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ame Set

검색결과 203건 처리시간 0.031초

한국판 그림자극의 규준연구 (A Korean Normative Study of 213 Pictures)

  • 박미자;박태진
    • 인지과학
    • /
    • 제11권3_4호
    • /
    • pp.57-72
    • /
    • 2000
  • 최근 국내에서도 기억 및 표상 연구에서 그림자극을 사용하는 예가 증가하기 시작하면서 한국판 그림자극 규준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그림과 단어처리의인지적 기제를 밝히려하거나 그림을 자극으로 사용하는 기억연구를 위해 한국판 그림자극 규준을 제시한다. 본 규준은 213개의 그림들과 이 그림들에 대한 명명일치도, 표현적절성, 친숙도 평정자료, 그리고 이전 연구들에서 다루어진 관련 변인들(빈도, 범주, 범주빈도)의 정리를 포함한다. 아울러, 최근의 암묵기억과 외현기억 연구들에서 논의되고 있는 변인들을 중심으로 본 자극 세트의 제한점을 살펴보고, 응용범위에 대해 고찰해 본다.

  • PDF

DNA barcode를 이용한 민어과 수산가공품 진위판별 모니터링 (Food Fraud Monitoring of Commercial Sciaenidae Seafood Product Using DNA Barcode Information)

  • 박은지;조아현;강주영;이한철;박민지;양지영;신지영;김군도;김종오;서용배;김중범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574-580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민어과 수산물의 표준시료 DNA 염기서열을 분석한 후 DNA barcode 염기서열을 확정하고 검증한 후 시중 유통 중인 민어과 수산가공식품의 위변조 현황을 조사하였다. 표준시료의 미토콘드리아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유전자를 증폭한 후 증폭된 PCR 산물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종 판별에 특이적인 655 bp를 선정하여 DNA barcode 염기서열로 하였다. DNA barcode information과 primer set을 이용한 진위판별 정확성을 확인한 결과 PCR 증폭은 모두 확인되었다. NCBI에 등록된 각각 어류의 유전자 염기서열과 비교하였을 때 참조기 100%, 부세 100%, 보구치 100%, 민어 100%의 상동성을 나타내어 실험에 사용된 DNA barcode information과 primer set의 정확성을 확인하였다. DNA barcode 시험법을 이용해 시중 유통되는 민어과 수산가공품 32건에 대해 조사한 결과 위변조 사례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식품공전에 등재된 보구치 대신 백조기라는 일반명이 사용되고 있어 소비자에게 혼란을 야기하고 있었다. 따라서 수산가공품 원재료 표시에 일반명과 더불어 표준명 또는 학명을 표시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참고문헌 영문화 작업에 있어 영어번역의 전략 (Strategy for English Translations of Journal Reference)

  • 송호섭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8권3호
    • /
    • pp.121-129
    • /
    • 2011
  • Objectives : This study was to propose how to translate journal references into english for enhancing citation index of the journals published in the Korean Oriental Medical Society. Methods : Journal reference is mainly composed of author name, title or book name, journal name such as Index Medicus or publisher name, etc. In order to find the appropriate equivalents to the above major constituents, head words extracted from all the references of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al Society published in 2002 to 2009. A plan for English translation of the journal reference was formulated and the glossary was prepared. Plan for English translation of the journal reference : 1. Author: Author name was represented as capitalized last name and two initials of first name and listed up to six. If there are more, the first three or six authors were listed with 'et al'. 2. Terminology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Standard korean traditional medical terminology was one of the current representative dictionary with as much as 6040 headwords, which was needed to be translated into English in order to provide substantial equivalents available for English translation of journal reference. Therefor 4361 english equivalents were to be newly adopted except for 1679 overlapped with them in WHO-IST. Source oriented translation and target oriented translation were allowed to be appropriately selected depending on the condition. In addition, principle of English translation of acupoint,medicinal Herbs, Herbal formula and classical works were proposed. 3. Basically the names of journals should be set in italics and abbreviated according to the List of journals indexed for medline (formerly Index Medicus) published by the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however, abbreviation of korean oriental medical journals were not yet established. Thus establishment of tentative korean index medicus should be considered. Conclusions : For the enhancement of journal citation index of korean traditional medical journals, it was suggested that english translation of journal reference should be one of the alternatives enhancing citation rate.

한국어 번역 소설에서 인물명 명사구의 동일인물 공통참조 클러스터링 방법 (A Method for Clustering Noun Phrases into Coreferents for the Same Person in Novels Translated into Korean)

  • 박태근;김승훈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533-542
    • /
    • 2017
  • Novels include various character names, depending on the genre and the spatio-temporal background of the novels and the nationality of characters. Besides, characters and their names in a novel are created by the author's pen and imagination. As a result, any proper noun dictionary cannot include all kinds of character names. In addition, the novels translated into Korean have character names consisting of two or more nouns (such as "Harry Potter").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extract noun phrases for character names and to cluster the noun phrases into coreferents for the same character name. In the extraction of noun phrases, we utilize KKMA morpheme analyzer and CPFoAN character identification tool. In clustering the noun phrases into coreferents, we construct a directed graph with the character names extracted by CPFoAN and the extracted noun phrases, and then we create name sets for characters by traversing connected subgraphs in the directed graph. With four novels translated into Korean, we conduct a survey to evaluate the proposed method.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will be useful for speaker identification as well as for constructing the social network of characters.

저자 식별을 위한 대용량 평가셋 구축 (A Large-scale Test Set for Author Disambiguation)

  • 강인수;김평;이승우;정한민;류범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455-464
    • /
    • 2009
  • 현재의 논문 중심적 학술정보 탐색의 한계에서 벗어나 저자 중심적 검색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저자명이 갖는 동명이인의 문제가 해결되어야 한다. 그 해법으로 제시된 저자식별은 논문에 출현한 저자명 개체에 실세계 연구자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부여하는 작업이다. 최근의 선도적 저자식별 연구들은 90%를 상회하는 식별 성능을 보고하고 있으나 실질적인 학술정보서비스에서 저자식별 기능이 탑재된 예는 거의 없다. 본 논문에서는 학술정보서비스에 보다 직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광범위한 저자식별 연구를 위해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서 새롭게 구축한 대용량 저자식별 평가셋에 대해 기술한다. 평가셋은 DBLP 데이터에 출현한 고빈도 저자명들에 대해 웹 검색을 통한 수작업 식별 과정을 거쳐 만들어졌다. 현재 881개 저자명에 대해 수집된 41,673개의 저자명개체레코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6,921명의 실세계 저자 식별자가 존재한다.

두모계 지명의 분포와 취락입지 (The Distribution of Place Name 'Dumo' and Location of Settlements)

  • 나유진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884-898
    • /
    • 2012
  • 지명에는 해당 지역과 그 지역주민들의 삶에 관한 정보들이 녹아 있다. 특히, 오래전부터 이어져 온 고지명은 더 많은 공간적 속성들을 포함한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 지명의 하나인 고지명 '두모'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그 분포와 특성을 고찰하였다. '두모'는 Nam(1996)에 의해 연구되기 시작한 지명군으로, 어원적 의미를 살펴본 결과 지명 자체에 산이나 물과 연관된 지형적 입지 조건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었다. 그리고 전국에 걸쳐 비교적 균등하게 분포하는 가운데, 85%가 인문지명으로 사용되고 있었고 그중에 73%는 취락명이나 행정구역명 등 취락지명이 차지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두모계 지명의 마을 220개만을 가지고 두모계 취락의 입지와 지명의 확산을 심층 분석하였다. 그 결과, 두모계 취락이 주로 남 동향을 취하고 배산임수의 지형적 조건을 갖추고 있었으며, 마을의 확장에 따라 두모계 지명이 분화되면서 여러 개의 두모계 지명이 함께 분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도시가계 생계비 산정기준의 다양화를 위한 연구 (A Study of Variations in Cost-of-Living Index)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5권4호
    • /
    • pp.137-148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t the various cost-of-living standards utilizing a published national data. 1995 annual data, The Family Income and Expenditure Survey, were used to set the standards of living. Four index reflecting health and decency level, normal level, minimum of health and decency level, and pauper level were suggested and the cost-of-living of each level were estimated. Results showed that cost-of-living estimated in this study were not quite different from those of former studies, but the name of the standard-of-living need to be changed.

  • PDF

지명 전거 표준화를 위한 지명 전거데이터 기술 지침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Guidelines for Place Name Authority Standardization)

  • 백지원;이성숙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69-192
    • /
    • 2024
  • 본 연구는 지명 전거데이터의 체계적 구축과 표준화 필요성에 따라 지명 전거데이터 기술에 필요한 한국 특성에 맞는 지침을 개발함으로써 국가 전거 고품질화의 기반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지명전거와 관련된 국내·외 동향 및 사례 조사를 실시하고, 지명 전거 구축을 위한 각국의 규칙과 지침을 분석했다. 이러한 현황 조사 및 규칙 분석을 바탕으로 지명 전거데이터 구축에 필요한 개념 범위와 용어를 정의하고 지명 전거데이터 지침 개발의 방향성을 설정하였다. 또한, 분석 결과, 지침이 포함해야 할 범위, 체계, 기존 규칙의 참조 내용과 방식 등을 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지침의 체계는 Original RDA와 NCR을 기준으로 삼아 설정하였다. 분석 과정에서 도출된 시사점을 중심으로 구축 대상 범위, 우선 지명 선정 및 기록, 이형 지명의 기록, 지명의 속성 등으로 지침을 구성하고 내용을 제시하여 한국 실정에 맞는 지명 전거데이터 기술 지침(안)을 제안하고자 하였으며, 이에 따른 향후 논의사항을 밝혔다.

글꼴 분류를 위한 한글 글꼴의 모양 특성 연구 (Shape Property Study of Hangul Font for Font Classification)

  • 김현영;임순범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1584-1595
    • /
    • 2017
  • Each cultural community has developed a variety of fonts to express their own language and characters. Hangul has also diversified its font shapes through changing the composition ratio and look of the consonants and vowels. Rather, thanks to the variety of these fonts,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and effort must be devoted to the selection of a specific font shape. This is related to the fact that the current Hangul service and classification system process the font only with its name or the name of the manufacturer. It means that there is no consensus about the font shape classification system for Hangul. In this study, we propose a shape property set that can be a basis for classifying Hangul fonts. The font shape property set was generated by performing statistical analysis with features which have been studied by the font design experts and was verified through questionnaire using representative fonts based on the classification scheme defined by the Hangul font design classification system standar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a study on shape classification properties of K-means and PCA statistical techniques based on font data rather than design field study.

주단계(朱丹溪) 상화론(相火論)의 군화(君火) 상화(相火)의 개념에 대한 고찰 (Study on the Concept of Monarch-fire(君火) and Ministerial-fire(相火) in Zhu Dan-Xi(朱丹溪)'s Ministerial-fire Theory(相火論))

  • 이용범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9-38
    • /
    • 2014
  • Objectives : In ministerial-fire theory(相火論) of Zhu Dan-Xi(朱丹溪), the meanings of monarch-fire(君火) and ministerial-fire(相火) described in papers published nowadays are not the sam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build a clear concept. Methods :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s among 'heaven(天)'-'human(人)' and 'name(名)'-'position(位)', the core concept of the ministerial-fire theory(相火論) of Zhu Dan-Xi(朱丹溪), I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heaven(天)' and 'human(人)' in Neo-Confucianism(性理學) of Song(宋) Dynasty and reviewed the notes of Wang Bing(王冰) which were quoted by Zhu Dan-Xi(朱丹溪) to set the concept of monarch-fire(君火) and ministerial-fire(相火). I studied relevant texts. Results : In ministerial-fire theory(相火論) of Zhu Dan-Xi(朱丹溪), monarch-fire(君火) is perceived as being from greed(人欲) that can cause hyperactivity(妄動) of ministerial-fire(相火), whereas ministerial-fire(相火) is perceived as being able to control monarch-fire(君火) by following the orders from heaven. This point of view is different from the past which recognized monarch-fire (君火) as the owner and ministerial-fire(相火) as the servant. Conclusions : Zhu Dan-Xi(朱丹溪) received the ideological impact of Neo-Confucianism, and accepted the notes of Wang Bing, recognized monarch-fire(君火) as 'name(名)' and ministerial-fire(相火) as 'position(位)', so he voiced the ministerial-fire theory(相火論) that perceived monarch-fire(君火) as fire(火) of the five processes(五行) of human body that came from greed, ministerial-fire(相火) as being in a position to hear the order from the 'heaven(天)' to control monarch-fire(君火). But the concept of ministerial-fire(相火) which he set connoted a confusing meaning of 'nature(性)' and 'way(道)' of Neo-Confucianism. In the later process to solve the problem, life-gate theory(命門學說) was raised, and many researchers had tried to remove the meaning of hyperactivity from the ministerial-fire(相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