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mhae Island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25초

2007년 남해안 멸치의 산란밀도와 어장가입 (Spawning Density and Recruitment of Janpanese Anchovy, Engraulis japonica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in 2007)

  • 차병열;양원석;김주일;장선익;추은경;박주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90-197
    • /
    • 2008
  • 우리나라 남해안에서 멸치의 주 산란기인 2007년 5월부터 8월까지 멸치 난자치어의 분포와 해양환경요인과의 관계를 분석하고, 권현망에 의한 해역별 어획량과 체장조성 자료와 종합하여 멸치의 시공간 분포 변화를 분석하였다. 1. 멸치의 난은 5월부터 8월까지 분포하였으나, 분포밀도는 7월에 가장 높고 8월에 가장 낮았다. 2. 난의 주 분포해역은 남해도와 거제도 간 해역이며, 난이 많이 채집된 곳의 수온범위는 $15{\sim}24^{\circ}C$, 그리고 염분범위는 32~34이었다. 3. 멸치의 자치어의 분포밀도는 난의 분포와 같이 남해도와 거제도 간 해역에서 높았다. 4. 고흥반도와 거제도 간 해역에서 권현망어업에 의한 2007년 멸치 어획량은 통영이 11,409톤, 마산이 4,137톤, 사천이 2,487톤, 그리고 여수가 4,411톤으로 대부분이 남해도와 거제도 사이 해역에서 어획되었다. 5. 고흥반도와 거제도 간 해역에서 권현망어업에 어획된 멸치는 3~4월에는 큰 멸치(4.6 cm 이상)가 많았고, 8월 이후에는 0.7 cm의 소형에서부터 13.0 cm의 대형 크기까지 분포하였다. 작은 멸치(4.6 cm 미만)는 연안측 가까이에서 많이 분포하였고, 큰 멸치(4.6 cm 이상)일수록 어장의 외해측에 분포하여 멸치는 내만측에서 어린 시기를 보내고 성장하면서 외해측으로 이동 확산해 나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영남지방 지명에 관한 연구 -창녕군, 봉화군, 남해군의 경우- (A Study on Village Names of Youngnam Provinces : the Cases of Changnyeong-Gun, Bonghwa-Gun and Namhae-Gun)

  • 박태화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24
    • /
    • 1999
  • 본 연구는 영남지방의 지리적 성격이 상이한 창녕군, 봉화군, 남해군의 촌락명을 분석하였다. 지명의 명명은 인간의 환경지각의 결과이고, 또 지명에는 그 당시의 문화가 각인되어 있다고 본다. 그래서 지명이 포함하고 있는 주요 지리적 개념, 지명의 어구조, 개념구성의 결합관계 등을 구명하여 지역차를 고찰한 것이다. 첫째 지리학의 개념별로 보면 산지지역인 봉화군은 자연에서, 평야지역인 창녕군과 도서지역인 남해군은 인문에서 인식한 촌락명이 상대적으로 많아 지역차를 보인다. 둘째 지명 어구조의 전 후어에서 전어는 주로 작명으로 사용된 고유명인데, 촌락의 문화경관, 위치, 변천을 설명하고 있다. 후어는 지명을 분류하는 유형 명으로 촌락의 자연환경, 촌락 공동체 표현을 위하여 사용되었다. 셋째 개념 구성은 봉화군은 자연 그대로, 창녕군은 자연과 인간의 상호작용 과정, 남해군은 상호작용의 결과가 인식, 명명되어 역시 상이한 지역성을 보이고 있다.

  • PDF

저인망에 채집된 남해도 연안해역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 변동 (Seasonal Variations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Collected by an Otter Trawl in the Coastal Water off Namhae Island)

  • 허성회;곽석남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1-23
    • /
    • 1998
  • 1989년 5월부터 1990년 4월까지 매월 남해도 연안해역에서 소형 otter trawl을 이용하여 어류를 채집하여 종조성 및 계절 변동을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64종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줄망둑(Acentrogobius pflaumii), 도화망둑(Chaeturichthys hexanema), 수염문절(Chaeturichthys sciistius), 청멸(Thryssa kammalensis), 실양태(Repomucenus valenciennei)가 많이 채집되었는데, 이들은 전체 개체수의 66.5%, 그리고 생체량의 34.9%를 차지하였다. 그 다음으로 주둥치(Leiognathus nuchalis), 붕장어(Conger myriaster), 병어(Pampus echinogaster), 참서대(Cynoglossus joyneri), 민태(Johnius grypotus), 칠서대(Cynoglossus interruptus), 열동가리돔(Apogon lineatus), 보구치(Argyrosomus argentatus), 밴댕이(Sardinella zunasi) 순으로 채집되었다. 본 조사해역에서 채집된 어류는 대부분이 체장 10cm 이하의 소형 어종이거나 대형 어종의 유어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남해도 연안해역의 어류 군집은 뚜렷한 계절 변동을 보였는데, 채집 어종수는 10 ~1월사이에 많았으며, 2~3월에 적었다. 채집 개체수 및 생체량은 4월과 9월에 높은 값을 보였으며, 수온이 낮은 2~3월에는 채집 어종수, 개체수 및 생체량 모두 낮은 값을 보였다.

  • PDF

남해도 연안해역에서 낭장망에 의해 어획되는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 (Species Compositon and Seasonal Variations of Fishes Collected by Winged Stow Nets on Anchors off Namhae Island)

  • 허성회;곽석남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4권3호
    • /
    • pp.309-319
    • /
    • 1998
  • 경남 남해도 연안해역에서 조업중인 낭장망에 의해 채집되는 어류의 종조성 및 계절 변동을 조사하기 위해서 1989년 5월부터 1990년 4월까지 1년간 매달 어류를 채집하였다. 낭장망에 의해 채집된 어류는 총 56종이었다. 멸치가 가장 많이 어획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붕장어, 갈치, 밴댕이, 청멸이 많이 어획되었다. 이들 6어종은 채집된 어류 총 개체수의 93.9%와 총 어획량의 73.8%를 차지하였다. 본 조사해역에서 채집된 어류의 대부분은 10cm 이하의 작은 체장을 지닌 소형 어종이거나, 대형 어종의 유어로 구성되어 있었다. 낭장망에 의한 어확물은 뚜렷한 계절변동을 보였다. 채집어종수는 봄과 가을에, 채집 개체수와 생체량은 봄에 높은 값을 보였다. 그러나 겨울에는 채집 개체수 및 생체량이 매우 낮은 값을 보였다. 종다양도지수는 여름에 가장 낮은 값을 보였는데, 이 시기에 멸치가 총 개체수의 90% 이상을 차지하였다. 낮과 밤의 어획량을 비교한 결과, 밤 동안에 더 많은 어종수 및 생체량이 채집되었다.

  • PDF

여름철 남해도 연안 식물플랑크톤 군집 구조의 단기 변화 (Short-term Changes of Community Structure of Phytoplankton in Summer Around Namhae Island of Korea)

  • 임월애;강창근;김숙양;이삼근;김학균;정익교
    • ALGAE
    • /
    • 제18권1호
    • /
    • pp.49-58
    • /
    • 2003
  • The short-term dynamics of the summer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were investigated in coastal waters around Namhae Island, the Southern Sea of Korea. The study was based on a comprehensive survey constituting 39 collections from 13 stations on July 18-22, August 1-2, 14-16 and 27-30, respectively. The community structure was analysed using cluster analysis and important environmental correlates of the assemblage structure were identified with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CCA). Water temperature, salinity, NO₂, NO₃, NH₄, PO₄, chlorophyll a and transparency were measured as physico-chemical environmental factors which may be associated with the phytoplankton community structure. Variations of salinity and concentrations of NO₃ and chlorophyll a were not significant. In addition to warmer water temperature, concentrations of NO₂, NO₄and PO₄ decreased at the beginning of August. And transparency was deeper and water column became very unstable after the middle of August. A wide taxonomic diversity was encountered during the survey, including a total of 121 taxa which was composed of 72 diatoms, 48 dinoflagellates and 1 euglenoid species. Cluster analysis showed that the Phytoplankton community could be divided into 4 distinct groups, indicating rapid changes of the community in the short course of this survey. These phytoplankton groups also showed distinctive dispersion patterns in 2-dimensional canonical space, indicating distinct groupings for stations at each survey. Dominant taxa of diatoms (Chaetoceros curvisetus, Chaetoceros spp., Leptocylindrus danicus, Leptocylindrus mediteraneus, Skeletonema costanum, and Pseudo-nitzschia pungen) clustered in region of CCA space corresponding to stations surveyed at the middle of July. Dominant taxa of dinoflagellates were tightly associated with stations surveyed at the middle (Karenia breve) and end (Cochlodinium polykrikoides and Polykrikos schwartzii) of August. The CCA also showed that the phytoplankton community compositions were highly associated with water temperature, transparency, NO₂, NH₄ and PO₄, suggesting that gradients in physical and nutrient conditions affect short-term changes in phytoplankton composition.

Population genetic structure and genetic variability of the marbled sole Pleuronectes yokohamae on the coast of Gyeongsangnam-do, Korea

  • Lee, So-Jeong;Lee, So-Gwang;Gwak, Woo-Seok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6권6호
    • /
    • pp.498-505
    • /
    • 2012
  • This study uses the mitochondrial DNA control region to identify the genetic diversity and population structure of the marbled soles (Pleuronectes yokohamae) that inhabit Jinhae Bay and Yokji Island in the nearby sea and the adjacent waters of Namhae, Hansan Island, and Jaran Bay. Direct sequencing of the PCR products revealed 379 bp sequences with 83 variable nucleotide sites, defining a total of 91 haplotypes. The haplotype diversity was high, ranging from $0.917{\pm}0.031$ to $0.983{\pm}0.008$, and nucleotide diversity ranged from $0.015{\pm}0.008$ to $0.024{\pm}0.012$. In addition, 48 haplotypes (52.7%) were unique. Pairwise $F_{ST}$ values were very low, with the maximum value occurring between PYH (Hansan Island) and PJI (Jinhae Bay) ($F_{ST}$ = 0.011). Therefore, no significant genetic differentiation was evident between any pair of sampling localities.

황마늘 추출물의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ies of Yellow Garlic Extract)

  • 강재란;황초롱;심혜진;강민정;강상태;신정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7호
    • /
    • pp.983-99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새로이 개발한 마늘 가공품인 황마늘의 품질 특성과 물, 30, 50, 70 및 100%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미백, 항당뇨 및 항염증 활성을 검증하였다. 황마늘은 생마늘에 비해 alliin 함량은 차이가 없었으나, S-allyl cysteine(SAC)의 함량이 월등히 높아 2.6 mg/g이었다. 용매별 추출물을 제조하였을 때 alliin과 SAC 함량은 추출용매 중의 에탄올 비율이 높아질수록 더 증가하였다.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함량도 동일한 경향으로 10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많이 함유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100%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았는데, 10 mg/mL로 농도를 동일하게 하여 추출물 간의 활성을 비교할 때 0~70%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시료 간의 유의차가 없었으나 100%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각각 93.45%와 91.46%로 가장 높았다. 미백 및 항당뇨 효과를 확인하고자 tyrosinase 저해 활성과 ${\alpha}$-glucosidase 저해 활성을 비교한 결과 추출용매에 따른 일정한 경향은 없었으며, 100% 에탄올 추출물의 활성이 각각 36.52%와 48.55%로 유의적으로 높았다. RAW 264.7 대식세포를 대상으로 항염증 효과를 확인한 결과 황마늘 추출물은 $100{\mu}g/mL$ 처리시 LPS에 의해 유도되는 염증 인자인 NO 및 cytokine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저해하였다. 황마늘 추출물은 항산화, 미백, 항당뇨 및 항염증 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물 추출물보다는 에탄올 추출물에서 더 활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고 흑마늘 못지않은 건강기능성 소재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거제-남해간 해저퇴적물의 퇴적환경에 관한 연구 (Depositional Environments of the Continental Shelf Sediments between Geoje and Namhae Islands)

  • 김대철;송시태;유병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66-174
    • /
    • 1987
  • 본 조사해역 퇴적물의 퇴적양상은 서측의 세립질 퇴적물과 남부의 조립질 퇴적물, 그리고 이 지역외에 세립질과 조립진 퇴적물이 혼합된 지역인 세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퇴적물의 분포상태는 서측이 주로 mud이고 남동측은 sandy mud와 muddy sand로 이루어져 있는 반면 최남부에는 사립질의 sand가 분포하는데, 이는 대체로 조류와 해류의 유속 및 유향과 지형적인 특성에 많은 영향을 받는것으로 보인다. 삼천포와 육지도 주변의 왜도가 negative skewness인 것은 강한 조류의 영향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욕지도 안쪽과 섬진강하구 퇴적물을 C-M diagram에 plot해 본 결과 섬진강하구와 육지도 동쪽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pelagic suspension의 형태로 운반 되었으나, 창선도와 삼천포 사이의 수로에서는 예외적인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는 강한 조류때문에 나타나는 winnowing효과 때문으로 생각된다. 조직 표준치의 상관계수가 $0.76\~0.92$ 로서 매우 양호한 음의 상관관계를 가진다.

  • PDF

정치망어장의 어도형성에 관한 기초연구 ( 3 ) - 어획자료의 통계적 분석 - (Fundamental Studies on the Migrating Course of Fish Around the Set Net ( 3 ) - Statistic Analysis for the Catch of Set Net -)

  • 이주희;염말구;박병수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4권2호
    • /
    • pp.71-77
    • /
    • 1988
  • The authors analyzed the daily catch data which were obtained from two different regions at the Southern Sea in Korea, Neungpo, Geoje island and Yangwhagum, Namhae island, during three or four years in 1978, 1981-1985, in order to know the fishing characteristics of the set net fisheries. The favorable fishing season was summer in the southern sea. The total catches during one year were greatly affected by those several day when the dominant species of fish were caught in large quantities. The dominant species of fish at Neungpo were little horse mackerel, sand lance, sardine, hair tail, spanish mackerel and common mackerel, and those at Yangwhagun were anchovy, little horse mackerel, sardine, spanish mackerel and gizzard shad, in order of catch. Especially, the little horse mackerel and the sardine appeared to make up very big schools at both Neungpo and Yangwhagum. The occurrence seasons of the dominant species were different by the region, but generally those were earlier at western part than at eastern part of the Southern Sea in Korea.

  • PDF

남해분취, 취나물속의 일신종 (Saussurea namhaedoana (Compositae), a new species from Namhaedo Island, Korea)

  • 선은미;윤선아;김승철;정재민;임형탁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97-101
    • /
    • 2022
  • 경상남도 남해도에서 발견된 취나물속의 신종을 남해분취(Saussurea namhaedoana)로 기재했다. 이 종은 우리나라 특산으로 근생엽이 화기까지 숙존하며, 잎은 극형, 전형또는 드물게 심장형으로 잎 가장자리는 중열 또는 큰 거치가 발달하고, 아랫면에 조락하는 회백색 거미줄 털이 밀생하며, 총포는 통형으로 회백색 거미줄 털로 덮여 있다. 자생 취나물속 식물 중에 잎 아랫면에 회백색 또는 흰색 털이 밀생하는 종으로는 은분취(S. gracilis), 함백취(S. albifolia), 서울분취(S. seoulensis), 백운취(S. insularis)가 있으나, 극형, 전형의 잎은 남해분취만의 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