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GOs

검색결과 157건 처리시간 0.044초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정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olicy Making Process of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Institution : Focused on Enactment of National Basic Livelihood Act)

  • 박윤영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49권
    • /
    • pp.264-295
    • /
    • 2002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nactment factors of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Institution in context of policy making process by using Kingdon's policy Stream Model.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n economic crisis has worsened social problems, and the president Kim Dae-jung recognized these problems as serious and worried about social confusion and polarization. Second, NGOs as like People's Solidarity for Participatory Democracy put efforts into enacting the Act. Also, the president Kim's government faced a series of political crisis and needed political solution including foundation of a new party, which considered social welfare most important. Third, the PSPD designed the Act. But the alternatives of related government ministries were not selected. In conclusion,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Institution was enacted by the combination of these three factors stream. Especially the political stream was strongest.

  • PDF

건강가정육성을 위한 결혼준비교육프로그램 개발 - 시민단체의 활동을 중심으로 - (Premarital Preparation Program for better Life - Focused on NGO's movement -)

  • 이영호;최보아;서미란;지영숙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2권1호
    • /
    • pp.27-43
    • /
    • 2004
  • In this study, an enhanced marriage preparation program is introduced. The program has recently been systematized through adjusting and updating different existing marriage preparation programs. The proposed program consists of six main sessions, organized into three 2-session sets. Through sessions 1 and 2, couples preparing for marriage are to focus on marital life by planning their lives as husbands and wives. They also discuss how to build a happy marriage. In sessions 3 and 4, the couples are to discuss how to organize their activities so 3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relationships. Finally, in sessions 5 and 6, the couples learn practical skills necessary for a happy marriage. This Program has been implemented at NGOs to Promote wholesome wedding ceremonies and healthy marriages for single men and women who are preparing to get married. This program should be developed further to help build strong families.

Rethinking the Innovation Approach in Developing Countries

  • Nur, Yoslan
    • World Technopolis Review
    • /
    • 제1권2호
    • /
    • pp.107-117
    • /
    • 2012
  • As reflected in the title, the main objective of the paper is to explore an appropriate approach to promote technological innovation for developing countries. Aiming to this goal, the paper studies three main innovation system approaches, whose implantation is being attempted in developing countries: first, national innovation systems (NIS), which was developed in OECD countries; second, the system of innovation for development (SID), which is a concept that tries to adapt NIS to developing countries; and third, inclusive innovation which is a pro-poor innovation system. Based on the strengths and the weaknesses of each concept and their potential adapt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the paper proposes an integrated approach of innovation system for developing countries. Compared to developed countries, the concept of innovation system in developing countries should be more complex because it involves not only the formal sector such as enterprises, universities, research institutes, government, and financial system but it also involves NGOs, informal companies, grassroots inventors, local and indigenous knowledge, etc. The last part of the paper discusses the ideas that innovation stakeholders in developing countries can use to promote their proper innovation system.

Interest based-participation requiring accountability in greening

  • Park, Mi Sun
    • Forest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4권4호
    • /
    • pp.169-180
    • /
    • 2018
  • The Republic of Korea (ROK) has had a successful experience in greening its land because of strong state policy and public participation.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interest positions, participation, and accountability of multiple actors in the process of greening movements in the ROK. These movements were divided into two phases: forest rehabilitation (1973-1997) and urban greening (1998-2017). During the first phase, farmers caused deforestation by slash-and-burn farming and illegal logging, and governmental agencies acted as helpers controlled the farmers' deforestation activities. During the second phase, government agencies and enterprises caused deforestation with urban development projects, including construction of housings and roads. Multiple actors including citizens, NGOs, and enterprises helped urban greening through campaigns, donations, and monitoring. As a result, managing interest positions is significant to motivate multiple actors to participate in the greening movement. Participation with clear accountability is meaningful for successful greening. Therefore interest-based participation requiring accountability contributes to greening. This phenomenon indicates interconnection for interest positions, participation and accountability should be considered in designing greening policies.

NGO 사업 정보 공유를 위한 웹서비스 시스템 (A Web Service System for Sharing Business Information Among NGOs)

  • 박주연;노용덕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373-376
    • /
    • 2010
  • 정보통신 기술은 같은 목표를 가진 사람들의 협조를 증진 시킬 수 있는 신속하며 정확한 의사소통수단을 제공해 주고 있다. 작은 정부인 NGO 역시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많은 사람들의 참여가 이루어졌지만 NGO 간의 정보 공유는 미흡하다. 이러한 시점에서 NGO들이 서로간의 사업 정보를 쉽게 공유하고 협업할 수 있는 웹서비스 시스템인 Smart NGO 시스템을 제안한다. Smart NGO는 현재 대부분의 NGO들이 홈페이지에 등록하는 정보를 활용하여 정보를 교류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Smart Tool이라는 새로운 플랫폼을 이용해 NGO가 쉽게 자신의 사업 정보를 등록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 이러한 정보들을 Smart Viewer를 통해 NGO나 일반인이 공유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사람들이 NGO의 활동에 협조하도록 하였다. 본 논문은 이러한 Smart NGO 시스템의 구조 및 구현을 보인다.

생물다양성 보전과 황해 광역 해양생태계 관리계획 (Biodiversity Conservation and the Yellow Sea Large Marine Ecosystem Project)

  • 마크 월턴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35-340
    • /
    • 2010
  • 황해 광역 해양생태계(YSLME) 프로젝트의 목적을 소개하고 구체적인 활동을 서술하였다. YSLME는 생산성이 높으나 가장 오염이 많이 되어 있는 곳이기도 하다. YSLME 프로젝트의 목적은 경계진단분석을 통해 파악된 환경문제의 피해를 전략 실행 프로그램(SAP)을 통해 줄이는데 있다. 생물다양성을 위협하는 가장 주요한 원인은 갯벌간척등을 통한 서식지 훼손이다. 1900년대 초 이래로 한국측 갯벌 40% 이상, 중국측 갯벌의 60% 이상이 훼손된 상태다. 남획과 오염등은 연안환경의 생물다양성 손실을 가져온다. 이 손실을 막기 위한 실행프로그램으로 정치가, 공무원, 과학자, 학생, 일반시민등 다양한 시민계층을 대상으로 환경의식을 고취시키는 켐페인을 벌여왔다. 또한 다른 시민환경단체와 연대하여 황해 파트너쉽을 구성하였다. 환경단체들은 국제기구 단체들과 달리 지역주민과 공고한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지역의 환경보존노력을 위한 매우 중요한 파트너로 인식되고 있다. 소규모 지원프로젝트를 통해 환경단체들을 효과적으로 연계시킬 수 있었다. 세계야생동물기금 및 기타 연구기관과 공동연구를 통해 YSLME의 SAP를 수립하기 위한 생물다양성 평가 보고서를 발간하였다. SAP에서는 생물다양성을 위한 지역별 목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서식밀도 증대, 멸종위기종을 포함한 모든 생물종의 분포와 유전적 다양성 확보, 2007년 표준지침에 의거한 서식지 유지, 외래종 유입 위협의 감소. YSLME 프로젝트의 다음단계는 SAP를 승인하고 이를 성공적으로 이행함으로써 미래세대를 위한 생물다양성을 유지하는 것이다.

기후변화 완화 활동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그린스타트 운동을 중심으로 - (A Study for Activation Measure of Climate Change Mitigation Movement - A Case Study of Green Start Movement -)

  • 조성흠;이상훈;문태훈;최봉석;박나현;전의찬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95-107
    • /
    • 2014
  • '그린스타트(Green Start) 운동'은 '녹색성장을 통한 저탄소사회 구현(Low Carbon, Green Korea)'를 위하여 가정, 상업, 수송 등 비산업부문에서 온실가스를 효율적으로 줄여 나가는 녹색생활실천 운동이다. '저탄소 녹색성장'을 국가 비전으로 제시한 이명박 정부가 끝나고, 새로운 정부가 출범하면서 지난 5년간의 그린스타트 운동에 대한 평가와 더불어 지속가능하고 안정적인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녹색생활실천 운동의 방향 수립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공무원, 환경 NGO, 비환경 NGO, 그린스타트 운동 참여단체, 전문가 등 총 265명을 대상으로 그린스타트 운동의 성과와 향후 개선방향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결과, 그린스타트 운동의 인지도는 높아지고 있으며, 그린스타트 운동이 녹색생활을 위한 개인의 행태와 집합적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의견이 많았다. 다만 그린스타트 운동이 주요 환경운동단체와 결합되지 못하고 있으며, 기후변화 대응 운동을 보다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지역의 그린스타트 운동을 강화하여야 할 필요가 있고, 그린스타트전국네트워크1) 사무국은 정부와 환경시민사회와의 교두보 역할을 할 필요가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그린스타트 운동을 보다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그린스타트전국네트워크의 자율성을 강화하고, 거버넌스를 재편할 필요가 있다. 또한, 지속적으로 지역 특성에 맞는 온실가스 감축 활동을 지원하여야 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지역 활동 중 온실가스 감축 우수사례를 발굴하고 공유함으로써 실질적인 온실가스 감축 활동이 저변에 확산되도록 하여야 한다.

해외사례를 통한 재난대응 거점기지 구축 연구 (A study on Establishing Disaster Response Base Station through Overseas Case Review)

  • 옥영석;박미리;전재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668-675
    • /
    • 2017
  • 국내에서는 최근 지진과 홍수 등의 자연 재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대응 및 구호 등에서 효과적이며 신속한 대응 능력이 미흡한 실정이다. 대응하는 행정기관에서는 해당 담당자의 순환 보직 현실과 행정적 성격으로 인하여 민간협력과 재난대응 거점기지 등과 같은 기본적인 재해 대응을 위한 소프트적이고 물리적인 시스템이 아직은 유기적으로 구축되어 있지 않다. 일본의 경우 공공부문과 민간부문 및 NGO간 상호 협력 네트워크를 통한 재난에 대응하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경우는 아직 공공부문에서 대부분을 광범위하게 재난을 관리하고 있다. 하지만, 현대사회에서는 자연재해 뿐 만 아니라 복합성격의 연계성 재난이 발생됨에 따라 공공부문의 노력만으로는 재난관리를 효과적으로 대응하기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이는 결과적으로 발생하는 갖가지 위기에 대해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응이 예상 할 수없는 상황에 직면 해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일본과 미국사례를 통해 재난대응거점을 검토하였고, 이를 통한 시민부문과 기업부문에서의 협력네트워크 방향과 함께 재해 대응을 포괄적으로 지원하는 재해 대응 거점 시스템의 구축을 제시하고자 한다.

Forestry in Malaysia : An Institutional Overview

  • Nor, Salleh Mohd.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6권3호
    • /
    • pp.249-255
    • /
    • 1987
  • Forestry as with all land matters, under the Constitution, is a State matter. Thus the States, numbering 14, have considerable autonomy in decisions on forestry and related matters. However, the Federal Government, having jurisdiction over such issues as defence, education and research, endeavours to coordinate, standardise and advise the States on matters where the States have jurisdiction. However, forestry being a major revenue earner, is jealously guarded by the States. Under such circumstances and recognising the interdependencies of impacts of decisions at the State level, the institutional organisations play an important role in coordinating state activities to ensure that the benefits to the country as a whole are not sacrificed in favour of interests of individual state. Various legislative mechanisms have been established to ensure this coordinated effort. A National Forestry Council forms the apex of national political coordination. The Federal Forestry Department is responsible for coordination of developmental activities at the State level, which are implemented be the State Forestry Departments within Peninsular Malaysia. Research is carried out centrally by the Forest Research Institute of Malaysia(FRIM), a statutory body formed in 1985 from a research division of the Forestry Department. The Stares of Sabah and Sarawak have their own Forestry Departments, independent of the Federal Department, and each with its own research unit independent of FRIM. Tertiary education in forestry is the sole responsibility of the Agricultural University at Serdang with a campus for Diploma level training in Sarawak. In the developmental area in the State of Sabah, institutions have been formed to focus on specific areas of activities. The Sabah Foundation is responsible for the long term development of the State forests with a concession of about one million ha. Sabah Forest Development Authority(SAFODA) was formed to carry out reforestation of denuded areas. Sabah Forest Industries Ltd.(SFI) is responsible for the country's only integrated pulp and paper industry with its own afforestation program to support its resource supply. In Peninsular Malaysia various states have established State Corporations to manage large "sustained yield" concessions. While wildlife and state parks are managed by the respective forestry departments in Sabah and Sarawak, it is the responsibility of a separate department in Peninsula Malaysia called the Department of Wildlife and National Parks(under the Ministry of Science, Technology and Environment). Timber trade legislation and promotion in the Peninsular is the responsibility of the Malaysian Timber Industries Board(MTIB) for Peninsular Malaysia and the Sarawak Timber Industries Development Corporation(STIDC) in Sarawak. In the area of NGOs ; the Institute of Foresters Malaysia, is the professional body of forestry in the country. A Malaysian Forestry Society caters for the public participation and interest. Other environmentally related NGOs such as the Malayan Nature Society,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Society, World Wildlife Fund, Friends of the Earth and the Consumers Associations also involve themselves in specific forestry activities. A number of timber trade associations are also formed by the private sector to assist the industries.

  • PDF

환경 NGO 활동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농촌지역주민의 동기 유형에 관한 고찰 (Review on Motive Types of Rural Residents' Participation in Environmental NGO Action Program)

  • 신윤철;배성의;윤준상;고운미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12권1호
    • /
    • pp.83-95
    • /
    • 2005
  • 본 연구는 참여동기를 유형화한 연구들 중 경제학적인 틀로 참여동기를 유형화한 Olsen의 연구,개인수준에서 사회운동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고찰한 Klenderman의 연구, 사회발전을 위한 주민 자신의 능동적 역할의 측면에서 본 주민 참여동기를 고찰하여 국내연구에서 가장 널리 구분하는 이기적 참여동기와 이타적 참여동기로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첫째, 이기적 참여동기는 비용 편익 판단기준을 일반적으로 직업 혹은 경력과 관련시키는 경우가 많다. 이기적 참여동기를 가지고 있는 사람의 보상체계는 단기간에 획득할 수 있는 직접적인 이득이나 다른 사람을 돕는 일이 대부분인 봉사활동인 경우조차도 이기적인 동기가 녹아져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젊은층의 사람들은 직장을 구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술을 배우기 위하여 봉사활동에 참여하기도 한다. 이러한 활동참여의 경험이 미래에 직업을 구하거나, 인간관계를 형성한다거나, 좋은 직장을 구하는데 좋은 계기나 기회로 활용되기도 하기 때문인다. 이러한 이기적 동기를 가진 참여자들은 개인의 성장과 직업발전에 큰 관심을 갖고 있으며, 이러한 도구적인 요인이 남을 돕는 요인보다 더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기도 한다. 둘째, 이타적 참여동기는 타인의 복지의 향상을 위해 노력하는 것이다. 이타적 참여동기를 갖고 있는 사람들은 개인의 성과나 개인적인 관심보다는 사회적으로 더 큰 가치가 있는 목적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이타주의적인 동기를 갖고 있는 사람들이 모두 자신의 희생을 바탕으로 활동을 하거나 자신의 이익에 반하는 행동을 하는 것은 아니다. 즉, 개인의 편익과는 무관하게 도움이 필요한 타인을 돕고 그들의 복지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노력하는 것이 이타주의적 참여동기의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타주의적 참여동기를 갖고 있는 사람들은 자신들의 공헌이 타인의 복지를 향상시킬 가능성이나 개연성만 있더라도 활동에 참여하게 된다. 최근에 동기에 관한 조사들에서 이타적 동기보다는 이기적 동기가 높게 나타나고 있는데(조휘일, 1990; 홍승혜, 1995; 권지성, 1999; 김소영, 2000; 이종혜, 2001; 이근주, 2002; 고운미, 2004), 이는 참여활동가들에게 이타적 동기뿐만 아니라 이기적 동기 또한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