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mpirical Study on University Campus Startup Space by IPA - Focused on satisfaction and importance analysis -

IPA분석을 통한 대학캠퍼스 창업공간 실증분석 - 만족도와 중요도 분석을 중심으로 -

  • 조형진 (서울대학교 연구처) ;
  • 이용환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 Received : 2021.12.09
  • Accepted : 2021.12.28
  • Published : 2021.12.31

Abstract

In the world, each country is preparing various policies to promote start-ups, and the Korean government is actively promoting policies to support start-ups and the national economy through technology-based start-ups for creating jobs. Recently, the number of start-up companies is on the rise. In particular, in accordance with the industrial structure transformation lead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based start-ups are steadily growing based on knowledge-based services such a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service industry, and business support service indust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the startup space provided by the university reflects the startup-friendly characteristics, and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satisfaction and requirements of the space required by the actual college campus startup space users to create a more efficient space configuration plan. Through this study, factors that should be considered first for universities in preparing startup spaces were derived for each space ele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university campuses to deeply recognize the importance of space provision among the future start-up support systems, and to improve them periodically through the consumers' satisfaction of the space in the construction and improvement of startup spaces.

각 국가에서는 다양한 창업 진흥을 위한 정책을 마련하고 있으며, 우리 정부도 고용 창출을 위한 기술기반의 창업을 통해 창업과 국가 경제가 선순환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최근 창업기업 수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특히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는 산업구조 전환에 따라 정보통신, 과학·기술 서비스업, 사업지원 서비스업 등 지식을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업을 바탕으로 기술기반업종 창업기업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연구의 목적은 대학에서 제공하는 창업공간이 창업 친화적인 특성을 반영하고 있는지 실태를 파악하고, 실제 대학캠퍼스 창업공간 이용자가 필요로 하는 공간의 만족도와 요구사항을 조사·분석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공간 구성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공간 요소별로 대학이 창업공간을 마련함에 있어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요소를 도출하였다. 그러므로 대학캠퍼스는 향후 창업지원제도 중 공간 제공의 중요성을 깊이 인식하고, 창업공간의 구축과 개선에 있어 수요자의 공간에 대한 만족도를 통하여 주기적으로 개선해야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 한국연구재단(2021). 2019 대학 산학협력활동 조사보고서
  2. 김성식, 전병훈, 윤성임(2020). 창업지원정책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메타분석. 벤처창업연구, 15(6), 95-114. https://doi.org/10.16972/APJBVE.15.6.202012.95
  3. 김은진(2013). 스타트업의 창업공간에 관한 연구: 서울의 스타트업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춘호, 양동우(2018). 대학생의 학점 및 비학점 창업교육 참여도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창업교육만족도의 매개효과와 교내창업지원제도의 조절효과. 한국창업학회지 13(4), 116-139. https://doi.org/10.24878/TKES.2018.13.4.116
  5. 노승한, 장수진, 김진영, 김도년(2017). 창업자들의 창업공간 구성과 선호에 관한 연구. 한국도시설계학회지 도시설계, 18(6), 109-124.
  6. 박여진(2016). 프로그램 및 공간특성 분석을 통한 창업지원센터 계획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배은솔(2019). 부산광역시 지식서비스업 창업의 공간적 분포와 입지결정요인 분석.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손윤정(2018). 대학창업 생태계와 창업보육센터의 성과: 한밭대학교 창업보육센터를 중심으로. 한밭대학교 창업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오정란, 이용환(2020). 계층화 의사결정방법을 통한 교육환경 분석, 교육녹색환경연구, 19(4), 70-77. https://doi.org/10.7743/KISEE.2020.19.4.070
  10. 이성호, 김정음, 남정민(2020). 대학 창업교육 및 창업지원제도 분석을 통한 대학창업발전방안 연구: D대학 창업교육 및 창업지원제도를 중심으로. 벤처창업연구, 15(4), 151-160. https://doi.org/10.16972/APJBVE.15.4.202008.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