)과 연계한 제주도 저지오름 탐방로 개선방안을 고찰한 것이다. 당숲 구간을 오름 탐방로와 연계하면 실생활에 살아있는 전통문화경관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당과 오름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는 제주도 농어촌마을들이 탐방로를 따라 그 테마와 원형이 잘 보전, 관리된다면 세계적인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지닌 곳으로 인정받을 수 있을 것이다.

DOBI is cleaved by caspases during TRAIL-induced apoptotic cell death

  • Park, Sun-Young;Shin, Jin-Na;Woo, Ha-Na;Piya, Su-Jan;Moon, Ae-Ran;Seo, Young-Woo;Seol, Dai-Wu;Kim, Tae-Hyoung
    • BMB Reports
    • /
    • 제42권8호
    • /
    • pp.511-515
    • /
    • 2009
  • Downstream of Bid (DOBI) known as Pus10, has been identified as a modulator of TRAIL-induced cell death using RNAi library screening. The crystal structure of DOBI has revealed that it is a crescent-shaped protein containing the pseudouridine synthase catalytic domain and a THUMP-containing domain. Here, we demonstrated that DOBI is expressed in various tissues such as heart and lung, and is also expressed in various tumor cells such as HeLa and A549. Although ectopic expression of DOBI does not promote TRAIL death signaling in HeLa cells, knock-down of DOBI expression using shRNA inhibited TRAIL death signaling. DOBI is cleaved into a 54 kD cleaved DOBI during cell death, and the recombinant DOBI protein can be directly cleaved by caspases-3, or -8 in vitro. Together, these data suggest that the cleaved DOBI may acquire a new function, possibly by cooperating with tBid in the mitochondrial event of cell death caused by TRAIL.

숲길체험지도사의 조직몰입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직무동기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Forest Trail Guide's Organizational Commitment: Focused on the Job Motivation)

  • 하시연;이연희;엄문설;장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5권4호
    • /
    • pp.496-504
    • /
    • 2016
  • 숲길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숲길체험활동에 대한 확대가 중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는 건전한 숲길이용을 위한 체험활동의 목표를 달성하고, 이용자의 만족도를 충족시키기 위해 숲길체험지도사의 조직몰입과 직무동기를 중점으로 두 변수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직무동기 요인에 따른 조직몰입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숲길체험지도사 직무동기는 '개인적 만족추구', '일 자체의 가치', '외적 보상 인정'요인으로 구분되었고, 개인적 만족추구, 일 자체의 가치, 외적 보상 인정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직무동기는 조직몰입과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특히 개인적 만족추구와 외적 보상 인정에 있어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숲길체험지도사의 직무동기의 하위요인 가운데 '개인적 만족추구'는 타 하위요인보다 직무몰입과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나, 숲길체험지도사로서의 활동이 개인에게 자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등의 개인적 만족감을 높여주는 방안 강구가 필요하다.

국립공원 탐방로의 스트레스 지수 개발 (Developing a Stress Index for Trails in National Parks)

  • 한상열;이호승;권헌교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31권3호
    • /
    • pp.200-208
    • /
    • 2013
  • 본 연구는 사전 예방적 국립공원 관리정책 도입과 과학적인 근거중심의 공원관리를 위해 탐방로 중심의 세부지표를 추출하여, 국립공원 주요 탐방구간별 스트레스 지수개발과 지수를 활용한 단계별 공원관리 정책 수단을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탐방구간별 스트레스 지수의 개발을 위하여 국립공원 탐방로 총 144개 구간의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국립공원 스트레스 지수 개발을 위하여 델파이 설문 조사와 요인분석을 실시한 다음, 공원 탐방로별 스트레스지표 요인들의 표준화 점수를 이용한 스트레스 지수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8개(탐방객 수, 단체 탐방객 수, 정상탐방객 수, 탐방로 훼손정도, 탐방로 훼손정도, 샛길 총 연장, 쓰레기 발생량, 생물종 다양도 등)의 스트레스 지표가 선정되었으며, 스트레스 지수 산정을 위한 요인은 탐방량, 탐방영향, 탐방로 훼손, 생물종 다양도 등 4개로 추출되었다. 요인별 가중치 산정은 2차 델파이 조사에서 평가한 지표별 중요도 값을 기준으로 산정하였으며, 5점 척도 평균값을 요인별 순 가중치로 산정하였다. 다음으로 앞서 산출된 표준화점수에 따른 누적확률을 5등급화(20점 미만: 5등급 매우 건전, 20~40점 미만: 4등급 건전, 40~60점 미만: 3등급 보통, 60~80점 미만: 2등급 심각, 80점 이상: 1등급 매우 심각) 하였다. 구간별 스트레스 지수 산정 결과, 지수값이 80점 이상인 1등급 구간은 6개 공원(지리산, 북한산, 덕유산, 내장산, 설악산, 주왕산) 20개 구간으로 나타났다.

  • PDF

휠체어 사용자를 고려한 숲길의 장애요소 도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duction of the barrier factors in the forest trail for the disabled using wheelchairs)

  • 권형근;이준우;박범진;신원섭;염인환
    • 농업과학연구
    • /
    • 제38권2호
    • /
    • pp.235-241
    • /
    • 2011
  • Recently, as people have become more interested in health issues, their demand on forest trails for bush walking exercise has increased.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elect barrier factors into forest trail for disabled using wheelchairs. As a result this, it has selected 31 barrier factors through the Delphi method. Of all the these factors, the information board of forest trails, showing the location of the trails, has indicated the highest score of importance at 4.50. Next, securing hiker' walking safety space has indicated an importance level of 4.44; both the slope of forest trails and the height of obstacles have indicated an importance level of 4.38; and the effective width of forest trails has indicated the highest score of importance level of 4.33. From these indicated levels of importance, the respondents of the Delphi method consider the safety of users of forest trail'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while the physically disables are hiking. That is why these factors have resulted in acquiring relatively higher val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