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rrative mediation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3초

대인 갈등 조정의 서사적 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Conflict Mediation in Interpersonal Conflict Situations)

  • 김인영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51권
    • /
    • pp.87-116
    • /
    • 2010
  • 본 연구는 대인 갈등의 특징을 분석하고, 갈등 조정의 서사가 어떠한 특징을 지니고 구성되며, 조정 과정을 거치면서 어떠한 해체 과정을 통해 대안적 이야기로 변화되는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과정에서 갈등조정가가 동원하는 커뮤니케이션 기법을 중심으로 수행하는 역할을 밝히려는 것도 또 다른 연구의 목적이 된다. 본 연구를 통해서 포스트모던 이론의 하나인 사회구성주의 관점의 서사적 갈등 조정의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야기 구성을 통해 이루어지는 서사적 갈등 조정은 과거의 경험에 대해서 심리 중심으로 접근하는 갈등에 대한 치료적 방식과 함께 미래에 대한 대안을 행위 중심으로 접근한다. 특히 갈등의 문제를 대화로 연결하고, 갈등과 문제의 의미를 공동으로 창조하여 발전시켜 나가는 체계로서의 서사 조정은 인간의 주체성과 갈등의 고유성을 전제하면서 새로운 변화를 추구한다. 이러한 지점이 갈등을 커뮤니케이션의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주장에 정당성을 부여한다. 특히 이 과정에서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기법들이 갈등 조정에 결정적인 효력을 발휘하고 있다는 것은 갈등 현장에서의 조정 전문 분야 중의 하나로 커뮤니케이션학을 정립할 수 있는 핵심적 근거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 PDF

산후 분노에 대한 서술적 문헌고찰 (Postpartum Anger: A Narrative Review)

  • 백서영;정슬기;김성해;김수;유호지
    • 부모자녀건강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8-38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rends of research on postpartum anger experienced by women after childbirth, through a narrative review. Methods: Articles published from 2008 to 2018 were searched in seven electronic databases using combinations of the terms 'anger', 'angry', 'aggress*', and 'postpartum'. Results: Ultimately seven studi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Six of the quantitative studies and one qualitative study were included and postpartum anger or anger was found to be measured in all six quantitative studies. Postpartum anger was influenced by hostility during pregnancy and women's dependence and self-criticism of women after childbirth. Attachment with parents in the past and affection between married couples in the present influenced the expression and management of anger.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postpartum anger was influenced by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such as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women, past experiences, current marital relations and social support. However, there was no study focusing on postpartum anger and related factors in domestic context. Thus, we suggest future studys which clarify the concept of postpartum anger and its measurement so that awareness of postpartum anger can be improved and mediation could be developed.

  • PDF

기계설계분야 중견 엔지니어의 일과 학습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 엔지니어의 직무관련 학습의 맥락과 공학교육에 대한 시사점 찾기 (A narrative research on the job and the job-related learning of a mechanical engineer - an exemplary study on the characteristic of job-related learning of engineer in work place and it's implication on engineering education)

  • 임세영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26
    • /
    • 2013
  • 이 연구는 기계설계 분야의 중견엔지니어 한 사람을 중심으로 그가 수행하는 구체적인 과업은 무엇이며 그와 관련하여 이루어지는 학습은 무엇인지, 일터에서 이루어지는 직무관련 학습의 맥락은 무엇인지 내러티브 연구방법에 의해 탐구하였으며, 이것이 공학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연구결과 연구참여자는 취업 후 수입대체를 위한 초창기 반도체 검사장비 개발을 위해 독립적으로 개발할 장비에 관한 기초지식을 습득하고 장비의 개념설계를 하였으며, 볼 타입 반도체 검사장비개발 동료들과 함께 장비의 구체설계를 하였고, 근무하던 회사의 폐업 후 잔류 엔지니어들과 함께 창업, 인터뷰 당시 이 기업의 경영자로 일하였다. 그가 엔지니어로서 수행한 주요 실무는 공학적 문제해결이었으며, 비형식적 학습의 과정이었다. 그는 실무수행 과정에서 프로젝트 관리, 자기주도적 과업수행, 기능분석, 추론과 검증, 긴밀한 협동, 대화와 토론, 시행착오, 암묵적 경험지식의 체계화, 총체적 사고, 환경변화의 지각과 기술수요 예측, 인간관계와 업무의 조화, 리더십 등을 경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공학교육이 프로젝트 학습, 자기주도적 학습, 대화와 토론 능력 교육을 위한 협동학습, 성찰학습, 실무적 경험을 이론화하는 학습, 인간관계와 리더십 교육 등을 강화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얻었다.

Character and Historical Consciousness in Thomas Hardy's The Mayor of Casterbridge

  • Kim, Chan-Young
    • 영어어문교육
    • /
    • 제11권2호
    • /
    • pp.171-194
    • /
    • 2005
  • The essay attempts at a critical reading of Thomas Hardy's The Mayor of Casterbridge (1886) in terms of character and socio-cultural change. Juxtaposing the story of Michael Henchard's career with the social and economic changes in the agricultural town, it attempts to elaborate on the complex ways in which Hardy relates the old modes of life and thinking to the material culture. Though the novel is centered on the story of Henchard, the Henchard-Farfrae clash represents the conflict of "old" and "new" modes of socio-economic organization and consciousness. The story of the rustic man of character struggling with his contradictory traits of strong will-power and emotional collapse suggests that Hardy's literary representation of the rural community and the rustic protagonist is deeply rooted in historical reality. However, while there is the interlocking of the changes in personal fate and social change, the representation is a "reinvented" literary construction with complex mediation. Despite the narrator's emphasis on Henchard's immutability, peculiarity, and resilience, his character is, in a complex, mediated way, shaped by the material conditions of English rural community in the late 19th century. The mediating role of Elizabeth-Jane as a narrative resolution embodies Hardy's ambivalent historical position concerning the period undergoing change and conflict.

  • PDF

온·오프라인 매개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 구조 제안 : 대체현실게임과 AR게임의 비교를 중심으로 (A Suggestion for Structure of Interactive Storytelling that Mediates Online and Offline: Focusing on the Comparison between ARG and AR Games)

  • 김지영;권병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687-700
    • /
    • 2021
  • AR 등 실감기술의 등장은 상호작용의 영역을 컴퓨터 환경 내에서 오프라인 공간으로 확장했다. 즉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넘나드는 상호작용이 등장한 것이다. 향후 수요 증가가 예상됨에 따라 그 서사적 연구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나, 현시점 논의는 온라인 내 상호작용에 머물러 있다. 본 연구는 온·오프라인 매개를 특징으로하는 상호작용적 서사에서 상호작용성과 서사성을 조화로이 달성하기 위한 스토리텔링 구조를 제안한다. Henry Jenkins의 '환경적 스토리텔링' 이론에 기초해 대체현실게임과 AR게임의 사례를 연구한 결과, 이를 위해서는 창작자가 설계한 공간과 플레이어의 상호작용에 의해 생성되는 공간 간 균형이 이루어져야 하며, 온·오프라인 양 공간에 적절한 역할 분배가 이루어져 함께 서사의 형성에 기여해야 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현실의 시공간 공유, 지역성 기반 협력 등 오프라인의 공간성에 기반해 상호작용성과 서사성을 조화로이 달성해내는 대체현실게임의 특성을 차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기존 온라인 내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논의되었던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의 영역을 오프라인으로까지 확장하고, 상호작용 방식뿐 아니라 영역을 고려 요소로 제언한 데에 의의가 있다. 더불어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매개하는 스토리텔링의 기반연구로서 AR게임 등 실감기술 기반 콘텐츠 즉, 가상과 현실을 매개하는 콘텐츠의 개발에 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

문자와 영상, 관객과 영화의 사이에서 -미디어로서의 단성사 주보와 전단(1926-1937) (Between Text and Image, The Audience and Film -The Weekly Newsletters and Leaflets of Dansungsa as Media (1926-1937))

  • 남기웅
    • 대중서사연구
    • /
    • 제27권1호
    • /
    • pp.99-130
    • /
    • 2021
  • 영화관에서 발행한 주보와 전단 등 인쇄물에는 영화관의 프로그램과 상영·배급, 주요 행사 등의 정보가 담겨 있어 그 가치가 상당하다. 이를 통해 해당 영화관의 정체성과 선전 전략, 관객성 등 당시의 영화문화를 복원할 수 있는 구체적인 정보들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1926~1937년에 영화상설관 단성사에서 발행한 주보와 전단에 대해 소개하고, 영화관이 발행한 프로그램 인쇄물을 영화에 종속된 부가물로서 영화 역사의 단편으로 귀속시키는 것을 넘어, 문자문화와 영상문화, 관객과 영화가 교호하던 독립된 미디어로서 고찰하고자 한다. 1920~1930년대에 단성사는 조선극장, 우미관과 경쟁하는 과정에서 주보와 전단의 발행을 선전 전략의 핵심으로서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이 시기 단성사는 수영사(秀英社)를 비롯한 경성 남촌의 여러 인쇄소를 통해 주보와 전단을 발행함으로써 당대의 선전전(宣傳戰)에서 우위를 점하며 영화문화를 주도하게 된다. 단성사에서 발행한 인쇄물이 큰 효과를 거둘 수 있었던 것은 미디어가 본질적으로 지니고 있는 '매개성'을 전략적으로 잘 활용하고 있었기 때문인데, 이는 크게 세 가지 차원과 관련되어있다. 첫째는, 주보와 전단이 지면을 통해 문자문화와 영상문화를 매개하는 방식이다. 단성사의 인쇄물은 '명멸하는 미디어'로서, 짧은 수명을 상쇄하기 위해 문자와 영상을 변증법적으로 매개하여 하나의 지면에 감각적이고 직관적으로 배치하는 전략을 취했다. 둘째는, 당대의 관객을 팬(fan)으로 호명하며 영화문화와 매개하는 방식이다. 단성사의 인쇄물은 끊임없이 관객을 팬으로 호명하고, 이들을 충성도 높은 집단으로 조직하면서 관객과 영화 사이를 매개하였다. 셋째는, 식민지 조선과, 영화로서의 '세계'를 매개하는 방식이다. 당시의 조선인들은 인쇄매체를 통해 조선과 세계의 '차이'를 감각하고 인식하였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이 1920~1930년대 경성의 문화지형에서 단성사의 인쇄매체가 '명멸하는 미디어'로서 독립된 문화영역을 구축하였음을 밝힐 것이다.

론 아라드의 실내공간에 나타난 해체주의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constructive Characteristics of Interior Spaces of Ron Arad)

  • 이진영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5권5호
    • /
    • pp.95-103
    • /
    • 2006
  • Ron Arad, the master of contemporary design in the U.K., is one of representative leaders of this age who has left distinguished achievements in the history of contemporary design through innovative design. Analyzing and understanding the Deconstructive design concept and the deconstructive characteristics of interior space of Ron Arad will contribute to finding directions for today's design and laying the ground for explaining the development pattern of design in the 21st century. After analyzing the deconstructive characteristics of each selected space, One Off and Ron Arad Associates have shown a deconstructive design trend of a creative formula by using methods that shed conventional processes and material while a space composition and form of new concept was attempted in the resting space of the New Tel Aviv Opera House, offering not only the establishment of a new circulation system, but also diverse experiences of space to visitors. Likewise, a temporal experience and communication between the user and the space was attempted in Belgo Noord and Belgo Central by partially applying a narrative space composition that sheds existing design concepts. At the Millennium House, they have produced an interior space for future house developed by breaking off from existing typical design development work and material through computer operation, and made various forms of space and atmosphere possible by attempting variable elements and the use of ultramodern material. Y's fashion shop has granted variability to the form and volume of space according to time by presenting display elements that have shed existing form and function. Hotel Puerta America as well, with a curved structure that has broken off with existing forms and maximized space variability through structures that have utilized ultramodern materials and instruments. Through this study, it has been verified that Ron Arad has been unraveling connections between interior space and its user, its requirements, and the original unique principles of space by applying deconstructive design concepts, and that through the mediation of these spaces, he is attempting indirect communication with the user. Eventually, he is taking part in the harmony and development of all elements of space connected with human beings by applying deconstructive design concepts.

한국 가상현실 게임소설의 스토리텔링 (Storytelling of Korean Virtual Reality Game Fiction)

  • 김후인;이민희;한혜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55-63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한국 가상현실 게임소설에 나타난 게임과 소설의 재매개 양상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한국 가상현실 게임소설의 서사적 특징을 도출했다. 나아가 웹을 기반으로 삼는 한국 게임소설이 대중문학으로서 확장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둔다. 한국 가상현실 게임소설에서 주인공은 20대 남성으로, 신자유주의 사회에서 소외된 계층이자 결핍된 성과주체로 설정된다. 이들은 현실 세계의 결핍요소 때문에 가상세계로 진입하는데, 이 때 해외 게임소설에서 강조되는 가상세계로의 접속 방법 및 과정 등이 국내 소설의 경우 소략하게 제시된다. 또한 한국 가상현실 게임소설의 주인공이 수행하는 반복적 행동은 자기 파괴적인 노동의 범주에 속하며, 주인공은 나르시시즘적 징후를 보인다. 마지막으로 한국 가상현실 게임소설에서는 마법원이 흐릿하게 나타나면서 현실 세계와 가상세계가 연계되어 나타난다. 이 과정에서 가상세계가 현실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체적 공간으로 기능한다. 이러한 서사적 특징은 북미 유럽 등과 차별적인 한국 게임소설만의 특이점이다.

최명희의 소설 『혼불』에서 추출한 소나무의 경관언어 (A Scenery Word of Pine Tree Extracted in Choi Myoung Hee's Novel 『Honbul』)

  • 노재현;김화옥;박율진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61-72
    • /
    • 2014
  • 최명희의 소설 "혼불" 속 소나무 표현 어휘와 문장, 문맥 등의 분석과 해석을 통해 소나무의 지칭어와 상징성 등의 토속적 경관언어를 조명한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설 "혼불" 속에 묘사된 소나무 관련 경관언어는 매우 다채롭고 다양한 방식과 표현을 통해 전개되고 있다. 특히 소나무 지칭어와 쓰임새에 대한 어휘 표현상의 다양성과 세분화된 양상이 읽혀진다. 둘째, 소설 "혼불" 속 경관언어는 다양한 상징을 보이는데 소나무가 갖는 고유 이미지와 통시적 상징성뿐 만 아니라 소설의 서사구조상 '혼불'이라는 상징 이미지를 구체적으로 구현시키기 위한 경관언어로서 자리매김 된다. 셋째, 소설 "혼불"에 묘사된 경관언어는 소나무의 선형미와 재질감 그리고 오감을 통한 공감각적 표현 등으로 심미성을 극대화하고 있다. 넷째, "혼불"에 나타난 배경지 경관은 소나무 고유의 상징성과 이미지를 토대로 소설의 서사구조상, 소나무가 하늘과 땅, 신과 인간 그리고 성과 속을 넘나드는 상징적 배경막이다. 다섯째, 소나무 관련 경관언어는 소설 속 인물의 정신과 정서를 대변하는 표상이며 자연의 인격화, 사물의 신격화 그리고 공간의 우주화를 추구하기 위한 장치이자 소설 배경지의 경관성과 의미망을 표현하는 표상적 이미지 또는 상징체로 활용되고 있다. 소설 "혼불"에 등장하는 소나무의 어휘 표현 및 상징성을 다룬 본 고는 소설의 배경무대는 물론 남원 소나무의 토속적 경관 이미지와 경관언어를 이해하는데 시금석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한국인 영아초기 수유시 모아상호작용 행동형태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Mother-Infant Interacting Behavior Patterns Related to Newborn Infant Feeding in Korea)

  • 한경자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89-116
    • /
    • 199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mother -infant interacting behavior patterns related to newborn infant feeding and to explore the mother's cultural belief about their infant.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by observation and interview. Twenty-five mothers and their newborn infants who were normally delivered and were also planned to breast feed were comprised a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ll subjects were interviewed and observed individuaily at 1 to 5 days after the delivery at the hospital, mid -wife's clinic, Maternal Child Health Center and their home throughout the country from remote area to big city, The observation data were recorded with symbolic letter on a recording sheet newly developed as a result of preliminary study. The interview data were taperecorded and then recorded in narrative form. Mother - infant interaction behaviors in early feeding period were analyzed based on 19 analytic sub-categories and their composing elements. Unit of analysis were mother, infant and mother -infant dyad. 8 analytic categories draw from the data. Each were preparation, instrument, interaction inducing, evaluation referred to mother's behavior, preparation, instrument, interaction inducing referred to infant's behavior and synchronic behaviors referred to mother - infant dyad. Frequencies of behavior items based on the categories were converted to percent. The result showed that in mother's preparation behavior, the breast condition of Korean mother can be an affecting factor for mother - infant interaction during feeding, and vocalization behavior was observed most frequently in interaction inducing behavior while the least frequent behavior observed was contacting. Subcultural characteristics of mother - infant interaction behaviors were analyzed for their relationships between groups of mothers who have lived in remote area vs urban area, and who were multipara vs primipara. Using a chi -square te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in the activity of psychological readiness in preparation behavior and the movement of extremities for the position of instrumental behavior in both groups. However, interaction inducing behaviors were not related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in any set of groups. Accomplishment of marriage, bonding and emotional mediation of family members were the categories related to mother's cultural belief about the infant in aspect of functional values. Infant at birth is considered little more than a biological organism without social capabilities. Although the newborn infant is still be attached to his mother, he makes his mother extend her territoriality. The mother's interacting behavior toward her infant based on those beliefs appeared task oriented, separative behavioral series. On the other hand, it was seen that infant reacted independently to his mother's behavior by the in-nate perceptual abilities. Those independent behavioral series of mother and infant on the feeding situation were synchronized at any moment. Nurses are In a unique position to teach mothers about their infant's capabilities and help reducing some of uncertainty about infant's behaviors.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the informations infant's social capabilities and breast feeding should be given to the mot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several implications for nursing. First, the study results will be used as fundamental resources for the development of the assessment tool about the early mother - infant interaction. Second, the results could be a relevant information in the fied. I of maternal child nursing education as real and useful data. Third, the behavioral patterns of early mother - infant interaction which were classified based on the qualitative analysis could be used for nursing theory development as very fundamental dat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