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

검색결과 729건 처리시간 0.034초

ZnSe/CdSe/ZnSe 단일양자우물의 광발광 특성 (Photoluminescence of ZnSe/CdSe/ZnSe Single Quantum Well)

  • 박재규;오병성;유영문;윤만영;김대중;최용대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92-196
    • /
    • 2007
  • Hot wall epitaxy 방법으로 우물층의 두께를 바꾸어가며 ZnSe/CdSe/ZnSe 단일 양자우물을 성장하였다. 양자우물층의 두께는 TEM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광발광의 세기와 반치폭의 변화로부터 양자우물층의 임계두께는 약 $9{\AA}$임을 알 수 있었다. 우물층의 두께가 임계두께 보다 작을 때 광발광과 PLE 스펙트럼의 비교로부터 stoke's shift를 확인하였고, 이는 엑시톤 결합 에너지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우물층의 두께에 대한 광발광 피크의 에너지 이동은 이론치와 잘 일치하였다.

추천기법별 고객 선호도 및 영향요인에 대한 분석: 전자제품과 의류군에 대한 비교연구 (An Analysis of Customer Preferences of Recommendation Techniques and Influencing Factors: A Comparative Study of Electronic Goods and Apparel Products)

  • 박윤주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8권2호
    • /
    • pp.59-77
    • /
    • 2016
  • 전자상거래 시장에서는 점차 다양한 추천기법들이 적용되고 있으나, 고객 관점에서 이에 대한 사용의도를 비교 분석한 연구는 매우 드물다. 본 연구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베스트셀러 추천, MD(Merchandiser)추천, 내용기반 추천, 협업필터링 추천, 그리고 지인추천 등의 다섯 가지 추천기법들에 대한 고객의 사용의도를, 전자제품군 구매 시와 의류군 구매 시에 대해서 비교 분석하였다. 이와 더불어, 어떠한 요소들이 고객의 추천서비스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추천서비스 사용경험이 있는 전자상거래 사용자 총 2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한 후, 분산분석(ANOVA), 회귀분석 등을 사용하여 데이터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결과, 추천기법에 따른 고객의 추천서비스 사용의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으며, 특히 전자제품군 구매 시에는 베스트셀러 추천기법이, 의류군 구매 시에는 내용기반의 추천기법이 가장 선호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객의 인물특성, 성격요인, 구매성향, 구매하려는 제품에 대한 인식 및 추천서비스에 대한 인식 등이 추천서비스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세부적인 영향요소들은 추천기법별로 상이하게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는 기업들에게 제품군 및 개인의 성향에 적합한 기법을 채택하여 추천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라인(guideline)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국가연구시설.장비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인식조사와 등록프로세스 개선요인 도출 (A Study on Recognition Methodology and Deduction Improvement Factors of the Registration Process for the Efficient Use of National Research Facilities & Equipments)

  • 염동기;신진규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733-762
    • /
    • 2014
  • 정부는 과학기술 핵심 인프라인 연구시설 장비의 이용 효율화를 위해 국가 연구개발 사업예산을 통해 구축한 연구시설 장비를 국가과학기술정보서비스(NTIS)에 등록할 것을 의무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가연구시설 장비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연구기관 구성원의 인식도 조사를 시행하고, 식스시그마 DAMIC 방법론을 통해 국가연구시설 장비 등록 프로세스 개선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도출함으로써 국가연구시설 장비의 운영 선진화와 활용 극대화 정책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A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먼저 연구시설 장비의 대학 관계자인 연구책임자, 보직교수, 대학원생, 연구원, 직원을 대상으로 설문과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인식도 조사 결과, 연구시설 장비의 전주기적 관리와 구체적인 절차에 대한 인식이 부족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학의 경우 국가연구시설 장비의 운영선진화와 활용극대화를 위해서는 대학현장의 의견을 수렴하고 대학의 고유한 특성을 반영한 정책 추진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연구시설 장비 등록 프로세스 개선을 위해 식스시그마 방법을 통해 CTQ-Y로 연구시설 장비 등록기한 준수율과 연구시설 장비 등록정확도를 선정하였다. Process Map과 C&E Diagram을 통해 72개 잠재원인변수를 도출하였고, 이를 대상으로 X-Y Matrix와 Pareto Chart를 통해 최종적으로 13개 잠재원인변수를 확정하였으며 개선안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기관마다 연구기관의 특성에 맞게 등록프로세스 개선에 영향을 미치는 잠재원인변수를 추출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상세개선안을 마련함으로써 국가연구시설 장비의 활용 극대화를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미래 융합형 과학기술인재(STEAM)를 위한 미래학교 특성 탐색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Future Schools for Students with Future Convergent STEAM Talents)

  • 곽미선;곽영순;이수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479-488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미래 융합형 과학기술인재가 갖추어야 할 역량을 도출하고 이러한 역량을 양성할 미래학교의 인재상, 교수 학습 방법, 평가방법, 교사들의 역량 및 양성방안을 탐색하는 데 있다. 미래학교의 모습을 도출하기 위해 현장교원, 과학기술 분야 대학생 등 관련 분야 종사자 25명이 참여하여 미래워크숍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미래 융합형 과학기술인재들은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에 대처할 수 있는 유연한 사고, 기존의 방식이 아닌 새로운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창의적 사고를 지닌 인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다시 말해, 예상치 못한 상황을 받아들이고 그 상황에서 적절하게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힘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미래학교의 모습 역시 유연하고 활동적으로 변화될 필요가 있다. 지식기반의 정보를 전달하는 경직된 학교에서는 유연하고 창의적인 인재를 길러낼 수 없기 때문이다. 미래학교는 학생들이 자연스럽게 여러 가지 상황에 직면하여 크고 작은 문제를 해결해나갈 수 있도록 활동 기반의 수업으로 변화해야 하며, 성취기준이 아닌 상황별로 학생들이 보인 결과를 정리하여 피드백 할 수 있는 평가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교사 역시 다양한 경험을 가지고 지속적으로 교수역량을 개발해나가는 교사가 될 수 있도록 제도와 시스템을 개편해야 할 것이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미래 융합형 과학기술인재 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뇌졸중 환자의 가상현실 프로그램이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 메타분석 (The Effect of Virtual Reality Programs on Upper Extremity Function in Stroke Patients : A Meta-Analysis)

  • 조성현;최기복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429-439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분석을 통해 가상현실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에 미치는 효과크기를 알아보고자 한다. 데이터베이스는 한국교육학술정보원(RISS), 한국학술정보(KISS), 국립중앙도서관,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 국가과학기술정보센터(NDSL)를 활용하였다. 2010년 1월부터 2019년 6월까지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실시한 선행연구들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PICO(Patient,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 PICO)기준에 의거하여 최종 14편을 선정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질 평가도구로 RCT(Randomized Control Trials) 연구는 RoB(Risk of Bias) 도구, NRCT(Non-Randomized Control Trials) 연구는 RoBANS(Risk of Bias Assessment tool for Non-randomised Study) 도구를 사용하였다. 선정된 각 연구들의 효과크기를 산출하기 위해 CMA 3.0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추가적으로 하위집단분석과 메타회귀분석 및 출판편의 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상현실 프로그램이 상지기능에 대한 전체 효과크기는 Hedges's=0.390 (95 % CI: 0.192~0.587)으로 확인되었다(p<.05). 가상현실 프로그램은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4차 산업에 발맞추어 뇌졸중 환자를 위한 다양한 가상현실 프로그램과 산학 협력 기술 개발이 요구된다. 향후 가상현실 프로그램에 대한 RCT연구들과 세부적인 상지기능에 대한 연구가 질적 및 양적으로 확보되어야 할 것이다.

가상현실(VR/AR) 기술 기반으로 군 안전 및 자살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체험훈련장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stablishment of Safety Training Center Based on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for Military Safety and Suicide Accident Prevention)

  • 최성오;민용식;김성일;최종근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139-148
    • /
    • 2020
  • 현재 우리 군은 과학과 기술의 발달, 2000년대 들어 급격히 심해진 저 출산율, 병 복무기간 단축 등으로 병력위주에서 장비위주로 첨단화, 고속화, 복잡화 되어가고 있다. 즉, 한 번의 실수로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실정이다. 선진국과 민간 안전교육 체계 및 교육성과 등을 분석해보면 군 안전 및 자살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체험교육이 중요하며,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체험교육을 위해서는 안전체험훈련장 건립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지금 입대하고 있는 장병들은 일명 인터넷세대로 태어나면서부터 인터넷을 접하면서 성장하여 가상·증강현실(VR / AR)을 자유롭게 활용하고 있으며, 지금의 과학 기술 수준은 국민안전체험관의 체험실 대부분을 가상·증강현실로 대체할 수 있을 정도의 수준까지 발전하였다. 따라서 군 안전체험훈련장은 설치공간, 건립비, 유지비, 사용자 특성, 교육효과 등을 고려하여 '응급처치'처럼 모형이 효과적인 체험실 몇 개를 제외한 많은 체험실을 가상·증강현실로 건립할 필요성이 있다. 가상·증강현실(VR / AR) 기술의 발전, 국민안전체험관 운용실태, 군 부대 특성, 설치비 및 유지비 등을 고려하여 체험훈련 소요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국민안전체험관 대비 저비용으로 효과적인 훈련성과를 달성할 수 있는 안전체험훈련장 구축방안과 부대별 교육인원 및 주변 여건에 부합한 안전체험훈련장 규모와 체험실 구성에 대해 제시하였다. 향후 이를 기반으로 안전체험훈련장을 구축하여 체험교육을 한다면 군 안전 및 자살사고를 예방하는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스마트 캠퍼스 문헌고찰을 통한 프레임워크 개발 및 주요 이슈 분석 (From a Literature Review to a Conceptual Framework, Issues and Challenges for Smart Campus)

  • 나종연;이진명;이화옥;조은빛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4호
    • /
    • pp.19-31
    • /
    • 2016
  •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대학교육에 있어 새로운 패러다임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를 반영한 스마트 캠퍼스 구축은 전 세계적으로 대학의 핵심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 캠퍼스 관련 문헌들을 고찰함으로써 주요 이슈들을 논의하고, 스마트 캠퍼스의 체계적 구축을 위한 프레임워크를 개발하고, 나아가 학문적, 실무적으로 유용한 제언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스마트 캠퍼스에 관한 국내외 최근 연구들을 1) 학습 및 지식 중심의 접근, 2) 기술 중심의 접근, 3) 통합적 접근, 4) 이용자 중심의 접근의 네 가지 연구 관점별로 고찰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스마트 캠퍼스 프레임워크를 도출하였다. 스마트 캠퍼스 이용자 범주에는 직접적 이용자인 학내 구성원뿐만 아니라 간접적 이용자로서 지역사회 및 비즈니스 이해관계자까지 포함되었으며, 스마트 캠퍼스 프레임워크에는 스마트 교육, 스마트 생활, 스마트 행정의 세 영역에 포괄되는 세부 활동영역과 스마트 캠퍼스 동기 요인들이 제시되었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제기되는 주요 이슈와 문제점들을 고찰함으로써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스마트 캠퍼스 추진을 위해 요구되는 대응 방안들을 제언하였다.

농업기상재해 조기경보서비스의 전국 확대에 따른 경제적 타당성 분석 (Economic Feasibility Analysis of Nationwide Expansion of Agro-meteorological Early Warning Service for Weather Risk Management in Korea)

  • 서상택;정윤희;김수진;심교문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36-244
    • /
    • 2023
  • 본 연구는 조기경보서비스의 전국 확대에 따른 서비스 제공의 경제적 타당성을 검토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방법으로는 비용편익분석법의 하나인 순현재가치법을 준용하였다. 순현재가치를 구성하는 편익항목으로 농작물재해보험 실적자료를 이용한 피해경감액과 농가의 조기경보서비스 이용에 따른 지불의사액을 이용하였으며, 비용항목은 시스템 구축 및 유지비용, 그리고 문자발송 비용 등을 포함하였다. 분석결과, 조기경보서비스의 전국 확대는 경제적 타당성이 있으며, 그 효과는 참여농가의 문자이용 수준(10%~40%까지, 10%p간격)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조기경보서비스 참여농가가 증가할 경우 조기경보서비스의 경제적 효과는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효과적인 정보의 전달 및 활용을 위해 문자뿐만 아니라 앱이나 웹을 통한 정보전달 수단을 적극 활용함으로써 조기경보서비스의 경제적 효과를 더욱 증진시킬 필요가 있다.

IPA분석을 통한 대학캠퍼스 창업공간 실증분석 - 만족도와 중요도 분석을 중심으로 - (The Empirical Study on University Campus Startup Space by IPA - Focused on satisfaction and importance analysis -)

  • 조형진;이용환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20권4호
    • /
    • pp.13-20
    • /
    • 2021
  • 각 국가에서는 다양한 창업 진흥을 위한 정책을 마련하고 있으며, 우리 정부도 고용 창출을 위한 기술기반의 창업을 통해 창업과 국가 경제가 선순환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최근 창업기업 수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특히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는 산업구조 전환에 따라 정보통신, 과학·기술 서비스업, 사업지원 서비스업 등 지식을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업을 바탕으로 기술기반업종 창업기업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연구의 목적은 대학에서 제공하는 창업공간이 창업 친화적인 특성을 반영하고 있는지 실태를 파악하고, 실제 대학캠퍼스 창업공간 이용자가 필요로 하는 공간의 만족도와 요구사항을 조사·분석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공간 구성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공간 요소별로 대학이 창업공간을 마련함에 있어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요소를 도출하였다. 그러므로 대학캠퍼스는 향후 창업지원제도 중 공간 제공의 중요성을 깊이 인식하고, 창업공간의 구축과 개선에 있어 수요자의 공간에 대한 만족도를 통하여 주기적으로 개선해야할 필요가 있다.

사물인터넷 기반의 배뇨관리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oT based Urination Management System)

  • 이학재;이경훈;김영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209-218
    • /
    • 2017
  • 헬스케어 서비스는 생체신호 측정, 질병의 진단 및 예방을 위한 독자적인 다수의 서비스 플랫폼을 통해 제공할 수 있으며 인터넷, 모바일 등의 정보통신(ICT) 기술이 융합해 언제, 어디서나 이용자에게 건강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사물 인터넷의 중심에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배뇨관리 시스템을 설계하고 그 성능을 평가하였다. 배뇨관리 시스템 구성을 위해 저 전력의 지그비 네트워크를 구축하였으며 구현된 정전 용량형 기저귀 센서는 약 2,000시간의 동작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초소형 임베디드 디바이스인 라즈베리파이를 활용하여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구축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저장하여 안드로이드 기반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데이터를 확인하였다. 제안된 배뇨관리 시스템은 요양병원 등 고령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활용이 가능하며, 영유아를 대상으로도 편리하게 이용이 가능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