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GI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27초

수치지도 공급을 위한 국립지리원 외부메타데이터의 설계 (Designing External Metadata of National Geography Institute for Distributing Digital Maps)

  • 김계현;김희두;임삼성;이경숙;유승근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1권1호
    • /
    • pp.89-98
    • /
    • 1999
  • 본 연구는 국립지리원 수치지도의 효율적인 관리와 공급을 위하여 외부메타데이터 설계를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보다 효율적이고 세계표준에 부합하는 메타데이터의 표준안을 제작하기 위하여 국외의 표준화 관련 기구의 동향 분석과 함께 선진국의 메타데이터 구축사례를 분석하였으며 이와 함께 국내의 구축사례를 조사하였다. 사용자의 요구를 최대한 수용하기 위하여 국립지리원의 메타데이터 관련 자료를 최대한 수집하여 실무자의 의견을 바탕으로 항목별로 분류를 하였으며, 데이터의 유형별 중요도를 부과하였다. 이러한 기존 자료의 분석을 바탕으로 외부메타데이터의 설계안을 도출하였으며 ISO의 표준안을 최대한 수용하는 표준메타데이터를 제시하였다. 설계된 메타데이터를 바탕으로 실무 적용에 따른 향후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보완과 세계적인 표준화의 동향에 따른 메타데이터의 갱신이 필요시 된다.

  • PDF

한-EU간 트랜스유라시아 망 기반의 IPv6 기반 차세대인터넷 망 및 응용 연동 연구 (A study of IPv6-based NGI network and application Interworking over TEIN(TransEurasia Information Network))

  • 이승윤;김형준;박기식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2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569-574
    • /
    • 2002
  • 트랜스유라시아 망(TEIN)은 2001년 12월에 한-EU간 구축되어진 대륙간 초고속정보통신망으로써, 본 전자 통신연구원(ETRI)에서는 TEIN 활성화를 위한 연구로써 2001년 초부터 현재까지 IPv6 기반 차세대인터넷 망 및 응용기술을 개발하고, 이 결과물들을 TEIN에 접목시키는 연구를 해 왔으며, 또한 유럽과의 국제공동연구 기반의 수행을 해오고 있다. 이러한IPv6 기반 및 응용 기술에 관한 연구는 차세대인터넷 도입을 위한 구체적인 시도로써, IPv6 기반 기술 및 응용기술에 있어 실질적인 활용을 위한 검증과 함께 IPv6 기반 차세대인터넷 환경 구축 및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다고 할 수 있다.

  • PDF

IPv6 웹 서비스를 위한 아키텍처 구현 및 도입 전략 (IPv6 Based Web Service Architecture and Deployment Strateg)

  • 김소정;김유정;이재호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421-1424
    • /
    • 2004
  • 본 논문은 IPv6의 보급확산을 위해서 추진된 NCA의 IPv6 웹 포탈사이트 구축을 통해 정의된 시스템 아키텍처를 소개하며, S/W, 네트워크, 하드웨어의 실질적인 구축 사례를 제시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웹 서비스 제공을 통해 일반 이용자를 IPv4에서 IPv6로 유도할 수 있는 효과적인 서비스 정책과 시스템 구현 기술을 보여준다.

  • PDF

NGIS에 대한 제언

  • 박홍기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1996년도 학술강연회 개요집
    • /
    • pp.2-11
    • /
    • 1996
  • PDF

A Study on the 1st National GIS project Policy in Korea

  • 오종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권2호
    • /
    • pp.119-131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서 시도된 국가지리정보체계(NGIS)구축의 1단계사업에 대한 정책적인 측면에서 해외의 NGIS와 비교하여 2, 3단계 사업의 성공화를 도출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첫 장에서는 Masser(1999)에 의한 세계 NGIS 추진 10개국의 정책과 핵심분야를 한국의 NGIS와 비교 분석하여 장단점을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한국의 NGIS정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3장에서 한국 NGIS의 핵심5대 분야와 연계한 결과 및 평가의 구체성과 4장에서 한국의 미래 NGIS의 방향을 동시에 제시하였다. 세계적으로 90년대 후반에 시작된 국가지리정보체계의 구축사업 중에서 11개국에 대한 선행정책연구 분석에서 볼 때 한국이 포함된 7개 국가에서 정부주도형의 하향식(Top-down)형식으로 수행하였으며, 3개 국가는 기존 수행체계를 발전시킨 상향식(Bottom-up) 형식이었고 나머지 한 국가는 절충형의 후발주자에 속하여, 한국의 NGIS 1단계사업은 국가주도형의 정책이 주종을 이루는 하향식 정책의 국책사업으로 밝혀졌다. 한국의 1단계 NGIS사업의 정책과 분야는 1995년부터 정부주도 정책에 따라서 2억 $(중앙정부: 64%, 지방정부: 36%)의 예산으로 2000년까지 11개 중앙부처가 참여하고 5개 분과위원회(총괄분과, 지리정보분과, 토지정보분과, 기술개발분과, 표준화분과)에서 10개 사업(지형도전산화사업, 주제도 전산화사업, 지적도전산화사업, 지하시설물도전산화사업, 지하시설물 관리체계개발시범사업, 공공GIS활용체계개발사업, GIS기술개발, GIS전문인력육성, GIS표준화사업, 국가GIS지원연구사업)을 수행한 대규모 국책연구개발사업이었다. 따라서 한국의 미래 NGIS 정책방향은 국가공간정보기반조성을 통한 디지털국토구축으로 국가 Agenda인 'u코리아'를 실현시키고 선진형 대민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정해질 것이다.

  • PDF

MPLS에서 차등화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E-LSP의 확장 (Extension of E-LSP for Supporting Differentiated Service in MPLS)

  • 박기범;정재일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8권12B호
    • /
    • pp.1081-1090
    • /
    • 2003
  • 차세대 인터넷은 QoS(Quality of Service)의 보장과 초고속 전송을 특징으로 하는데 그 대표적인 구조가 DiffServ(Differentiated Service)와 MPLS(Multi-Protocol Label Switching)이다. 차세대 인터넷에서 종단간 QoS를 보장하기 위해서 DiffServ와 MPLS를 연동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연구가 필수적이고, 현재 이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의 MPLS WG(Working Group)에서는 이를 위하여 E-LSP(EXP inferred-PSC LSPs)와 L-LSP(Label-Only-Inferred-PSC LSPs) 방안을 제안했는데, 두 가지 방법 모두 MPLS에서 DiffServ의 서비스 클래스를 지원하는데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E-LPS를 확장하여 DiffServ의 이론적인 모든 클래스와 ECN(Explicit Congestion Notification)을 비롯한 실험적인 기능을 지원하는 확장 E-LSP를 제안한다. 제안된 확장 E-LSP를 이용한 MPLS망에서 보다 세분화된 DiffServ 클래스를 지원할 경우 서비스 품질을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한반도지역에서의 절대 중력관측 (The Absolute Gravity Measurements in Korean Peninsula)

  • 조진동;김경수;안기덕;우삼용
    • 자원환경지질
    • /
    • 제36권5호
    • /
    • pp.387-389
    • /
    • 2003
  • 한반도지역에서 중력 기준점 설치, 기 설치된 중력 기준점의 중력 값들의 정밀도 향상 및 중력가속도 값을 얻기 위하여, 표준연구원(KRISS)은 한 중 공동으로 1996년 10월8일∼11월8일까지, 국립지리원(NGI)은 한$.$일공동으로 1999년 12월10∼16일까지 각각 대전과 수원에서 절대 중력계(Laser Interferometry Absolute Gravimeter type NIM-II와 FG5 Absolute Gravity meter(#203))를 사용하여 절대중력관측을 수행하였다. 표준연구원과 국립지리원이 관측한 절대 중력 값은 각각 979,829.609${\pm}$006 mGal(대전), 979,918.775${\pm}$0.0001 mGal(수원)이다. 앞으로 한반도에서 지구과학분야 활성화를 위해서 더 많은 절대중력 기준점의 확보가 필요하다고 사려된다.